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름다움이 세상을 구원할 것이다 - 도스또예프스끼의 삶과 예술을 찾아서
이병훈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1월
평점 :
품절
문학 에세이 [아름다움이 세상을 구원할 것이다] 이병훈, 문학동네, 2012
`
도스또예프스키의 작품을 완독한다는 것은 상당한 인내심이 요구되는 일종의 고행이다. 한 페이지가 넘는 긴 대사가 난무하고, 러시아의 특수한 호칭들이 혼란을 가중시키고, 책을 읽는 독자들에게 왜 책을 읽고 있는지 회의를 느끼게 한다. 결국, 도대체 도끼(나는 얼마 전부터, 文友를 따라서, 이렇게 부른다.) 형님은 무슨 이야기를 하고 싶었던 것일까?
문학비평집이나 해석서에도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그 중 많은 사람은 도끼형님의 작품 속에 러시아 정교가 내재하고 있다고 한다. 물론 나는 그것을 부정하고 싶은 생각은 없다. 단지 종교적인 구원이 나에게 절실하지 와 닫지 않았을 뿐이다.
`
그렇다. 인간은 불사신이다! 인간은 모든 것에 익숙해질 수 있는 존재이며, 나는 이것이 인간에 대한 가장 훌륭한 정의라고 생각한다. [죽음의 집 기록] 중에서
`
내가 생각하는 도끼형님 작품의 핵심주제는 이 문장이다. 그렇다고 내가 그의 작품을 다 읽었다는 것은 아니다. 단지 [죄와 벌], [악령], [까라마조프씨네 형제들]을 6개월에 걸쳐서 읽었던 기억에서 나온 단편일 뿐이다.
이 책의 저자는, 이 문장은 [죄와 벌]이 탄생하기 전, 도스또예프스끼의 시베리아 수감과 카자흐스탄 유형 생활을 정리하는 상징적인 문장이라고 한다. (물론 이면에는 이 구절을 쓰면서 그가 형에게 끊임없이 물질적인 도움을 요청했고, 많은 사람에게 자신의 구명을 요청했다고 한다. 이러한 이면을 생각한다면, 고흐에게 동생 테오가 있었듯이, 도끼에게 형 미하일이 있었다는 점을 우리는 감사하게 생각해야 할 것 같다.)
전집이 너무 방대해서 도대체 어디에 적혀있는 말인지 확인할 수는 없지만, 철학자 니체는 “도스또예프스끼는 내가 무엇인가를 배울 수 있었던 단 한 사람의 심리학자였다. 그는 내 생애에서 가장 아름다운 행운 가운데 하나이다.”라고 극찬을 했다. 내가 읽었던 어떤 책에서는 카프카도 도끼형님을 존경했다고 한다. 이러한 미확인된 정보 이외에, 이 책에서는 솔제니친의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가 도끼의 [죽음의 집 기록]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도끼 형님은 자신의 진정한 문학적 스승은 고골이었다고 했다.
아직 고골의 작품은 읽지 못했지만, 니체 카프카 솔제니친의 작품에서는 도끼형님의 체취를 느낄 수 있다. 도끼 형님의 작품 속 주인공 같은 삶을 살았던 니체, [변신]이나 [소송]에서 드러나는 인간의 무기력함, [수용소의 하루]에서 나타나는 인간들의 극단적인 형상. 그것들은 나의 귀에 ‘나는 인간이다’라고 외치고 있다. 책을 읽는 재미도 여기에 있다. 씨줄과 날줄이 엉키듯이 한 권의 책에서 다른 한 권의 책으로 넘어가는 재미는 독서의 숨은 묘미이다.
이 책은 이러한 독서의 묘미를 잘 살려주는 한 편의 다큐멘터리로 봐야 할 것 같다. 작가의 시선은 그의 일생을 따라가면서, 그의 작품을 녹여내고 있다. 또한, 이 책에서 인용한 것들은 작가가 직접 번역한 것이라고 하니, 국내 다른 번역본과 비교하는 것도 재미가 있다. 국내에서 만들어진 도끼형님에 다른 지침서로서 석영중 교수의 [도스토예프스키, 돈을 위해 펜을 들다]가 있다. 석교수의 책이 돈이라는 매개로 작품을 분석했다면, 이 책은 작가의 공간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펼치고 있다. 어느 책이 좋다고 이야기할 수는 없다. 그러나 도끼 형님의 작품을 읽을 때, 꼭 필요한 책이라고 생각된다. 2012.03.11
[네이버 북카페를 통해 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된 서평입니다.
본 서평은 작성자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