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 만드는 사람 - 국토·역사·정체성을 만든 근대국가의 기획자들
설혜심 지음 / 휴머니스트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랜드 투어] 저자의 또 다른 저서!

지리... 라는 것은 대저 정확한 학문으로 여겨지기 마련입니다. 그야 지도에 그려진 산이나 강이 도망가지는 않을 테니까요.

그러나 저자는 서문에서부터 지리학의 계보를 되짚고, 그 정의를 새롭게 고찰합니다.

동양에서는 지리가 기전체 사서의 지志 파트에 들어가지만 서양에서는 중세 이전에는 여행기로 다루어졌고, 중세에 접어들면서 편년체 왕사나 성인담이 역사의 주류가 되면서 밀려났다는 모양입니다. 근대 과학이 발전하면서 지리학은 비로소 과학의 영역에 편입되었으나.....

저자는 역사지지 라는 관점에서 언제부터 영국사에서 국토를 '공통의 역사적 공간'으로 파악했는지 조망합니다.

그렇습니다! 저자의 주장에 의하면 지도는 사실 그 자체가 아니라 '사실의 모방'으로서 국가가 영토적 통제를 구성해 온 권력의 도구였던 것이지요.

이러한 양상 변화를 이 책에서는 1부 '읽는 지도'-역사지지서, 2부 '보는 지도'-지도의 보급, 3부 '듣는 지도'-영국 국가 정체성 형성의 세 시기로 분석합니다.

1부의 시기는 헨리 8세의 종교개혁과 영국에 인문주의가 유입된 시기이기도 합니다. 특히 존 릴런드라는 인물을 소상히 분석하는데 고아였지만 운 좋게 부유한 포목상에게 입양되어 당시에는 표본이라 할 만한 인문주의 교육을 받았다고 합니다. 헨리 8세의 종교개혁을 도와 수많은 수도원 장서를 처리하면서 내면에 왜곡이 쌓여 버린 걸까요? [고대 브리태니카]라는 책을 펴내어 고대 영국의 역사 지리를 총망라하고자 하였으나 헨리 8세가 죽자 실성해버렸다고요. 지식인의 복잡한 심정....

덧붙여 영국에서는 흥미롭게도 아서 왕 전설도 당당한 역사로 편입시켜 이탈리아의 역사가 버질이 [영국사]를 편찬하면서 아서 왕 전설을 부정하자 릴런드를 비롯한 영국 학자들이 개빡쳐서 디스하는 양상도 재미있었습니다. 응당 영국 왕실이 아서 왕을 상징으로 삼고자 했을 때 이 역사학자들 중 누구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지요. 아서 왕은 실존한다...! 뭐 그런?

그리고 중세 이후 사실적인 지도가 만들어진 바탕에는 절대왕정의 군주들이 지도 제작에 열을 올리면서라고요. 이혼 소동으로 대륙으로부터 고립되면서 방어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 지도에 관심을 가졌던 헨리 8세를 비롯해서 말이죠. 영국의 팽창을 드러내는 해외 지도와 여왕의 초상이 들어간 지도 등은 지도가 분명 국가 프로파간다의 성질을 지녔음을 드러내줍니다.

또한 17세기 후반에는 국왕=국가 이미지가 국민=국가로 이행하면서 영국의 명소, 영국성을 정의한 여행기 등이 주목을 받게 되었다지요.

지도는 이미지로 '국가'의 공간을 인식하는 수단이었습니다. 그리고 그랜드 투어는 유럽 측면의 시각에서 영국의 정체성을 정립한다는 게 저자의 주장-

호? 이렇게 이어지나요?

아. 책에 누군가가 연필로 낙서를 해두어 짜증났는데 밑줄 친 부분 자체는 본문의 핵심을 제대로 정리하고 있었습니다(....) 맘 먹고 공부하는 사람의 소행임이 확실하네요. 실컷 욕해주고 싶지만 본문 읽는 데에 도움이 되었음은 부정할 수 없었습니다...=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