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갑 1957-2005 - Kim Young Gap, Photography, and Jejudo
김영갑 사진.글 / 다빈치 / 2006년 5월
평점 :
절판


아침부터 단체톡으로 걸려있던 방에서 듣기 편치 않은 소리만 듣고 나니 마음이 답답해져서 어쩔까? 화가 난다....하다가 도서관으로 향했다.

새 책들을 돌아볼 마음의 여유가 없이 보던 책 중에서 골라 자리에 앉았다.

 

 

제주 바람과 구름의 이야기를 전해준 사진가

오름을 다시 보게 한 오름의 사진가

 

처음 [그 섬에 내가 있었네]에서 파노라마 사진으로 본 사진도,

SFC서 봤던 전시회에서의 사진도,

무엇보다 갤러리 두모악에서의 사진도

볼 때마다 가느다란 감탄, 탄식의 소리가 먼저 나온다.

아!!!

 

여행도 무릇 사진도 완성하는 이의 심정을 반영하지 않을 수 없다.  아름답게 그려낼 수 있는 사람은 아름다울 수 밖에 없을 것이라 다시금 생각해본다.   

 

오랜만에 제주의 바람을 다시 본다.

구름을 본다.

중산간을 만나고 바람을 본다.

들판도 보고 꽃도 보고, 오름을 본다.

 

그가 그려준 제주의 모습을 보고 또 보며 탄식이 계속적으로 흘러나온다.

 

 

    

중산간을 봤다고 오름을 안다고 얘기하지 말라.

그대가 안개를 아느냐, 비를 아느냐, 구름을 보았느냐, 바람을 느꼈느냐

그러니 침묵하라.

 

 

 

 

 

어깨가 무너지는 무게의 장비를 들고 오르내리며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을 수도 없이 반복해서, 같은 장소에서

새벽같이 올라가, 아님, 해질 무렵 올라가 빛을 기다리며 순간의 황홀을, 찰나의 황홀을 잡기 위해 고독하게 앉았다가 남긴 용눈이 오름을 보면서 어찌 침묵하지 않을 수가 있을까.

 

 

아직도 그가 살아있어 오름을 오르내린다면, 많이 변한 모습에 탄식을 하지 않을까? 싶긴 하지만

 

그 제주의 바람을, 구름을 또 만나러 가고 싶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