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남성 과잉 사회 - 성비 불균형이 불러온 폭력과 분노의 사회
마라 비슨달 지음, 박우정 옮김 / 현암사 / 2025년 5월
평점 :
'이 리뷰는 컬처블룸을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제목부터 강렬하고 흥미로운 책, <남성 과잉 사회>는 '성비 불균형' 문제를 여러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여성이 부자연스럽게 부족한 사회, '잉여 남성들'이 많은 사회는 어떤 문제를 초래했는지 또 앞으로 어떤 심각한 문제를 불러일으킬지를 연구 자료와 구체적인 사례를 토대로 제시한다.
이 책은 한국에서 2013년에 처음 출판됐다. 이번 책은 2025년 개정판이다. 12년 전 책이지만 여전히 시의적절하고 중요한 문제인, 오히려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는 '성비 불균형' 문제와 그와 연관된 사회 문제, 혀상을 분석한다.
목차만 봐도 이 책이 얼마나 다양한 관점, 입장을 다루고 있는지 한눈에 알 수 있다. 인구통계학자, 유전학자들의 연구뿐만 아니라 페미니스트들, 나아가 매춘부와 독신 남성들의 입장도 담았다.
저자는 "태아의 성별을 확실히 제어할 수 있었던 것은 지난 50여 년 동안뿐(16쪽)"이었단 사실과 함께 "이 책은 생명과 죽음에 관한 책이 아니라 생명이 될 '가능성'에 관한 책(20쪽)"임을 분명히 밝힌다.
저자 마라 비슨달은 '남성 과잉 사회'의 원인과 그 결과를 '단순화'하려는 시도를 경계한다. 그는 각종 통계 자료와 연구, 인터뷰, 사례 분석을 토대로 '조용하지만 매우 파괴적인 전염병'인 성 감별에 따른 임신 중절로 인한 성비 불균형 문제의 파급력을 명료하게 제시한다.
이 책은 '낙태'에 그 자체에 주목하지 않는다. 성 감별 기술과 그 기술을 활용하는 사회, 부모들, 그 결과 사라지는 여아들과 그로 인한 각종 문제들에 주목해야 한다고 역설한다. 여아들이 사라지는 현상도 문제지만 그 사라짐의 결과로 인한 성비 불균형은 인신 매매, 폭력성 증가 등 심각한 사회 문제와 직결된다. 이는 특정 국가의 문제가 아니며, 남아 선호 사상이란 단일한 뿌리를 가진 현상도 아니다.
문제는 '낙태' 그 자체가 아니다. 의학 기술의 발달은 '성 감별'을 넘어 '성 조작'까지 이어지고 있다. 아시아에서 1억 6천만 명이 넘는 여아가 사라진 사회에서, '잉여 남성'이 늘어나는 '남성 과잉 사회'에서 살아가기 위해 우리가 해야 할 첫 번째 일은 문제의 뿌리를 직시하는 것이다. 저출생 시대에 성 감별과 낙태, 성 조작이라니, 얼토당토 않은 말이라고 생각하는가? 그렇다면 이 책을 꼭 읽어 보길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