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 권하는 사회에서 부자되는 법 - 경제 멘토 KBS 박종훈 기자의 생존 재테크
박종훈 지음 / 21세기북스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빚 권하는 사회에서 부자되는 법

 

현대 사회에서 누구나 다 빚을 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빚'이라는 것은 하물며 신용카드를 쓰고 있는 것도 카드사에 돈을 빌려서 쓰는 것이라고 생각이 든다.

물가는 오르지만 월급은 오르지 않고 금리는 낮고, 점점 돈 모으는게 어려워져 간다.

 

이 책은 제목도 매력적이지만 책의 내용은 더 매력적이다.

어렵게만 느껴진 경제에 대한 내용을, 우리가 이미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부분을 쉽게 정리해서 알려주었다.

그리고 책을 읽으면서 '나도 관리를 잘 하고 있는건가' 라고 생각이 들었던 부분들에 해답을 얻기도 하였다.

 

책내용 중 및줄 친 부분이 많지만, 그중에서도 맞벌이 부부에 대한 조언이 가장 잘 읽혔다.

 

책에서는 맞벌이를 하면 빚에서 벗어나 좀더 경제적으로 자유를 누릴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런 가구들이 더 많은 빚을 지게 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한다. 상식적으로 생각을 해 봤을때, 수입이 1인가구 혹은 외벌이가구에 비해 많게는 2배 적게는 그래도 1.5배 정도 많으니 당연히 지출이 더 많을 거 같다고 생각이 든다. 돈은 번 만큼 쓴다는 내 개인적인 견해로 봤을때 그러하다.

그리고 이러한 맞벌이의 함정에 빠지지 않으려면 부부가 서로의 재정상황을 투명하게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고, 노후 계획과 재테크 목표를 세우고 공유해야하며, 서로의 재무 상태와 재테크 목표를 공유한 이후에 그 기반으로 위험관리를 시작해야 한다고 한다. 우리 부부도 맞벌이 부부이고, 결혼 전에 서로의 씀씀이를 파악하고 가지고 있는 보유 자산, 그리고 급여를 알게 되었다. (이는 결혼 전에 아는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더불어 책은, 통장을 지출 및 저축 통장으로 나누라고 조언한다. 스스로 과도한 지출을 하거나 빚을 지는 선택의 기회 자체를 없애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인데, 지출은 가급적 불편하게, 저축은 쉽고 편하게 만드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지출 통장은 기존의 월급 통장을 그대로 활용하는것이 유리하고, 우선 월급통장에 월급이 입금되면 그 다음날에 공과금이 빠져나가도록 출금날짜도 설정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추후 공과금이 다 출금이 되면, 한달 치 생활비만 남겨놓고 나머지 돈을 모두 저출통장으로 옮겨야 한다. 그리고 지출통장에 남은 돈으로 한달을 생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해야 한다고 한다. 그리고 저축통장에 대한 관리는 저축통장은 지출이 아닌 저축을 위한 통장이므로 여유 자금이 생기면 지출 통장에 놔두는 것이 아니라 저축통장으로 옮기는 것을 습관해 해야 한다고 한다.

우리 부부에 빗대어 봤을때, 자금 관리는 모두 내가 하고 있는데 책을 보니 나도 꽤나 잘 관리하고 있다는 기분이 들었다. 남편의 월급으로 생활비 지출을 하고 내 월급으로는 모두 적금을 들기로 하였다. 우리 부부는 처음부터 없이 시작하였기 때문에 전세자금대출을 받아 집을 구하였고, 3년 이내에 전세금을 갚아서 추후 매매로 집을 알아보자는 계획도 세웠다. 이것이 재테크 목표이기도 하겠다. 대신 우리는 통장은 총 세개로 나누었다. 남편의 월급이 들어오면 생활비 통장이 따로 있기때문에 한달에 쓸 생활비를 그 통장에 옮겨 놓는다. 그리고 그 생활비 통장은 체크카드와 연계가 되어 있다. 그리고 남편의 한달 용돈을 제외하고 나머지 돈을 내 통장으로 입금 시켜준다. 우리는 그 통장을 데이트 통장이라고 하는데, 모든 공과금은 그 통장에서 나가게 된다. 그리고 그 통장은 당연히 체크카드와 연계가 되어 있다. 내 월급은 고스란히 그저 저축통장이 되버렸다. 데이트 통장에서 공과금이 나간 후 남은 돈은 저축통장으로 들어 가게 된다. 책에서 나온대로 두개는 아니지만 나름 통장 쪼개기를 하고 있다는 사실에 뿌듯하기도 했다.

 

빚의 실체를 정확히 파악하고 통제할 수 있는 기술은 '빚테크'이다. 그리고 삶을 위협하는 요소가 되지 않도록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으로 빚을 적절히 통제해나가는 것이 빚테크의 핵심이다. 이 책은 자신만의 빚테크를 하는 여정을 소개 해준다.

하지만 우리가 대부분 상식적으로 알고 있는 것이다. 가령 신용카드 대신 체크카드를 쓰며, 저축을 하고, 대출 한도를 조정하고, 너무 많은 빚을 지지 않으며, 과도한 소비를 하지 않는 것 등이다. 어려운 경제용어가 많이 보이지 않아서 더 읽기 쉬웠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