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가 괜찮으면 누가 퇴사해 - 청년들의 불안하고 불행한 일터에 관한 보고서 이웃집 연구자 2
천주희 지음 / 바틀비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회사가 괜찮으면 누가 퇴사해, 천주희 지음, 바틀비, 2019


<회사가 괜찮으면 누가 퇴사해>는 청년 퇴사자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일터에 관한 이야기이다. 청년, 여성, 노동, 빈곤, 소수자에 관심이 많은 저자 천주희는 청년 퇴사자를 만나 인터뷰한 내용을 토대로 이 책을 저술하였다.


한국 사회에서 퇴사란 일하지 않는 상태,
즉 실업자를 자처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부정적인 사회적 편견은 

퇴사를 둘러싼 사회적 맥락은 보지 못하게 만들고,
개인의 문제로 치부한다.
특히 불안정한 노동시장이 고착화된 상태에서,
퇴사는 단순히 실업으로 등치시킬 수 없는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 (112)


노동시장이라는 거대 담론을 우리가 함께 고민해야 하는 이유이다.


청년들은 일터에서 상식적이고 합법적인 수준에서의 처우와 관계를 원하지만 기성세대가 일터에서 생각하는 상식합법은 청년들의 생각과 상당한 간극이 있을 터이다. 저자는 이 간극을 줄이는 출발점을 오늘날 한국 사회가 놓여 있는 상황과 일터의 풍경을 직접적으로 그릴 수 있는 청년 퇴사자의 목소리를 통해 전하고 싶었던 것 같다. 갈등을 해소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이야기를 경청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책에서 전하는 청년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보자.


1장 취업시장의 문턱


개인이 경제구조를 바꿀 수는 없다.
사회는 점점 일하는 사람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경제성장도 과거처럼 급격하게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20~30
대 청년들은 잦은 퇴사를 경험하면서,
취업준비라는 것이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상시적인 것임을 자각한다.
오래된 스펙은 다시 갱신해야 하고,
취업 후에도 더 나은 나를 위해 전문성을 취득해야 한다.
하지만 그럴수록 개인은 점점 노동시장에서 소외된다. (28)


2장 수상한 노동 세계


낯선 환경에서 처음 일을 하는 사람이 입사하자 마자 업무에 능숙할 리 만무하며,
동료를 하대하는 문화는 평등한 일터로 가는 데 방해가 된다.
또한. 미숙하므로 임금을 적게 줘도 된다는 관습은
사회초년생들에게 투잡을 강요하거나 이직을 고려하는 계기가 된다.
하지만 이직을 하기 위해서라도 경력이 필요하다.
경력을 쌓기 위해 저임금, 위계적이고 폭력적인 조직문화, 고된 노동환경 등이
부당하다고 느낄지라도 참아내고 있었다. (58)


3장 일신상의 사유


일터는 꼬리표처럼 늘 따라다니고 이직을 할 대 전 직장의 평가는 중요해 진다.
평판 조회가 신경이 쓰이기에 일신상의 사유로 쓰고
무난하게 퇴사하는게 답이라고 생각한다.
비자발적인 퇴사가 자발적인 퇴사로 포장되는 것처럼 보였다.
사람들이 일터에서 겪었던 폭력이나 부당함을
퇴사 후에도 드러낼 수 없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생각해야 한다. (108)


4장 퇴사란 무엇인가


중요하 것은 취업과 실업을 반복하는 동안에
일이란 무엇인지 물음을 던지는 것이다.
어떤 직장이 비합리적인 곳인지, 폭력적인 곳인지, 열악한 곳인지,
자신에게 맞는 일터의 기준을 만들고 찾아가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개인은 주체적인 사람으로 일을 하게 된다.
겉보기에는 일과 실업을 반복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자기 탐색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나만의 서사는 강한 힘을 지니게 된다. (137)


5장 퇴사해도 괜찮은 사회


사회가 퇴사해도 괜찮은 사회가 되어야 한다”()
퇴사해도 괜찮은 사회란() 일하는 사람이 본인의 의지에 따라
안전하게 퇴사할 수 있는 분위기가 형성되는 사회를 뜻한다. (140~141)



지난 20년 동안 청년들은 구조적으로 점점 악화되는 고용과 실업 문제를 경험해왔다. - P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