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읽는 방법 - 히라노 게이치로의 슬로 리딩
히라노 게이치로 지음, 김효순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서 [책을 읽는 방법] 히라노 게이치로, 문학동네, 2008

`

인터넷 서점이든 오프라인 서점이든 독서에 관련된 책은 언제나 눈에 잘 띄는 곳에 있다. 내 눈에는 이것이 참 아이러니다. 자동차를 파는 곳에서는 자동차만 팔고, 컴퓨터를 파는 곳에서는 컴퓨터만 파는데, 서점에서는 책도 팔고 책을 읽는 법도 팔고 있다. 책을 읽는 것이 힘겨운 사람에게 책을 통해서 책 읽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더 우스운 것은 나도 그런 책에 열광하는 독자이고, 그런 책 중 한 권은 언제나 판매순위 상위권에 있다는 것이다.

`

외적인 부분을 보자면, 인문학 서적임에도 내가 읽은 책이 2008년 3쇄 본이고 지금도 팔리고 있다는 것과 저자의 약력을 보면하면, 그 무게가 가볍지는 않다. 내가 이 책을 읽은 이유는 이것과 무관하다. 요즘 나오는 속독법에 대한 반감과 [책을 읽는 방법]이라는 도발적인 제목 그리고 목차에서 본 ‘카프카의 [다리]’ 때문이었다. 카프카는 내가 좋아하는 작가이기에 그의 작품을 논한다는 점에서 흥미를 끌지만, 이 책의 주제와는 관련지어서 설명하기에는 너무 긴 시간이 소비될 것 같아서 생략한다.

`

먼저 책 제목이다. 엄밀히 말한다면, 이 책의 제목은 [소설을 읽는 방법]이다. 저자가 소설가이기도 하고, 저자의 주장하는 독서의 중요한 포인트 중 하나인 ‘오독력’이 적용되어도 무해한 분야는 소설이다. 저자는 ‘풍요로운 오독’즉 슬로 리딩을 통해서 심사숙고한 끝에 ‘저자의 의도’ 이상으로 흥미 깊은 내용을 찾아내라고 한다. 다시 말해서 천천히 읽으면서 저자의 의도 이상의 깊은 내용을 찾는 것이 책을 읽는 방법이라고 한다.

물론 평범한 독자가 개인의 교양함양을 위해서 읽는다면 어떤 책을 오독해도 무방하다. 하지만 책을 학문적으로 접근한다거나 책에 있는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할 때는 상황이 달라진다. 특히 사회과학 서적을 비롯한 인문학 서적은 저자의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저자의 논지를 그 속에서 찾아내고, 그것이 빈약하거나 잘못되었다면, 그것을 근거로 자신의 의견을 피력해야 한다. 정확한 근거도 제시하지 못한 채 느낌만으로 비판하거나 옹호하는 것은 책을 읽지 않는 것보다 못할 수도 있다.

소설이나 시처럼, 문학은 저자의 말처럼 오독이 중요하다. 소설은 창조될 때만 작가의 것이지 책으로 출판되면 독자의 것이다. 읽는 독자마다 감동하는 부분이 다르고, 평론집이나 이 책의 실천편을 봐도 작가에게 묻지도 않고 마구 분해해서 새로운 의미연관을 창조하기 때문이다.

`

다음은 속독에 대한 반감이다. 저자는 속독책을 자기계발서라고 한다. 잠재능력을 강조하고 속독과 관계없는 효과까지도 장담한다고 비판하며, 독서 때문에 인생이 갑자기 장밋빛으로 바뀌지 않는다고 단언한다. 저자의 의견에 동의한다. 특히 소설을 속독한다고 해서 삶이 얼마나 바뀌겠는가. 저자의 말처럼 문학작품은 속독 대신 천천히 묵독하며 즐겨야 한다. 천천히 읽는다는 것은 앞에서도 살펴본 내용이고, 묵독에 대해서 생각해봐야 한다. 구송에서 기록으로 발전했듯이, 책 읽기도 음독에서 묵독으로 발전했다. 이 책에서는 묵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없다는 점이 아쉽다. [고백록(告白錄)] 쓴 철학자 성 오거스틴은 "눈은 페이지를 쫓고 마음은 의미를 더듬고 있었지만, 목소리와 혀는 쉬고 있었다"고 묵독을 정의했다. 그러나 소리 내어 또박또박 읽어 나가는 음독의 단계를 거쳐야만 효과적인 묵독을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속독으로 필요한 부분을 찾아내는 것도 필요하다. 두꺼운 인문학책을 완독해야 하는 것이 독서라고 한다면, 세상에 누가 책을 읽고 싶겠는가.

[책을 읽는 방법] 이 책은 어떻게 읽어야 할까. 저자 말처럼 再讀도 필요하고, 묵독, 음독, 속독, 정독 모두 필요하다. 결국, 책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는 독자 선택의 몫이다. 2012.02.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