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빌리브 미
JP 덜레이니 지음, 이경아 옮김 / 문학동네 / 2020년 7월
평점 :
<빌리브 미>, JP
덜레이니
지음, 이경아 옮김, 문학동네, 2020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상황에서 화자인 주인공 클레어의 이야기를
정말 믿어야 하는지 의심이 되는 대목애서는 영화 <인셉션>을
연상케했다.
나는 하나의 인격체라고 느끼지만 때로 밖으로 보여지는 모습은 상반된 모습으로 보여지고 한다. 지킬과 하이드 같은 다른 인격체는 아니지만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을 연기하듯 다양한 페르소나가 혼재하고 있다.
배우들도 배역에 대해 깊이 몰입해 빠져나오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다는 이야기도 들었다. 이를 연극성성격장애라고도 한다는데, 꼭 배우 뿐만 아니라 누구든
내안에 존재하는 다양한 페르소나를 인지하면 그 다양한 페르소나 중 진정한 나는 어떤 모습인지에 대한 고민에 빠질 만하다.
가상의 설정 안에서 진실하게 행동하는 것이다.
당신도 알게 되겠지만,
그 두가지는 완전히 다르다.(21쪽)
생각하지 마라.
연기는 가장하거나 따라 하는 게 아니야.
연기는 하는 것이다. 이게 핵심이다.(60쪽)
<빌리브미>는
주인공 클레어가 배역에 너무 충신한 나머지 연극성성격장애를 겪는 것은 아닌지, 그래서 독자를 '인셉션'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끊임 없이 고민하게 한다.
연극성성격장애(HPD)는 B군 정신과적 장애의 일종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HPD 진단을 받은 환자의 80퍼센트가
여성이다.
그들은 지나칠 정도로 자살이나 자해를 하는 경향이 있다.
나는 연극성(histrionic)이라는 단어가 오늘날 불명예스럽게 회자되는
히스테리(hysteria)라는 단어에서 유래했으며,
이 단어는 또 ‘자궁’을 의미하는 그리스 단어에서
생겨났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312~313쪽)
나는 누구를 믿을 것인가? 나는 나를 믿을 수 있을 것인가? 아니 믿고 있는가?라고 <빌리브
미>는 내게 질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