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의사의 아름다운 동행 1 시골의사의 아름다운 동행
박경철 지음 / 리더스북 / 2005년 4월
구판절판


사람이 하루에 경험하는 희로애락의 양은 어느 정도일까?
언젠가 신문에서, 어떤 할 일 없는 친구가 영혼의 무게를 달았더니(아마 죽기 전휴의 몸무게를 비교한 것일 테지만) 10그램 정도가 나가러다는 기사를 읽은 적이 있다. 의사라는 직업의 특성상 나는 이 네 가지의 무게 중에서 애哀의 절대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삶을 살 수 밖에 없겠지만, 대부분의 사람들도 그렇지 않을까 싶다. 가만히 생각해보면 기쁨이란 얼마 지나지 않아 내성이 생겨서 금방 무뎌지지만, 슬픔이란 몇 배 더 여운이 길게 남는 법이다.
잊어야한다는 마음으로 -51쪽

미진이가 세상을 떠나고 이틀 후, 혈액배양 검사 결과가 나왔다. 역시 포도상구균에 의한 ㅍ패혈증이었다. 나는 더 이상 이런 일을 감당하기가 벅찼다. 어린 생명을 앗아간 제도에 분노하고, 하루를 망설이면서 시간을 보낸 나의 비겁함에 분노하고, 사악한 세균에 분노했다.
그때부터 나는 의료시스템에 잘 적응하지 못했다. 비슷한 일이 몇 번 반복되고, 그때마다 의사로서의 소신과 제도에 복종해야 하는 사회인으로서 규범 사이에서 일종의 사회부적응자가 되어버린 것이다. 나는 결국 종합병원에서 전문의로 근무를 시작한 지 1년 만에 스스로 옷을 벗었다.
물론 지금의 나는 행복하다. 당장 최소한 일주일에 한 명씩 내 환자의 임종을 지켜봐야 했던 끔찍한 상황이 없어졌고, 하루에도 서너 번씩 피를 말리는 상황도 없다. 또 피고름이 묻은 속옷을 버리고 매일 속옷을 사 입지 않아서 좋다.
나는 지금 부끄럽다 중-256-257쪽

그런데 누군가는 지금 이 시간에도 그 상황을 견디고 있을 것이다. 우리 동기 중 누군가는 중환자실 환자 때문에 오늘도 집에 들어가지 못하고 당직실에서 쪼그리고 자고 있을 것이다. 또 누군가는 방금 전에 눈을 감은 환자를 떠나보내고 밤하늘에 담배연기를 길게 내뿜고 있거나, 천장으로 솟구치는 피를 덮어쓰면서 누군가의 배와 가슴, 그리고 머리를 열고 있을 것이다.
그래서 나는 지금 부끄럽다. 그들과 같이 밤을 새우지도 않고, 생사의 갈림길에서 한 사람이라도 더 살리려고 응급실 중환자실을 뛰어다니지도 않으면서 그냥 이렇게 하루종일 농담 같은 삶을 살고 있어서 그들에게 한없이 부끄럽다.
나는 지금 부끄럽다 중-25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