-
-
철학교수님이 알려주는 공부법
나이절 워버턴 지음, 박수철 옮김 / 지와사랑 / 2012년 9월
평점 :
독서와 글쓰기 [철학 교수님이 알려주는 공부법] 나이젤 워버턴, 지와사랑, 2012
이 책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한국어판 제목을 보면 일반적인 공부법에 관한 책처럼 보인지만, 엄밀히 따진다면 철학과 교수가 쓴 철학과 학생을 위한 공부방법 안내서이다. 그렇다고 해서 철학 학생들에게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 책은 글을 쓰는 일반인, 인문학, 사회과학을 전공하는 학생, 논술을 준비하는 고등학생에게도 유익하다.
“철학은 관람용 스포츠가 아니다” 이 책의 머리말 제목만 보더라도 이 책이 철학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저자는 “철학을 공부한다는 건 철학적 사고를 배운다는 것을 의미한다.”라고 하며, “모든 철학적 논술은 그 자체로서 철학의 일부”이기에 “굳이 깜짝 놀랄 만한 독창적인 주장”보다 “적적한 논증이 요구된다”고 말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다면 철학은 “관람용 스포츠”가 아닌 선수로 직접 참여하는 것이다. 참여한다는 것은 내가 읽고 들은 것에 대해서 비판적 논증을 하는 것이다. 이 책은 비판적 논증을 위해서 어떻게 책을 읽고, 강의를 듣고, 토론하고, 글을 쓰고, 어떻게 시험 준비할 것인가를 간단명료하게 알려준다. 저자는 맺음말에서 이렇게 이야기한다. “이 책은 의도적으로 짧게 만들었다.” 이 책을 읽는 것이 중요하게 아니라, 공부는 “직접 연습”하는 것이다.
공부법을 위한 책이 칸트나 헤겔 책처럼 두껍고 어려울 필요가 없다. 그런 책들은 공부법을 학문적으로나 경제적 이유로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것이다. 단순히 책을 잘 읽고, 강의를 잘 듣고, 글을 잘 쓰기를 원하는 사람에게는 저자의 말처럼 짧고 명료한 책이 좋다. 모든 행위의 마지막 결과인 짧고 명료한 글쓰기에 대해서 저자는 이렇게 이야기한다. 칸트나 헤겔은 그렇게 난해한 책을 썼음에도 불구하고 “위대한 인물”이지만, “학생 수준의 논술에서 길고 복잡한 문장을 고집하면 자신의 철학적 이해도를 보여줄 수 없다.” 그렇지만 학생들은 선생들의 난해한 책을 비판적으로 읽고 듣고 논술해야 한다. 잘 읽고 잘 듣고 잘 쓰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연습해야 한다는 것은 알지만, 학생들은 ‘비판적’이라는 단어에서 착각을 일으킨다.
저자는 ‘비판적’이란 단어를 설명하기 위해서 [자유론]의 한 구절을 인용한다. “부정적 논리에 대한 비난, 즉 긍정적인 진리를 확립하지 않은 채 특정 이론이나 실제의 오류를 지적하는 행위에 대한 비난이 오늘날 유행하고 있다.”19세기에 지적되었던 이런 잘못은 아직도 유효하다. 어떤 글이나 논의를 비판하기 위해서는 그 글이나 논의가 그 취지에 적합한지, 그 논증이 합리적인지를 추론하는 것이지, 특정 이론이나 작은 실수를 꼬투리 잡아서 공격하는 것이 아니다. 맹목적인 공격과 함께 위험한 것은 단정적으로 결론을 내어버리는 것이다. 어떤 유명 논객이 트위터에 칸트의 “판단력 비판”을 140자로 재구성했다. 이것이 가능한 것인가. 그 책을 완역한 노교수도 그 책에서 대해서 잘 모르겠다고 하는데 140자로 재구성한 것을 합리적이라고 이야기할 수는 없다.
이 책은 읽고 듣고 토론하고 쓰는 방법을 간단하게 정리한 책이다. 가장 핵심적인 것은 책을 읽는 방법과 읽고 들은 것을 마무리하는 글쓰기이다. 저자는 처음으로 책을 읽으면 메모를 하며 어려운 부분은 가볍게 건너뛰라고 한다. 처음 쓴 글은 며칠 동안 묵혀두라고 한다. 이렇게 간단하고 명확한 방법이 철학과 학생을 위한 것은 아니다. 2012.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