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별 어른, 어린왕자를 만나다 - 아직 어른이 되기 두려운 그대에게 건네는 위로, 그리고 가슴 따뜻한 격려
정희재 글,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원작 / 지식의숲(넥서스) / 2011년 10월
평점 :
절판



한국 산문 [지구별 어른, 어린 왕자를 만나다], 정희재, 2011


생텍쥐페리의 <어린 왕자>는 읽을 때마다 새로운 느낌이다. 그는 무엇을 생각하며, 이 책을 썼을까? 글은 작가의 다른 영혼이라고 한다. 작가 내면의 원초적인 것들이 글에서 나타나는데, 이것은 말이나 행동보다 더 분명하게 남는다. 물론 번역자에 따라서 조금의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그래서 그의 체취가 담긴 단어가 온전하게 우리에게 전해지지 않을 수도 있지만, 그의 어린 왕자는 우리의 어린 왕자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생텍쥐페리는 1944년 7월 31일 정찰비행을 나간 후, 다시는 착륙하지 않았다. 지금도 사막, 어느 하늘 위에서 어린 왕자를 찾고 있는 그를 생각하며 이 책을 읽었다. 글을 쓰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어린 왕자> 같은 책을 쓰고 싶어 한다. 또한, 누구나 이 책의 저자처럼, <어린왕자>가 어떻게 내 안에 녹아있는지를 이야기하고 싶어한다.


맑은 거울이 되어 내 삶을 비춰주고, 위안과 사랑을 전해 준, 어린 왕자에게 고마움을 전한다. 그가 소행성 B612호에서 장미와 함께 해넘이를 즐기며 부디 행복하게 지내고 있기를 바란다. (작가의 말 中에서)


우리는 생텍쥐페리가 될 수는 없을 것이다. 그처럼, 자유로운 영혼이 되어 사막을 날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녀처럼 생텍쥐페리에게 편지를 보낼 수는 있다. 우체국이 멀다면, 이메일을 보내도 되고, 문자를 보내보면 어떨까? 글쟁이만 글을 쓰는 것은 아니다. 이 책을 통해서 讀者에서 벗어나, [내 삶의 글쓰기]를 시작하는 습작생이 되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사막이 아름다운 것은 어딘가에 샘을 감추고 있기 때문이죠. - <어린 왕자> 中에서


사막에 샘이 있어 아름답듯이, 어린왕자는 우리 안에 있어 세상이 아름다운 것이 아닐까?



끝. 2011.10.13


[네이버 북카페를 통해 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된 서평입니다.

본 서평은 작성자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