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트, 구스타프 말러를 만나다 - 정신분석적 심리치료를 만든 역사적 만남들 휴먼테라피 Human Therapy 34
이준석 지음 / 이담북스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심리학 일반 [프로이트, 구스타프 말러를 만나다] 이준석, 이담, 2012

 

심리 상담을 하거나 정신분석을 받는다고 심각한 질병이 있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심리학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도 이러한 사회적 편견을 극복하는 데 있다. 더 많은 사람들이 보다 쉽게 보다 편하게 심리학의 혜택을 받는다면 더 좋은 사회가 될 것이다.

 

심리학과가 개설된 대학에는 대부분 심리상담센터가 있다. 나도 그곳에서 정신분석을 받았다. 수업이 없는 시간에 맞춰 매주 한 번씩 심리상담센터에 들렀고, 교수님의 공짜 정신분석을 1년 정도 받았다. 지금도 여건만 허락한다면 받고 싶다. 현실적으로는 자유롭게 상담시간을 결정할 수 없는 회사원이라는 것과 결코 싸다고 할 수 없는 상담비용이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높은 상담비용을 감수하더라도 명성이 있는 전문가에게 상담을 받으려면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프로이트가 정신분석학의 체계를 세우게 된 것도 어쩌면 비엔나의 돈 많고 시간 많은 귀족들의 지원 때문이었으니 현실적인 문제를 받아들인다 하더라도, 심리상담에 대한 사회적 편견은 넘을 수 없는 벽처럼 서 있다. 그렇지만, 문제가 있다고 느낀다면 용기를 내서 상담을 받아보라고 적극 권하고 싶다. 나처럼 심리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도 한 번 정도는 받아보라고 권하고 싶다. 심리학책 몇 권을 더 읽는다고 자기 치료를 할 수 없다.

 

내가 대학 시절 정신분석을 받은 것은 일반교양으로 심리학 입문을 수강하면서 프로이트의 책을 읽고 나서였다. 이 책에서도 소개가 되어있지만, 프로이트도 자기 정신분석을 했고 그의 딸 안나도 코헛도 정신 분석을 받고 정신분석가로 성장했다. 정신 분석은 심리학의 발전사에서 매우 중요하다. 심리학 발달사를 다루고 있는 이 책은 “프란츠 메스머의 ‘최면치료’에서 시작하여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거쳐 하인즈 코헛의 ‘자기 심리학’에 이르는 긴 여정을 간략”하게 보여주고 있다. 간략할 수밖에 없는 것은 국내에 판매되고 있는 프로이트 전집만 해도 17권이니 당연한 이야기고, 심리학을 전문적으로 공부한 사람이 아니기에 심리학 이론을 얼마나 잘 압축해 놓았는가?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말할 수 없지만, 프로이트 저작과 같은 일급 서적은 제외한다면, 지금까지 읽어본 심리학책 중 가장 인상적이다.

 

하인즈 코헛은 심리학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심리학은 인간이 그저 자신의 궁극적 의미를 달성하며 살아가도록 돕는 도구이며, 인간 정신의 본질에 도달하기 위한 보다 심오한 과학입니다.” 코헛은 심오한 과학으로서의 정신분석은 본질적으로 ‘공감’이라는 틀 안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물론 코헛의 주장은 많은 도전에 직면해 있다. 정신 분석이 심오한 과학이라면 논증 가능한 결과가 존재해야 하며, 그 결과를 다른 사람이 논증하더라도 같은 값으로 도출되어야 한다. 그렇지 못하다면 인간의 궁극적 의미를 제시하고 그것의 실천을 강조하는 종교와 동일한 것으로 봐야 하지 않을까? 이러한 의문에 저자는 이렇게 대답을 한다.

 

“각각의 가설은 당대의 문화를 형성하는 사상과 개념을 바탕으로 세워졌다. 시대는 계속 변했다. 그리고 시대가 변할 때마다 새로운 사상이 열렸고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심리적 경험이 나타났다. 구시대의 심리학으로는 새로운 시대의 새로운 심리적 경험을 다룰 수 없다. 따라서 새로운 심리학이 필요하다.”

 

생활세계의 변화와 함께 심리학도 새로운 변신을 하고 있다. 과학이 지배하는 현대 사회에서 초월적인 종교보다 심리학이 고립되고 단절된 현대인들에게 더 많은 위안을 줄 수 있다. 심리학이 발달하기 위해서는 전문가들의 노력도 필요하지만, 무지에서 나오는 사회적 편견을 우선적으로 극복해야한다.

2012.08.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