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인생을 바꾼 한 권의 책 - 부와 행복의 길로 이끌어준 46가지 깨달음
잭 캔필드.게이 헨드릭스 지음, 손정숙 옮김 / 리더스북 / 2020년 12월
평점 :
품절
<내 인생을 바꾼 한 권의 책>, 잭 캔필드/게이 헨드릭스 지음, 손정숙 옮김,
리더스북, 2020
신영복 교수는 ‘세상에서 가장 먼 여행이 머리에서 가슴까지, 그리고 가슴에서 발까지의 여행’이라고 했다. 머리로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보다 실천하고 행동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일 것이다.
책을 읽으면 몰랐던 사실에 대해서 깨닫는 부분도 있고, 알고
있지만 놓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도 새삼 깨닫게 된다. 책을 읽을 때는 이것도 하고 싶고 저것도 하고
싶다는 마음이 들다가도 막상 책을 덮으면 다시금 언제 그랬냐는 듯 기존의 생활을 되풀이한다.
가끔 주변에서 ‘인생의 책’이
무엇이냐고 물어오곤 한다. 사실 내가 읽은 모든 책이 오늘의 나를 만들었다는 생각에 ‘모든 책이 인생의 책’이라 답하고 싶지만, 묻는 사람의 기대를 저버리는 현문우답이란 생각에 애써 한 권을 골라 설명한다.
‘인생 최고의 날은 아직 오지 않았다’는 말을 차용해 ‘인생의
책은 아직 읽지 않은 책’이라고 이야기하곤 했다.
한 권의 책으로 인생이 바뀔 수 있을까 의문을 가졌던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내 인생을 바꾼 한 권의 책>을 통해 단 한
권의 책으로도 인생이 바뀔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내 인생을 바꾼 한 권의 책>을 소개한 46명은 인생의 변곡점에서 우연히 만난 한 권의 책으로
인생이 바뀌었음을 증언하고 있다.
마침내 “넌 할 수 없어”라고 말하는 이들 말고
내가 밟아가야 할 바람직한 단계를 제시해주는 사람들을 만난 셈이었다.
그들의 격려 덕분에 과거에는 해내지 못했던 어려운 공부를 해냈다.
그들은 아무것도 보장해주진 않았지만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꿔주었다.
내 태도도 변했다.
이제 나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자 희망이 생겼다
- 루디 루티거 (30쪽)
나도 또한 낮은 자존감, 열등감, 두려움 등 내 몫의 악마와 싸우고 있음을 깨달았다.
내가 맞닥뜨린 가장 악랄한 악마들은 내 정신 속에 있었던 셈이다.
- 다이엔 윌슨 (38쪽)
꾸밈없이 내 인생을, 하루를, 이 순간을, 지금 앉아 있는 이곳에 비치는
태양의 아름다움을 곱씹으며 나는 만족한다.(…)
내 인생 경험에서 두 가지만은 분명하게 말할 수 있다.
첫째, 우리 인생이 앞으로 어떤 모습일지는 아무도 모른다는 것.
둘째, 자신의 인생을 받아들이고 계속 앞으로 나아가겠다고 마음먹었다면
항상 “오케이”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
- 다이엔 윌슨 (48쪽)
나 스스로에게 끊임없이 물었다. 이게
가치 있는 일인가?
질문에 대한 대답이 항상 같지는 않았다.
내가 이렇게 노력해봐야 무슨 소용이랴 싶은 날도 분명 있었고,
정말 이게 가치 있는 일인지 자문하는 날도 있었다.
어찌 되었든 결론은 이게 내 일이라는 것이었다.
- 웨이프 에스퀴스 (90쪽)
사막을 어떻게 건너야 할지는 몰랐지만
첫발을 어떻게 내딛는지는 알았다.
- 아밀리아 안토네트 (138쪽)
첫째, 내가 목표를 분명히 설정하지
않았다는 것.
