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balmas > 이제는 개정판을 낼 때도 되지 않았나?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 이데아총서 9
발터 벤야민 지음 / 민음사 / 199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벤야민은 하루빨리 좀더 많은 작품이 번역,소개되어야 할 사람 중 하나다. 이는 단순히 그가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문필가, 철학자, 문예이론가 중 한 사람이기 때문에 그런 것은 아니다. 이는 무엇보다도 그가 아마도 20세기 전반기의 사상가들 중 어느 누구보다도 우리의 현재와 장래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해줄 수 있고, 빛을 비춰줄 수 있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의 놀라운 이미지 이론과 매체 이론이 그렇고, 역설적으로 들릴지도 모르겠지만, 그의 신학과 유물론, 또는 신학적 유물론이 특히 그렇다.
   이 분야의 글로는 말년에 씌어진 [역사의 개념에 대하여]―보통 [역사철학테제]라고 번역되지만―와 초기의 단편 한 두개만이 국내에 소개되었을 뿐이다. 하지만 [파리 아케이드](“Passagen Werk”)를 비롯한 이 분야의 글들은, 좀더 체계적으로 소개된다면, 벤야민을 새롭게 파악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줄 뿐만 아니라 20세기의 사상적 지형도를 새로운 관점에서 조망하고 그릴 수 있게 해줄 것으로 믿는다.

    반성완 교수가 번역한 이 책은 지난 20여년 동안 국내에서 가장 널리 읽힌 벤야민 번역본이다. 벤야민이라는 이름이 아직 생소했던 시기에, 더욱이 군사독재의 엄혹한 탄압이 짓누르고 있던 시기에, 난해한 벤야민의 글들을 짜임새 있게 묶어서 소개한 공로는 결코 적다고 할 수 없다. 벤야민을 번역해본 사람이라면, 그 일이 얼마나 힘겹고 생색이 안 나는 일인지 알 것이다. 벤야민을 제대로 번역하기 위해서는 엄격한 문장들을 틈새 없이 조밀하게 이어주는 깊은 논리전개를 따라잡아야 하고, 도대체 어디서 유래한 것인지 본문만으로는 도저히 파악할 수 없지만 벤야민이 매우 친숙하게 사용하는 개념들, 이론들, 이데올로기들의 유래를 추적해서 밝혀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느닷없이 솟구쳐 오르는 번득이는 통찰의 아름다움을 놓치지 말고 잘 붙잡아두었다가 옮겨 담아야 한다.
    하지만 이런 어려움들이 이 번역본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소시켜 주지는 않는다. 이 책의 역자가, 20세기 독일 지성계의 귀중한 유산을 번역, 소개하기 위해 오랫동안 애써온 반성완 교수라는 점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이 번역본이 지닌 문제점이 무엇인지 몇 가지 사례를 들어보자.
    [번역가의 과제] 앞부분에 해당하는 320쪽의 논의를 보자. 번역문은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어떤 상대적 개념들은, 그것들이 처음부터 인간들에게만 관련되지 않는 경우에만 그 자체의 가장 좋은 의미를 보유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그래야만 우리는 잊을 수 없는 삶이나 아니면 잊을 수 없는 순간―비록 우리가 그것을 까마득히 잊고 있다고 하더라도―이라는 말을 운위할 수가 있을 것이다. 이를 테면 그러한 삶이나 순간이 잊혀져서는 안된다는 요구를 할 경우, 잊혀져서는 안된다는 이 말은 오류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에게 해당되지 않는 요구를 내포하고 있을 따름이며, 나아가서는 동시에 인간에게도 해당될 수도 있는 어떤 영역 즉 신에 대한 기억에 대한 암시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상대적 개념들]은 원문이 'Relationsbegriffe'이니까 [관계 개념들], 또는 [관계적 개념들]이라고 번역해야 한다는 건 매우 사소한 문제다(하지만 321쪽의 논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질적인 문제다). 맞줄 사이의 [우리]도 'alle Menschen'의 번역이니까 [모든 인간들]로 바뀌어야 한다는 것 역시 사소한 문제다. 그러나 [인간에게 해당되지 않는 요구]를 [인간이 부응할 수 없는 요구]로 고쳐야 하고, [인간에게도 해당될 수도 있는 어떤 영역 즉 신에 대한 기억]을 [그러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어떤 영역, 즉 신의 기억]으로 고쳐야 한다는 건 중대한 문제다. 번역문만으로는 벤야민의 논점이 무엇인지 제대로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바로 뒤에 나오는 “언어적 형상의 번역성 여부는, 그것이 비록 인간의 힘으로는 도저히 번역될 수 없는 것이라고 하더라도 계속 논의의 대상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도 [비록 '어떤' 언어적 형상물들이 인간에게는 번역될 수 없다 하더라도, 이 형상물들의 번역 가능성 역시 이와 마찬가지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수정되어야, 앞의 논의와 일관성있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321쪽의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문은 그것이 번역될 수 있음으로 해서 번역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이다”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번역은 원전의 번역 가능성 덕분에 원전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된다]와 같이 주어를 바꿔 번역해야 역시 논의의 문맥이 이해될 수 있다. 이것들은 이 번역본이 지닌 문제점의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시간이 있고 지면이 허락한다면 이런 문제점은 수도 없이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에는 벤야민 전공자가 여럿 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벤야민 저작의 번역이 이처럼 더딘 이유를 잘 모르겠다. 이제 제대로 번역된 벤야민 저작들을 읽고 싶다는 게 단지 나의 바램만은 아닐 것이다. 무거운 짐을 떠안기는 것 같아 딱하기도 하지만, 그들이 아니면 이 일을 누가 감당하겠는가? 벤야민 전공자들의 노력을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건축가의 특별한 여행법
홍성용 글, 사진 / 발언(건설기술네트워크) / 200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체력의 한계 때문에 한 달 내지 두 달 동안 하는 배낭여행은 나에게 맞지 않는다. 아마도 그렇게 여행을 한다면 모르긴 몰라도 여행했던 기간만큼 몸져 누워있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다행히 유럽에서 몇 년간 지냈던 관계로 주변국을 게릴라 식으로 여행할 수 있었다. 개인적으로 건축/미술 등등 문화에 관한 관심이 있어서 원하든 원하지 않든 테마를 가진 여행을 계획하고 한 달에서 여러 달 정도의 충분한 계획기간을 갖고 휴식 같은 2박 3일 정도의 여행을 하곤 했다.

