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문화유산답사기 6 - 인생도처유상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6
유홍준 지음 / 창비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배를 건조하고 싶으면 사람들에게 나무를 모아오고 연장을 준비하라고 하는 대신 그들에게 끝없는 바다에 대한 그리움을 불러일으켜라.

왕조의 역사를 갖고 있는 나라에 왕궁이 남아 있지 않으면 말할 수 없이 큰 상실감을 일으킨다는 것을 베를린왕궁 복원사업이 웅변해준다. 왕궁은 그 민족, 그 나라의 역사적․문화적 정통성에 대한 확인이자 상징이다. 우리에게 경복궁은 정녕 그런 존재다. 이 점은 외국인들이 경복궁을 보는 시각에서도 잘 알 수 있다. 우리가 중국의 자금성, 프랑스 베르싸유 궁전, 오스트리아 빈왕궁, 헝가리의 부다왕궁 앞에서 느낀 감정과 똑같은 맥락에서 외국인들은 경복궁을 보면서 우리 역사의 만만치 않은 저력과 현재적 삶의 역사적 뿌리를 보게 된다.
상처받은 문화유산을 복원하는 것은 후손된 자의 업무이며 그 임무를 다함으로써 우리의 과거와 미래가 밝게 드러난다. 경복궁을 더 아름답고 원형에 가깝게 복원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 광화문에 새겨진 영욕의 이력서 中 120-121p

 

얼마 전 광화문 복원 후에도 말들이 많았다. 태종 때 만들어졌다가 여러 번의 소실과 파괴 등을 지나 흥선 대원군 때 복원한 적이 있었던 경복궁의 입구에 위치했던 일제 시대 때 만들어진 국립중앙박물관이 제거될 때에도 많은 시비가 있었다. 하지만 복원의 이유는 뚜렷하다.

하지만 이렇게 조금씩 복원된 2010년 경복궁 1차 복원정비사업이 완료된 것이 고종 당시 500여 동의 25퍼센트 수준(77p)이라니 놀라울 뿐이다. 아무튼 경복궁에 관한 이야기를 읽으며 새삼 경복궁의 아름다움에 대해 알게 되었다. 다음에는 창경궁, 덕수궁 등 다른 궁들의 이야기도 기대해본다.

그리고 궁궐 복원 사업을 하면서 필요로 하는 근정전의 박석이나, 문화재 복원에 사용할 금강송 보호를 위해 산림청과 문화재청의 노력도 알게 되어 뜻 깊었다.

한낱 가족이 이사를 가는 경우도 그러하겠지만 나라의 도읍을 옮기는 일이야 얼마나 힘들을까? 싶다. 개성에서 도읍을 옮기게 되는 이야기에 얽힌 무학대사와 정도전에 대한 이야기는 익히 알고 있었으나, 경회루에 관한 이야기를 보면서 나오게 되는 박자청에 대한 이야기도 새롭고 좋았다.  

 

긴 세월이 지나고 보니 박자청은 진실로 능력 있는 위대한 건축가였다는 사실이 점점 명확해진다. 정도전이 한양을 기획했다면 박자청은 서울의 실제 모습을 만들어낸 건축가였다.(90P)  

 

북한문화유산답사기 이후 끝이 나버렸나? 싶었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가 다시 시작되어 너무 반가웠다. 6권은 조선 시대의 정궁이었던 경복궁에 관한 이야기와 유교수가 제일 많이 들렀다는 선암사와 달성, 거창, 합천과 유교수가 또 다른 고향이 된 부여근교에 관한 답사기이다. 6권이 다시 시작되었으니 앞으로도 전국 방방곡곡을 읽어주는 [문화유산답사기]를 계속 기대해본다. 

나도 거창하면 양민학살사건이 제일 먼저 떠오르는데 유교수님도 그런 에피소드가 있었나 보다.

그때 나는 속으로 다짐했다. 만약 내가 거창에 대해 글을 쓸 기회가 생기면 꼭 그때의 미안함을 글로 갚겠다고. 그리고 20년이 지나 지금에 와서 나는 비로소 거창을 이야기하게 된 것이다. 그런 이유로 이번 답사기는 이제까지와 달리 문화유산뿐 아니라 거창의 모든 것에 대하여 말하고자 함을 밝힌다.
- 235

그리하여 역사까지를 상세히 읊어주는 경남우파 지역 거창, 합천 이야기 속에 폐사지가 되어 있는 영암사터 등 너무 아름답게 소개되어 있어 미안함을 충분히 갚지 않으셨을까 싶다. 고요하게 기억되는 고도 부여 반교리 청년회원이 되신 교수님 덕분에 백제 문화에 관한 이야기도 고향이야기를 해주는 것처럼 조근 조근 이야기해주는 곳마다 예뻐 보인다. 교수님의 글을 읽다 되면 [인생도처유상수 人生到處有上手 ]라고 하시더니만 문화재 읽기의 상수 중의 상수가 아니실까 싶다.  

이왕 청년회원이 되셨으니, 오래 오래 건강하셔서 못다한 백제 문화 이야기 더 많이 들려주시고, 통일이 되고 나서 한정적으로만 돌아보았던 북한 지역의 고구려 문화유적도 꾸준히 일러주시길 다시 한 번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