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의 밥상
공지영 지음 / 한겨레출판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등장인물을 면면을 봤을때는 대부분은 [지리산 행복학교]2?(같은 등장인물:버들치 시인, 최도사, J, 진진, 숯팁 ^^)같고, 음식에 관한 이야기를할 때 [딸에게 주는 레시]2탄의 느낌이 나면서 그 두 편을 합체한 듯한 이야기이다.

 

 

지리산 친구들의 살아가는 이야기에 살짝 양념한 사계절의 지리산 친구들의 행복한 음식이야기.

아니다. 어쩌면 음식 때문에 만나는 친구들 이야기라고나 할까?

 

공지영 작가는 언제가부터 살짝 힘이 빠진(이건 필력이 줄었다 뭐 그런 의미와는 전혀 다르다. 다른 비유가 적당한 게 생각나지를 않네.) 그저 살아가는 이야기를 펼쳐 놓는데 참 편안하게 듣기가 좋다. 그런 의미에서의 또다른 좋은 책이다.

 

한 김 오르면 얼른 건져 찬물에 담근(37p) 아삭아삭 콩나물국밥과 보리굴비 참말로 맛보고 싶네. 참 맛갈나네 느껴지는 음식들은 아마도 그 음식에 대한 사연 때문에 더욱 그러한지도 모르겠다.

 

버들치 시인의 심장 시술로 시작된 착한 마음으로 시작한 음식이야기라 그런지

시인의 담백한 레시피 때문인지

꽁지작가의 요리법을 쓴 이야기도 함께하는 사진들도 담백하다.

 

 

"거름이 너무 많아도 농사가 안돼. 쉽게 말하면 먹을 게 많은데 왜 애쓰며 꽃피우고 열매를 맺겠느냐고. 순지르기라는 걸 해서 첫 번에 세상이 녹록지 않다는 걸 확 보여줘야 하는 거야. 그러면 ‘아, 세상이 그리 녹록지 않구나. 우리 세대는 힘들 것 같으니 다음 세대에 기대를 해보자’하고 호박이 꽃도 피우고 열매도 맺지. 사람하고 똑같아."
-식물성 밥상이 가르쳐주는 인생의 원리 中 23p



20대 국회의원 선거일 우리는 장수에 있는 하늘내 들꽃마을에서 만나기로 했다. 언제부턴가 선거 때면 늘 누군가와 함께했던 것 같다. 아마도 2002년 월드컵 이후였던가? 어쩌면 우리에게는 정치가 월드컵 대회와도 같이 느껴졌나 보다. 늘 객관적 실력은 모자라고, 골 결정력이 없으며, 부상은 많고, 사령탑은 답답하고, 혹시 이기는 일이 있이 있으면 정신력의 승리고, 정말로 가끔 2002년 월드컵 같은 기적도 일어나는 것까지 말이다.
-버들치 시인 입에서 나온 버들치는 헤엄쳐 갈 수 있을까 中 199-200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