여행 책자를 기본으로 몇 가지 참고했었던 도서들은 여행을 하면 먹어봐야 할 알려진 현지 음식들이나, 미술, 건축에 관련된 것이었는데, 그 중에서도 홍성용의 <건축가의 특별한 여행법>은 제목만으로 인터넷에서 선택하여 주문해, 내가 원하는 여행지를 선정하고 계획할 수 있는 기초 도서가 되었다.

전혀 다른 문화의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들을 보면서 갖는 색다른 느낌 그리고, 그 속에서 때론 발견하게 되는 반가운 동질감, 동지감... 따라서 새삼 감탄하게 되는 다양함...
건축에 관한 입문서라고 해도 손색이 없다고 생각한다. 지은이와 여행을 하면서 결국 한국의 서울이나 지방의 도시들에 대해, 가깝게는 자신이 살고 있는 동네를 어떻게 하면 멋지게 고풍스럽게 나름대로의 개성을 유지시키며 발전시킬 수 있을까를 함께 고민해 볼 수 있으므로...

"지은이 홍성용은 건축가/인테리어/상업공간 디자이너로서 홍익대와 동환경대학원에서 건축을 전공하고 큐빅디자인, 정림건축을 거쳐 현재 도시건축집단 ILLO의 소장으로 있다. 세계 여러나라의 건축세계를 여행한 후 4회에 걸친 개인 사진전을 했으며, 건축의 다양한 접근 방식에 대한 이해로서 영화를 아이콘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고...

