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늙은 여자 - 알래스카 원주민이 들려주는 생존에 대한 이야기
벨마 월리스 지음, 짐 그랜트 그림, 김남주 옮김 / 이봄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두 늙은 여자, 벨마 월리스 지음, 짐 그랜트 그림, 김남주 옮김, 이봄, 2018.


<두 늙은 여자>는 알래스카를 무대로 살았던 전통 부족의 삶을 그린 소설이다. 알래스카 전통 부족 아바타스칸족인 작가 벨마 월리스의 첫 번째 소설인데, 어머니로부터 들었던 두 늙은 여인과 그들의 생존에 대한 이야기를 소설로 섰다고 한다.


소설의 제목이자 주인공이기도 한 <두 늙은 여자>, ‘칙디야크는 알래스카 전통 부족 내에서 가장 나이가 많다. 또한 불평도 가장 많은 사람들이었다. 사냥감이 없어 더욱 혹독한 겨울에 부족장은 중대한 결정을 내린다. 먹을 것이 부족하니 부족 중 두 늙은 여자를 남겨두고 떠나기로 결정한다. 대를 위해 소를 희생한다는 명분으로 내려진 결정에 누구도 반대하지 못한다. 반대하는 사람도 남겨질 것을 알기에 모두가 침묵하는 가운데, 칙디야크의 손자만이 항의하지만 결국 두 사람을 남겨놓고 부족원들은 떠난다.


힘이 없어 힘든 일도 못한다고 불평하던 두 사람은 가만히 앉아 죽음을 맞이할 것인지, 살아남기 위해 이동을 할 것인지 선택의 기로에서 어차피 죽을 거라면 뭐라도 해보고 죽자며 길을 떠난다.


우리가 이 세상을 떠나야 할 때는 아직 멀었어.
하지만 그저 여기 앉아서 기대리기만 한다면 우리는 반드시 죽고 말거야.”(
)
그래, 사람들은 우리에게 죽음을 선고했어!
그들은 우리가 너무 늙어서 아무 짝에도 쓸모가 없다고 여기지.
우리 역시 지난날 열심히 일했고 살 권리가 있다는 것을 그들은 잊어버렸어!(
)
친구야. 어차피 죽을 거라면 뭔가 해보고 죽자고.
가만히 앉아서 죽음을 기다릴 게 아니라 말이야.”(28~29)


이들은 그동안 잊은 줄 알았던 사냥 본능을 깨우고, 손수 눈신발을 만들어 여름 숙영지를 향해 떠난다. 얼어붙은 강을 건너고, 눈구덩이를 만들어 잠을 자며 한 걸음 한 걸음 내딛는다. 이들은 눈을 뜨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면서도 함께 있는 동료를 의지하며 숙영지에 다다른다. ‘두 늙은 여자는 살아남았다. 물고기를 저장해둘만큼 식량도 비축해놨다. 한편 부족장을 비롯한 부족원들은 두 늙은 여자를 남겨두고 떠났다는 사실에 죄책감을 느끼고 있었다. 다만 누가 먼저 입밖으로 이야기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부족원들은 두 늙은 여자와 헤어졌던 야영장으로 돌아오게 되고, ‘두 늙은 여자가 죽지 않고 떠났음을 알고, 이들을 찾아 나선다.(줄거리 생략)


사람, 짐승, 나아가 나무까지 압도하는 대지의 힘에 감탄했다.
그들 모두는 대지에 의존하고 있었다.
대지의 법칙에 복종하지 않는 부주의하고 무가치한 생명에는
즉각 죽음이 닥칠 터였다.(60)


우리가 한 걸음 한 걸음 걸을 때마다
우리가 가려는 곳에 가까워지는 거야.
오늘 나는 몸이 좋지 않지만, 내 마음은 몸을 이길 힘을 갖고 있어.
내 마음은 우리가 여기서 쉬는 대신 앞으로 나아가기를 원해.
그게 내가 하고 싶은 일이야.”(69)


<두 늙은 여자>를 통해서 삶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 효율성과 대의를 내세우지만 대를 위한 소의 희생이 결코 옳은 선택은 아님을 깨닫는다. 날로 경쟁이 치열해지는 사회에서 낙오는 당연한 것이라는 인식도 팽배해져 가는 듯하다. 김성회 CEO리더십연구소장은 자신의 책 <센 세대, 낀 세대, 신세대 3세대 전쟁과 평화>에서 스펙 쌓기 경쟁으로 개인주의화된 사회에서 놀이 문화도 바뀌어 깍두기 문화가 없어졌다고 소개한다. ‘깍두기란 김치 깍두기가 아니라 놀이에서 가장 힘이 약한 사람을 가장 강하게 만들어주는 특권이었다.


깍두기는 자신의 팀에 넣으면 손해가 될 수 있는 어리바리한 사람을 뜻한다.
예전에 아이들이 놀 때는 깍두기의 법칙이란 게 있어서
나이가 어린 동생들도 잉여 멤버로 끼워 같이 놀 수 있었다.
상대 편이 한두 명 더 많아도 문제 삼지 않고 같이 놀았다.
-
김성회의 <쎈 세대, 낀세대, 신세대 3세대 전쟁과 평화>(87)


알래스카 부족의 깍두기와 같은 두 늙은 여자는 부족으로부터 그리고 가족으로부터 버려졌다는 사실에 배신감이 들어 분노하기도 하고, 눈앞에 다가온 죽음에 두려움이 생긴다. 혹독한 추위에 먹을 것도 하나 없는 상황에서 두렵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


두 여인은 빽빽한 버드나무 군락과 숲속에서 그들을 기다리고 있는
피에 굶주린 모기떼를 만나야 한다는 것이 반갑지 않았다.
하지만 사람에 대한 두려움이 더 컸다.(102)


하지만 가만히 앉아 있어도 죽으니 죽기 전에 뭐라도 해보자며 꿋꿋이 살아내는 칙디야크와 샤를 보며, 삶은 포기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길을 열어준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또한 잃어버린 깍두기 문화도 되찾고 싶은 마음이 든다. 나는 과연 약자, 소수에 대한 배려를 실천하고 있는지 돌아보며 반성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