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군자론 - 리더는 일하는 사람이다
이한우 지음 / 쌤앤파커스 / 2020년 2월
평점 :
『군자론』, 이한우 지음, 쌤앤파커스, 2020.
<군자론>은
공자의 <논어> 등을 바탕으로 리더, 즉 군자는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해 서술한 책이다. 저자는 <논어> 등 경서를 ‘오랜
시간 반복하다 보니 혼자의 능력이로 경서를 읽어가는 힘’이 생겼고, 그렇게
<논어> 이해하면서 기존의 해석과는 다르게 새롭게
해석한 내용들을 담고 있다. 여러 번역본을 비교하며 저자만의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고 있다.
<군자론>은
부제 ‘리더는 일하는 사람이다’ 처럼 공자가 말한 군자는
말을 하는 사람이 아니라 ‘일이 되게 하는 사람’이라고 한다. 어떻게 일이 되게 하는 사람인지에 대해서는 머릿속에 쉽게 정리되지 않았다.
역사서와 철학서를 읽는 이유는 단지 당시 시대를 온전히 이해하고자 하는 것에 머물지 않고, 역사와 철학을 통해 오늘을 바라보기 위함이 아닐까 싶다. 그렇기에
공자 사후에 이루어진 해석은 해석하는 시점의 시대상이 반영될 것이다. 오늘날에도 당연히 오늘의 시대상이
반영되어 해석되다 보니 과거와는 다른 해석도 충분히 가능한 것이 아닐까 싶다. 옳고, 그리고, 맞고, 틀리고의
문제는 아닐 듯 싶다.
리더가 되라고 권력을 주었더니 군주가 되고자 할 경우 교만해지고, 그로
인해 ‘새로운 길로 인도해줄 스승 같은 신하가 가까이할 수 있는 여지가 없다’는 지적은 몇 년전 우리의 눈으로 목도한 상황이어서 공감이 간다.
리더가 되라고 했더니, 군주로 군림하고자 했던 지도자로 인해
우리의 삶이 얼마나 불행해 질 수 있는지 우리는 목격했다. 공적 권한을 사사로운 이익을 쌓는 수단으로
사용하고, 국정을 농단하는 사태를 목도했다. 그 리더에게
‘새로운 길을 인도해줄 스승과 같은 신하가 가까이 갈 수 있는 여지가 없었다’는 것은 개인에게도 불행이지만, 공동체에도 불행이었다.
군주란 그 나라의 규모가 크든 작든 모든 권력을 장악한 사람이다.
이때 가장 경계해야 할 것은(…) 교만이다.
이만하면 되었다는 어설픈 만족감이다.
이런 사람들은 당연히 새로운 것을 배우고 익히려 하지 않는다.
귀찮고 번거롭고 지겹기 때문이다.
여기서 문제는 더 이상 나아가려 하지 않는 지도자에게는
새로운 길을 인도해줄 스승과 같은 신하가
가까이 갈 수 있는 여지가 없다는 사실이다.(37쪽)
<논어>를
완전히 깨친 저도, 완독한 적도 없어서 이해가 잘 되지 않는 부분도 있겠지만, 철학서가 아닌 교양서인 만큼 <논어>를 잘 몰라도 쉽게 이해될 수 있게 쓰여졌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