10대에 뛰어나다고 인정을 받아야 하는 것이 음악 연주가라면, 90대까지 자신의 생을 통해 작품을 점차 인정받을 수 있는 직업이 건축가라고 하는데, 이것은 건축이 얼마만큼 종합적인 지식과 지혜를 바탕으로 완성되는가 하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 아닐까 한다.

"글마다 서울이나 지방의 도시들을 생각하면서 정리를 했다. 뉴욕을 거닐면서 테헤란로와 을지로, 여의도가 떠올랐고 홍콩의 도심을 거닐면서 테헤란로가 연상됐다. 퀘벡의 오래된 구도심을 거닐 땐 안국동이 떠올랐고 교토를 갔을 떈 경주가 아쉬웠다. 이렇게 다녀보면 우리나라도 꽤 많은 양념을 가진 나라다. 단지 후손의 모자람이 양념을 버무리지 못해서 그렇지 말이다..."

옥의 티라면 오자들... 이거 찾아내면 출판사님, 선물주시는 거 어떨까요? ㅋㅋ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5-04-15 14: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5-04-15 14:45   URL
비밀 댓글입니다.
 
두려움과 떨림
아멜리 노통브 지음, 전미연 옮김 / 열린책들 / 2002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처음 읽으면, 통쾌하고 조금 있다보면, 씁쓸하고, 생각해 볼수록 꺼림직하게 된다. 비단 일본인의 이야기만이 아니라는 생각을 하면 이윽고는 황당하기까지 하다.
가만히 있으면 중간이라도 간다. 라는 지극히 한국적인 속담이 서양인의 관점에서 얼마나 비생산적인지 아멜리, 그녀는 자신의 일본에서의 직장경험을 예로 여실히 보여준다.
자신이 아니라도 누구나 할 수 있는 일들에 만족하지 않으며, 여태껏 일본의 직장인이라면 그리고 으레 여직원이면 시작하는 일의 단계를 건너 뛰고 그녀의 상사 Miss Mori, 즉, 나무랄 데 없는 후부키가 우려할 정도의 고도의 승진(?)을 꿈꾸는 일을 시도한다.

아멜리의 일본여성에 대한 관심은 남다르다. 야마도 나데시코라는 향수어린 전통적이고도 이상적인 일본여인상을 이해하기에 후부키와 같은 그녀들이 제도 내에서 겪는 모순된 점을 결코 놓치지 않고 파악하고 있다.

“….여성들에게 적용되는 규정에는 앞뒤가 맞지 않는 측면이 있었다. 기를 쓰고 일하면서 나무랄 데 없는 사람이 되다 보면 결혼을 하지 않고 스물다섯을 넘기게 되고, 결과적으로 이게 흠이 되었다. 이 제도에서 보이는 사디즘의 절정은 제도 자체의 논리적 모순에 있었다. 제도에 충실하다 보면 결과적으로 제도에 충실하지 못하게 된다는 점. 

스물아홉에 남편이 없다는 유일한 결함과 함께 잘못이라곤 자신의 모든 것을 듣고 배워온 대로 일에 남김없이 소진시킨 것 밖에 없는 후부키는 또다른 나의 모습이기도 하다. 하지만, 조금 더 설명하면, 누군가 원해 주었다고 해서 한 남성과 결혼을 했다 할지라도 자신의 주부로서의 희생이 당연한 행복으로 되돌아 온다는 보장 또한 있지는 않다는 것이, 이 길을 택할 수도 또한 저 길을 택하였다고 해도 안심할 수 없는 진퇴양난스런 점인 것이다.

단지, 남에게 내세울 자신에 대해 조금 덜 수치스러워진다는 것뿐 더욱이, 회사라는 유기체의 하나의 부속으로서 밤 늦도록 열심일 남편에 대한 사랑이 없다면 오히려 이러한 시간들을 조금 더 아파하지 않고 버텨낼 수 있다고 아멜리는 언급하기도 한다.