둘째 종종 다른 사람들에게 ‘비생산적’으로 보이면
어쩌나 하는
죄책감에서 일하고 있었다는 것.
셋째, 내 삶이 너무도 일사분란하게 조직화되어
익숙하지 않은 것을 대하면 두려움에 빠지게 됐다는 것이었다.
이런 습성들은 압도적인 힘으로 내게 성공을 가져다주었지만
나의 영혼과 정신을 파괴하고 있었다.
- 팀 페리스 (158쪽)
그는(빅터 프랭클) 실제로 많은 시간을 행복 속에서 보냈다.
우리의 행복이 외부 환경에 좌우되지 못한다는 것을 알았기에 가능한 일이다.
행복이란 선택의 문제일 뿐이었다.
- 도린 버추 (162쪽)
다른 사람에겐 어려운데 내겐 쉬운 것이 무엇인가?
돈을 벌지 못해도 오랫동안 하고 싶은 일이 있는가?
대답이 나왔다면 그것을 바탕으로 주변 사람들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
스스로에게 이런 질문을 던져보니 사업 아이디어가 쉽게 떠올랐다.
- 파라 그레이 (171쪽)
인생을 바꾼 책이라고 하면 고난을 행복으로 바꾼 책이라 생각하겠지만, 막스
에델만은 행복을 고난으로 바꾼 책도 있음을 이야기한다. 2차 세계대전 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은 막스 에델만은
히틀러가 쓴 <나의 투쟁>이라는 책 한 권으로
행복한 일상을 죽음의 공포로 바꾸었다고 이야기한다. 당시 유대인에 대한 차별은 히틀러의 제3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민주 국가’에도 있었음을 깨닫는다. 지금 난민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선과 다르지
않아 더욱 가슴 아팠다.
히틀러가 당긴 유대인에 대한 증오의 불길이 마구 번져나가면서
내 고향 마을에서도 유대인을 겨냥한 물리적 공격이 눈에 띄게 잦아졌다.
삶은 점점 더 견디기 버거워졌다.
우리 가족은 왜 떠나지 않았느냐는 질문을 종종 받는다.
우리도 떠나려 시도했지만 선택의 여지가 별로 없었다.
전 세계 민주 국가들이 유대인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했기 때문이다.
대안이라곤 조상의 땅인 이스라엘로 돌아가는 것이었지만
이마저도 꿈 같은 희망 사항이었다.
수백만 명의 다른 유대인들처럼 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우리 가족도 포로가 되고 말았다.
- 막스 에델만 (204쪽)
자유의 몸이 된 데 대한 감사도 잠시,
나는 곧 자기 연민에 빠지고 말았다.
‘풀려났으니 다행이야, 그래 좋아. 하지만 난
장님이 됐잖아’
내 동생을 빼곤 우리 가족도 모두 사망했다.
나는 혼자나 마찬가지였다. 너무 두려웠다.
포로수용소에서 늘 따라다녔던 죽음의 공포보다
눈앞에 놓은 삶이 더 무서웠다.
나는 살아남은 소수의 행운아였지만
히틀러의 책이 불러일으킨 참상은 평화가 찾아온 이후로도
계속해서 나를 파괴하려 들었다.
- 막스 에델만 (206쪽)
헬렌 켈러는 이렇게 썼다.
“교육의 가장 숭고한 결과는 관용이다.
물난리와 천둥 번개도, 도시를 파괴하는 자연의 잔인함도,
관용을 잃어버린 편협한 한 사람이 자행하는 파괴력에 미치지 못한다.
그는 수없이 많은 귀중한 목숨과 삶을 인류에게서 앗아간다.”
- 막스 에델만 (208쪽)
아직 읽지 않은 내 인생의 책을 위해 오늘도 열심히 책을 읽어야겠다고 다짐하며, 머리로 이해하고 가슴으로 공감하는 것들을 실천하고 행동하고자 다짐한다.
* 해당 도서는 출판사로부터 무상으로 제공받았으며, 제 주관에 따라 솔직하게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