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락 - 즐기고(樂), 배우고(學), 통(通)하다
윤승일 지음 / 중앙위즈 / 2011년 11월
평점 :
절판



인문 교양 [고전락] 윤승일, 중앙워즈, 2011


인문학 공부 바람이 불면서, 동양 고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다. 한자에 익숙하지 않은 지금, 갑자기 논어 맹자를 읽어야 하니 난감할 뿐이다. 이러한 시점에 책을 사려고 살펴보면 비슷한 책이 너무 많다. 책을 선택하는 것 자체가 고통이다. 정작 공부를 시작하지도 못하고 절망한다.


책을 고르면서 가졌던 의문은 ‘인문학을 왜 지금 다시 공부하는가?’였다. 곰곰이 생각해보면 다시 공부하는 게 아닌 것은 확실하다. 지금까지 시험을 위한 공부를 했지, 진정한 공부를 한 적은 없다. 초등학교에 갓 입학한 학생처럼 먼저 공부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는 생각 때문에 공부를 어떻게 시작할지 가르쳐주는 책이 필요했다.


이 책도 공부를 시작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할 것 같은 책 중 하나이다. 동양고전에 나오는 고사성어를 중심으로 한자에 일일이 토를 달아놓고 옆에 간단히 풀이해놓았다. 아래에는 원문의 내용을 비교적 잘 정리해 놓은 것 같다. 맘먹고 읽는다면 하루에 다 읽을 수 있을 정도로 쉽고, 한자를 한자식 익히면서 읽는다면 하루에 하나씩 족히 일 년은 걸린 분량이다. 하루에 하나씩 차근차근 익혀간다면 1년 후에는 크게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책에 暴虎馮河(포호빙하)라는 말이 나온다. 맨주먹으로 호랑이를 때려잡거나 큰 강을 맨몸으로 건너는 무모한 용기를 빗대어서 하는 말이다. 공자가 제자 顔子(안자)를 편애하자, 제자 중 호방하고 나서기를 좋아하는 子路(자로)가 ‘전쟁에 나갈 때는 누구를 데려가시겠습니까?’묻는다. 그때 공자는 ‘포호빙하’라고 이야기한다. 글의 끝머리에 ‘자로는 훗날 난에 뛰어들었다가 비참하게 죽고 만다’라고 적어 놓았다. 물론 이것도 맞는 말이다. 하지만 공자는 제자들에 물음에 항상 각 제자에게 적합한 대답을 해주었다. 만약 안자가 물었다면, 자로를 데려가겠다고 했을 것이다. 자로와 반대로 안자는 방안에 틀어 박혀서 공부만 하던 위인이었다. 쓸모없는 육체에 머리만 좋아서는 대의를 이룩하지 못한다고 하지 않았을까? 물론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이다.


문제는 이러한 책만을 가지고 공부를 하다가 보면, 이런 한계에 봉착하게 된다는 것이다. 여기에 ‘논어’의 어느 부분에서 인용했다고 적어놓았다면, 좀 더 깊이 공부하려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지 않았을까? 적어도 참고 문헌이라도 자세히 적어놓았으면 이 책을 산 독자들에게 좀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이런 아쉬움이 남는다.


2011.11.29

[네이버 북카페를 통해 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된 서평입니다.

본 서평은 작성자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