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기여 잘 있거라 ㅣ 청목정선세계문학 15
헤밍웨이 지음 / 청목(청목사) / 1989년 5월
평점 :
절판
[살인자] 헤밍웨이, 윤종하, 삼성판 세계문학 전집 32, 1983년 중판
[무기여 잘있거라] 헤밍웨이, 김종철 역, 청목, 1989년 초판
`
친구로부터 [살인자]를 꼭 읽어보라는 추천을 받고, 책을 구해 보려 했지만 구할 수 없었다. 인터넷에 떠도는 필사본이 있어 읽어봤지만, 왜 좋은지 알 수가 없었다. 힘들게 헌 책을 구해서 다시 읽어보았다. “하드보일드의 특색이 두드러진 (헤밍웨이) 단편 중의 명작”이라는 책 소개를 읽으며 왜 명작일까를 생각해봤지만, 명확하게 무엇이라고 설명할 수 없었다. 동시대에 살았던 경쟁자 포크너와 비교하면 약간의 실마리라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비평가들이 말하는 헤밍웨이나 포크너 소설의 특징을 알려면 영어 원서로 읽어야 한다. 번역서로서는 참맛을 느낄 수는 없지만, 이렇게 두 대가의 책을 읽어보니 어느 정도는 명확해지는 것 같다.
``
[살인자]는 11쪽 분량의 단편소설이다. 식당에서 벌어진 3시간 정도의 상황을 화자의 개입 없이 등장인물의 대화로 이야기를 끌고 나가는 반면, [에밀리에게 장미꽃은]는 같은 분량임에도 화자가 적극 개입해서 방대한 사건들을 함축적으로 이끌어간다. [무기여 잘있거라]와 [성역]도 마찬가지다. 공교롭게도 두 이야기 모두 표면적으로는 아이를 출산하기까지의 이야기지만, [무기여 잘있거라]가 표면적인 시간의 흐름을 그대로 쫓아가는 반면 [성역]은 회상부분이 많아서 시간의 흐름이 좀 더 복잡하다. 등장인물의 성격도 헤밍웨이 소설에서는 비교적 단순하지만, 포크너의 소설에서는 조금은 복잡하게 묘사된다.
`
포크너가 다양한 단어와 단어를 수사법으로 연결해 독자들의 감동을 이끌어 낸다면, 헤밍웨이는 수사법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간단한 단어의 조합이 만들어낸 서사 자체에서 감동을 만들어 낸다. [성역]은 곳곳에 나오는 멋진 문장에 반해 전체 줄거리를 놓쳐버릴 수도 있지만, [무기여 잘있거라]는 신문기사처럼 따분하지만 책을 덮을 때 밀려드는 감동은 주체할 수 없을 정도다. 특히 주인공이 후퇴명령을 받고 퇴각할 때 벌어지는 사건들은 화자의 감정도 주인공의 감정도 철저하게 절제되어 있지만, 전쟁의 참상은 독자에게 직접다가 온다.
이번에 읽었던 책은 고등학교 2학년 때 처음 읽었던 그 책인 것 같다. 그 당시 텔레비전 영화를 보고 감동해서 책을 읽었는데. 당시 내가 가지고 있던 물음은 “왜 예쁜 여자는 나쁜 남자를 사랑하는가?”였다. 20년이 더 흘러 다시 읽어보니 전쟁의 참상만 눈에 들어왔다. 20년 후에는 어떤 느낌일까. 아니 20년 후에는 원서로 읽어보겠다는 소망을 가져본다. 2012.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