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속 천문학 - 미술학자가 올려다본 우주, 천문학자가 들여다본 그림 그림 속 시리즈
김선지 지음, 김현구 도움글 / 아날로그(글담)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 속 천문학>, 김선지 지음, 아날로그, 2020


오지의 섬에서 온 밤하늘이 별로 가득한 광경을 보며 황홀경에 전율한 적이 있다. 흔한 북두칠성과 카시오페아 자리는 쉽게 찾을 수 있다고 생각했는데, 별이 워낙 많아 쉽게 찾을 수 없었다. 가장 밝은 별이 1등성이라는데 하늘에 뜬 모든 별이 1등성처럼 보였다. 그 전율에 별자리 책을 몇 권 사서 매일 밤 암흑에서 별자리를 찾으며 우주로의 여행을 했었다.


이 경험을 더 어린 시절에 했더라면 분명 천문학을 했을 거라는 생각이 들정도로 깊이 빠져들었었다. 서울의 하늘에서는 도시 불빛으로 더 이상 별이 쏟아지는 밤하늘을 볼 수 없지만, 가끔 오리온 자리의 삼태성이 보이거나 하면 그 때의 장면과 감동이 살아나기도 한다.


지난 621, 2020년대 마지막 일식을 보며 태양계와 우주를 떠올렸는데, <그림 속 천문학>을 통해 다시금 우주로의 여행을 떠나는 계기가 되었다.


<그림 속 천문학>은 미술사학자가 들려주는 명화와 태양계 이야기이다. 그리스 로마 신화 속 장면을 주제로 그린 회화와 조각을 바탕으로 신화 속에 담긴 태양계 이야기와, ‘, 우주, 밤하늘을 그린 화가들의 이야기를 전해주고 있다. 태양계 행성과 그리스 로마 신화를 담은 미술 작품을 통해 우주와 신화, 미지의 세계로 여행을 떠나도록 해준다.


그리스 로마 신화의 등장인물의 이름을 가진 태양계 행성과 위성들. 그리스 로마 신화 속 등장인물들로 명명되었다는 것을 알았지만, 행성의 모양이나 특성까지 유사하다는 사실이 놀랍다. 이름만 같을 뿐 전혀 연관성이 없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서로 묘하게 닮은 듯한 이야기가 신비롭고, 그림 속에 담긴 그리스 로마 신화의 이야기와 함께 접하니 행성에 대한 애착도, 그리스 로마 신화에 대한 애착도 커지는 것 같다.


태초에는 이른바 위대한 여신이 우주의 최고신이었고,
후에 남신들이 누리던 지위는 원래 이 위대한 여신의 것이었다.
이집트신화의 이시스, 수메르신화의 이난다, 바빌론신화의 이슈타르 등
고대 근동의 여신들이 이러한 위대한 여신의 범주에 드는데,
근동의 문명이 고대 그리스로 전승되면서
위대한 여신의 개념이 그리스 신화의 가이아로 이어진다.(123~124)


헤르메스의 어원인 헤르마경계석이라는 뜻인데,
경계석은 고대에 한 마을이 시작되는 지점에 세워둔 돌이다.
따라서 그리스인들에게 헤르메스는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가는
경계를 넘나드는 신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얼핏 복잡해 보이는 헤르메스의 성격은 이러한 경계를 넘나드는
융통성으로 정의된다고 보면 쉽고 간단하다.(143)


아테나도 전쟁의 여신이지만 아레스와는 달리,
전략과 전술로 전쟁을 승리로 이끄는 지혜로운 여신이다.
여기서 전쟁의 두 가지 모습이 나타난다.
보통 우리가 생각하는 전쟁은 피비린내 나는 처참하고 잔혹한 아레스의 전쟁이다.
한편 아테나의 전쟁은 사회와 문명을 지키기 위한 정당하고 정의로운 전쟁이다.(171)


그리스 로마 신화 속의 같은 장면을 화가마다 다르게 묘사한 작품들을 함께 비교함으로써 텍스트에 담긴 그리스 로마 신화보다는 더욱 생동감이 느껴졌다. 미술사학자가 들려주는 그림 속 천문학이야기를 통해 태양계 행성에 대한 이해와 함께 회사에 담긴 그리스 로마 신화 이야기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었다.


원래 플루토는 카론, 스틱스, 닉스, 케르베로스, 히드라 같은
위성을 5개나 거느리고 있는 태양계의 아홉 번째 행성이었다.
그런데 행성으로 보기에 플루토는 너무 작았다.
크기는 우리 달의 3분의 2이며, 질량은 달의 6분의 1, 지구의 0.22배에 불과했다.
그래서 2006년 국제천문연맹에서 비슷한 규모의 다른 작은 천체들과 함께
왜소행성으로 분류했고, 마침내 태양계의 행성의 자리에서 쫓겨나
왜소행성 134340번이라는 이름을 받는 수모를 겪는다.(76)


1864, 그 존재가 드러난 해왕성은 사실 관측에 의해서가 아니라,
태양계에서 유일하게 수학적 계산을 통해 발견한 행성이다.(
)
천왕성이 있어야 할 자리에 없었고, 갈수록 예상 위치와 실측 위치가 달라졌다.
이를 이상하게 여긴 프랑스 수학자 위르뱅 르 베리에가
이것은 보이지 않는 어떤 행성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궤도를 수학적으로 계산해 새로운 행성이 어디에 있는지 예측한다.(1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