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 유년의 기억, 박완서 타계 10주기 헌정 개정판 소설로 그린 자화상 (개정판) 1
박완서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박완서 지음, 웅진지식하우스, 2021


 

작가는 자신의 삶을 순전히 기억만으로자전적 소설을 썼다. 남에게 보여주지 않는 전제로 쓰는 일기마저도 자신에게 유리하게 각색하기 마련이다. 작가는 단편적인 기억들을 상상력으로 연결했다고 밝혔다. 남 부끄러워할 만한 이야기를 서슴없이 기록한 것을 보면 상상의 이야기처럼 읽히기도 한다.


 

분단 이후 우리 사회는 레드 콤플렉스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가족 중에 누구 하나 빨갱이라는 낙인이 찍히는 순간, 제대로 취직하기도 힘들었다. 21세기를 사는 요즘도 여전히 색깔론이 회자되는 것을 보면 우리 사회는 여전히 레드 콤플렉스를 극복하지 못했다. 선거철마다 색깔론을 들고 나오는 것을 보면 아직까지 먹혀 들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 아닌가 싶다.


 

나는 레드 콤플렉스와는 무관한 사람이라 생각했다. 그런데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를 읽으며 내 안의 레드 콤플렉스를 마주하게 되었다. 적극적 친일은 아닐지라도 일제 치하에서 배 곪지 않고 살았다거나, 6.25전쟁 당시 의용군으로 끌려갔다는 이야기는 오늘을 사는 우리도 쉽게 할 수 있는 이야기는 아니다. 그런데 1990년대에 이런 이야기를 담았다는 것에 놀라웠다. 소설가에게는 의미 없는 문장이 없다고 하니 아무 생각 없이 쓴 것은 아닐 것인데, ‘주사파 빨갱이프레임이 횡횡하던 1990년대에 이런 이야기를 발표했다는 것이 놀라웠다. 이렇게 써도 탈이 없었나 싶을 정도로 읽는 독자로서 자기검열을 하고 있었다.


 

일제 패망의 순간도, 6.25전쟁이 발발한 순간에도 애국적 열망과 당위를 주장하기 않고, 묵묵히 살아내는 일상을 생각의 가감없이 이야기하고 있어 놀라웠다. 작가 스스로 자전적 소설이라고 밝혔고, ‘순전히 기억만으로’ ‘상상력을 가미하여쓴 이야기라고 밝혔음에도, 읽는 내내 마치 자서전을 읽듯, 1990년대에 이렇게 사실대로, 레드 콤플렉스도 없이 기록했다는 것이 놀라웠다.


 

자기 검열 없는 듯 쓰여진 이야기에 여전히 자기 검열하며 살아가는 나를 마주하는 일은 유쾌하지 않지만, 여전히 자기 검열하는 나를 마주하며 진정한 자유가 무엇인지 고민한 것은 무척 유쾌했다. 현저동 고개에서 마주보며 앞으로의 역사를 기록하기로한 작가의 다음 이야기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도 기대된다.


 

그건 내 꿈 속의 꿈, 가장 내밀한 욕망이었다.
그것이 현실이 되어 바로 목전에 예비돼 있었다.
그 엄청난 자유를 어떻게 쓸 것인가,
악용, 선용, 남용, 절제 아무거나 다 매혹적이었다.
앞으로는 모든 것을 그것과 더불어 공모하리라.(260)


 

부역에 대해 한 점 부끄러움도 없이 결백하다고 주장하기 위해서는
한강 다리를 건너 피난을 갔다 왔다는 게 제일이었다.
그래서 자랑스러운 반공주의자 내에서도 도강파라는 특권계급이 생겨났다.
시민들은 안심하고 생업에 종사하라고 꾀어 놓고
떠난 사람들 같지 않게 안아무인이었다.(293)


 

* 해당 도서는 출판사로부터 무상으로 제공받았으며, 제 주관에 따라 솔직하게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