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질식 건강법 - 내 몸 되살리기 프로젝트
주석원 지음 / 씨앗을뿌리는사람 / 201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이제마의 사상체질을 발전시킨 팔상체질론, 

태양인 - 금양, 금음 

태음인 - 목양, 목음 

소양인 - 토양, 토음 

소음인 - 수양, 수음 

이렇게 체질을 8가지로 나누고, 책머리에서는 각 체질의 특징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본격적인 내용은 각 체질에 이로운 음식과 해로운 음식에 대한 소개이다. 

채소편, 고기편, 양념편 등등으로 나누어서 구성하였다. 

마무리에는 참고하기 쉽게 각 체질별 음식을 종합하고 있다. 

 

이 책을 읽어보면 숱한 임상경험을 토대로 작성한 것 같다. 

예를 들어 어느 체질은 돼지고기를 먹으면 체하거나 설사를 하는데, 

더러 아주 잘 소화시키는 사람도 있다는 식의 기술. 

 

그런데 신기한 점은 내 체질(추정)에 맞는 음식은  

대개 내가 좋아하는 음식이더란 것이다. 

그렇다면 몸이 이로운 것을 이미 찾아서 먹고 있었다는 것인가? 

 

자신의 체질을 잘 모르는 사람도 여러 차례 읽다보면  

특정 체질에게로 마음이 갈 것이다. 그렇다면 이로운 음식과 해로운 음식을 

참고하여 약간 절제하며 살면 좋을 것 같다. 

 

하지만 사람을 8가지로 나눈다는 것은 무리가 있지 않나 싶다. 

그 안에서 더 많이 쪼개져야 할 것 같다. 팔상체질론도 다른 형태로 발전하지 않을까 한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연금, 보험, 저축을 능가하는 노후대비'책'
    from 책으로 여는 지혜의 인드라망, 북드라망 출판사 2012-10-24 17:28 
    '두통에는 진통제', '우울증엔 항우울제', '불면증엔 수면제'라는 것이 공식처럼 각인되고 있다. 그러나 시댁과 갈등을 겪는 전업주부의 두통과 학습우울증에 걸린 청소년의 두통이 과연 같은 질병일까. 또 시댁과 갈등을 겪는 주부에게 어깨 결림, 두통, 불면증, 소화불량, 생리통이 동시에 나타났다면, 이는 각각 정형외과, 신경과, 정신과, 내과, 산부인과에서 따로 해결해야 할 병일까. ─강용혁, 『닥터K의 마음문제 상담소』, 12쪽 예전에 손발이 너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