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치 돌아오지 않을 것처럼 - 여행에 미친 사진가의 여행본능을 불러일으키는 포토에세이
신미식 사진.글 / 끌레마 / 2008년 7월
평점 :
품절


 

전에도 신미식을 책을 읽으며 어떻게 이렇게 피사체에게 가까이 다가갈 수 있을까? 부러웠던 적이 있었다. 
 

그 이유는 ‘사진가의 마음’(147)에 잘 나와 있다. 그런 마음이니 피사체에 가까이 다가설 수 있고, 피사체와 함께 할 수 있다. 
 

사진가의 마음
소년의 거친 발을 찍기 위해 여행으로 인해 더럽고 거칠어진 내 발을 먼저 보여줬다. 같다는 것을 확인한 소년이 입가에 미소를 머금은 채 눈빛으로 자신의 발을 찍는 것을 허락했다. 사진을 찍는 마음은 그런 것이다. 아무리 피사체에 대한 욕심이 생겨도 상대방의 마음을 헤아리지 못한 채 셔터를 누른다면 그것은 단지 사진 사냥일 뿐이다. 결국 피사체에 대한 존경이 없는 사진이란 상대방에 대한 테러에 불과할 뿐이다. 피사체를 사냥하는 이기적인 사진가가 될 것인가? 피사체를 존중하는 사진가가 될 것인가? 그것은 본인의 선택이다. 분명한 것은 예의를 갖춰 셔터를 누르는 마음이 결국 감동을 주는 사진이 된다는 것이다.  

147p 

사진가의 마음
 
‘인간이 만들면 이렇게 못 만들 거야‘ 싶은 너무나 아름다운 정경들이 많지만, 포토그래퍼도 이야기한 것처럼 결국 사람이...한 시선이 더욱 강렬하게 남을 수 있는 것이 바로 그런 ’사진가의 마음’ 때문이 아닐까 싶다.

또, 전기도 들어오지 않던 칭기 지역에서의 ‘영화를 상영하다’(145)는 너무나 감동적이다.

남아공의 케이프타운과 마다가스카르의 아프리카 이야기. 스코틀랜드의 에던버러와 프랑스 파리 이야기, 아시아의 베트남, 중국, 마카오 등의 이야기와 남미의 페루 이야기가 간결하게 사진과 나와 있다. 때로는 여러 말보다 사진 한 장에 담긴 컷이 더 많은 이야기를 해준다. 
 

많은 사진들 때문에 금방 읽어버릴 수 있는 책이지만, 두고두고 사진들을 보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