 

끊임없이 자신을 설명하고 화해하고픈 진심을 보이지만, 응답없이 자신을 적으로 간주하는 이 아름다운 후부키에게 결국 자신의 1년의 계약기간이 도래했을 때 아멜리는 과거 일본 황실에서 천황을 알현할 때 사무라이가 취하던 <두려움과 떨림>의 자세로, 아니, 두려움의 가면을 쓰고 떠는 듯한 가장으로, 그녀를 비롯한 자신의 상사들을 만족시킨다.

제 계약 만료일이 가까워 오고 있습니다. 그래서, 아쉽지만 계약을 갱신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알려 드리려고 왔습니다 유미모토사는 제게 능력을 발휘할 기회를 여러 번 주셨습니다. 죽을 때까지 고맙게 생각할 겁니다. 안타깝지만, 제게 과분하게 해 주셨는데도 저는 걸맞은 모습을 보이지 못했습니다. 라고

 

구사하는 사람이 많지 않은 언어는 - 한국어도 그렇지만, 일본어의 경우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그 나라의 언어를 다른 피부색을 가진 또는 다른 국적을 가진 사람이 구사한다는 것 자체가 놀라움이다. 예상외로 현지인처럼 멋지게 구사한다면, 뭔가를 들키는 것처럼 징그럽게 불편해질 때도 있다. 아마도 아멜리도 마찬가지의 경우를 당한 것이 아니었을까 한다. 그녀에겐 여타 외국인과 같은 짧은 시간 비즈니스 일어를 독파한 것 외에, 그곳에서 보낸 어린시절이란 남다른 기간이 있다. 일본 문화를 체험했고 이해하고 있는 것이다. 외교관이었던 아버지를 따라 일본, 베이징, 뉴욕, 방글라데시, 보르네오, 라오스 등 유럽스럽지(?) 않은 이국적인 곳에서 유년기와 청소년기를 보냈던 것이다.

어렸을 때의 환상으로 대한 나라에 느낀 실망스런 점이라 더욱더 그 극을 치닫는 지도 모르겠지만, 조용하고도 여실한 그녀의 말투에 귀기울이는 것이, 한국의 독자로 하여금 여전히 과거에 대한 자성의 기미를 보여주지 않고 있는 작금의 일본을 이해하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한다.

난 일본이란 나라가 가지는 일본 여성에 대한 시각과 함께, 권위적인 조직 체계, 비효율적인 사무처리 등에 대한 약자로서의 작가의 신랄한 비판에, 울수도 웃울수도 없는 감정을 오가며 단번에 이 책을 읽어내어 버릴때까지 손에서 내려놓치 못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5-04-19 13:22   URL
비밀 댓글입니다.
 


Rodney Graham

Oxfordshire Oak, Banford, Fall, 1990

Photographic print
47 x 41 cm
Edition of 500
Signed and numbered by the artist


The inverted image of a tree has become recognised as a Rodney Graham hallmark and forms part of an ongoing 15-year project. This iconic image is seen in popular science books illustrating optical illusions and appears in seminal texts by theorists like semiologist Ferdinand de Saussure and psychoanalyst Jacques Lacan. Graham's work is represented in Canadian, Dutch, German and French national collection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omas Ruff

d.p.b.08, 2000/2002

C-Print
30 x 42 cm
Edition of 250
Signed and numbered by the artist

One of Germany's leading contemporary artists, Thomas Ruff has created a number of photographs in response to Mies van der Rohe's buildings especially for the exhibition. d.p.b.08, 2000/2002 takes as its subject Mies' most famous building, the German Pavilion at Barcelona.

"When Mies' German Pavilion was built for the 1929 International Exposition, it must have looked like a UFO had landed in Barcelona. Speed in photography is always blurry, and my picture of the German Pavilion looks like a high-speed locomotive - modernity arriving at the train station of the present.'"
Thomas Ruff, 200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