넉 점 반 우리시 그림책 3
이영경 그림, 윤석중 글 / 창비 / 2004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넉 점 반

아기가 아기가
가겟집에 가서
"영감님 영감님
엄마가 시방
몇 시냐구요."
"넉 점 반이다."

"넉 점 반
넉 점 반."
아기는 오다가 물 먹는 닭
한참 서서 구경하고.

"넉 점 반
넉 점 반."
아기는 오다가 개미거둥
한참 앉아 구경하고.
(...)

아기는 오다가 분꽃 따물고 니나니 나니나
해가 꼴딱 져 돌아왔다.

"엄마
시방 넉 점 반이래.."


금방 책 받았다. 생각지도 못한 선물은 언제나 즐거워~
잘 볼께.

넉점반 참 재미있더라.. 그냥 한번 주욱 훓어봤는데..
1940년대에는 時를 點으로 불렀나보네.. 중국어는 아직도 點(띠엔)인디.. ^^;;

갑자기 어릴 적 생각이 나네..

울 할배가 아프실 땐데.
갑자기 아이스크림이 먹고 싶으시다고,
200원을 주시면서 하나는 너 사먹고 하나는 사와라~ 하셨거덩.

당시 아이스크림 파는 가게는 동네 초입에서 약간 벗어나 외따로 떨어져 있다고 '외말리'라고 불리는 곳에만 있었어.

거기까지 가서 당시로선 흔치않던 콘 아이스크림 두 개 사가지고,,
지나오던 길에 친구 만나서 자랑하고, 한참 놀다가, 어영부영..

머, 넉점반의 애기처럼 해질때까지 있진 않았지만, 여튼 한여름에 어영부영하다보니..
집에 도착했을 땐 아이스크림이 거의 사라져가고 있더라구..

물론 내 껀 친구들 한입씩 주기도 하고, 콘 부스러기까지 벌써 먹어치웠으니 걱정없었지만.

기다리던 할배는 얼마나 안절부절하셨겠어. 안 봐도 뻔하지.

마구 호통을 치시더군.

호통이 무섭기도 하고, 사라진 아이스크림에 당혹스럽기도 하고 머 그랬덩거같애.. ^^;;


엄마
시방 넉 점 반이래..


라면으로 점심 먹기로 하고 물을 올려놨더라구.
만회하려고 물이 끓자마자 라면을 집어넣고 내가 직접 끓였지.
라면 여섯개 넣고 스프 넣고 남비뚜껑을 살짝 덮어놓곤, 기다렸지.
계란은 좀 있다 넣어야지..하면서.

근데, 기다리다 밖에서 친구들 노는 소리 듣고 잠깐 나갔다가 한참을 놀다 왔네. 라면은 머리 속에서 사라져버렸구.. 헤~~ ^^

그날 식구들 모두, 바닥이 약간 타게 눌어붙은 퉁퉁 불은 라면을 먹으면서,

나를 흘깃 쳐다보는데..

어린 나이에도 정말 미치겠더라.. ㅡㅡ;;

알다시피 라면 정도면 특식이었잖아.. 그게 아무나 할 수 있는게 아니더라구.

...
이제는 넉점반은 훨씬 지나 버렸고, 아이스크림은 금방 녹아버린다. 라면도 넣자마자 익어버리구.. 그렇게 길고도 길던 시방이 짧아지고 짧아져,

"지금"라고 말하는 순간 그 지금은 이미 지금이 아닌 세상이렸다..

그래두, 할배와 아이스크림에 대한 내 기억은 여전히 시방이겠지?


엄마
시방 넉 점 반이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겔란쏘 프라도 지음, 이재형 옮김 / 현실문화 / 2000년 10월
평점 :
절판


 "넌 나랑 똑같은 걸 보고 겪은 거야. 단지 그걸 나랑은 다른 식으로 해석했을 뿐이지."
                                                                                                             -- S.S. 반 디네.

"여긴 정말 이상한 곳이에요. 방파제는 엄청나게 큰데 배는 두어척 밖에 없고, 낙서들은 여러나라 말로 갈겨 쓰여져 있는가 하면, 여자 혼자 잡화점을 꾸려 가고, 그 여자 아들은 수수께끼에 둘러싸여 있으니...
...지도에는 나와 있지도 않고, 꼭대기엔 폐쇄된 등대만 우뚝 서 있는 아주 작은 섬에 이 모든 것이 다 모여 있다니.."

이 만화책은, 외딴 섬에 흘러들어간 한 남자와 그보다 먼저 와 있던 한 여자,
그리고 섬에서 여관, 술집, 식당을 겸해서 하고 있는 아줌마와 아들.
..정도가 등장인물의 전부다.

외딴 섬이니 뭔가 사건이 발생할 것 같다.
살인사건처럼 섬뜩한 일이 일어난 뒤 주인공에게 탐정 역을 맡겨도 되겠고, 아줌마와 여인을 둘러싼 삼각관계, 혹은 강간 정도는 나올 법도 하다, 아주 당연히..

물론 살인도 나오고 강간도 나오고 삼각관계도 펼쳐지지만 결코 사건이 되지는 못한다.
그래서 이 만화는 탐정만화도, 로맨스도 아니다.
각 에피소드는 파편화되어 있고, 그것들이 모여서 어떤 전체를 구성할 의지도 그다지 노출시키지 않는다.

하나의 끈을 잡고, 그것을 줄거리라 생각하고 끝까지 가더라도, 결국 독자는 자신이 타고온 줄기 전체를 재배치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줄거리란 어떤 관계를 형성시키는 것이다.
원래 따로 떨어져 있던 명사들을 조사로 연결시키기.
한 곳에 고정된 덩어리들을 동사로 운동시키기.

<섬>에서 등장하는 각 요소(인물, 배경, 그림 등..)들은 모두 그 자체로 하나의 섬들이다.

연결이 되더라도 배와 섬의 연결일 뿐이고,
운동이 발생한다 해도 대륙이 되지는 못한다.

짧은 순간, 나름의 방식으로 상대에 대한 호의를 베풀고 어떤 인연의 끈을 잡아보려 노력하지만,
그들은 끝까지 하나의 섬으로 남아 있을 것이다.

아주 긴 방파제를 가진 이 섬의 모양은,
바다 저멀리 누군가에게 손을 내밀고 있는 형상으로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상대에게 내민 손은 가끔, 혹은 항상,
상대의 가슴을 찌르는 바늘이 되곤한다.

책상 한곳에 꽂아두고 한번씩 그림도 들춰보고,
이리저리 내 맘대로 줄거리도 만들어보면 나름 괜찮을 것 같다.
그림은 하나하나 공을 들였고,
줄거리는 지겹지 않을 정도로 모호하다.
그러나 혹, 그러다 영원히 고립된 섬이 되어 버리지나 않을란가?


"우리는 조그맣고 보잘 것 없는 어떤 섬에 배를 댔는데, 이 황량한 바위섬에는 도마뱀과 갈매기, 수줍음을 타는 노파와 말이 적고 거칠어 보이는 남자, 상스럽고 단정치 못한 여인이 살고 있었다. 이 세 사람이 어떤 관계인지는 쉽게 단정지을 수 없었다. 이 섬에서는 외딴 언덕 위에 우뚝 서 있는 폐쇄된 등대를 제외하면 그들의 집이 유일한 건물이었다. 그 집은 더럽고 다 쓰러져가는 데다 썩어서 악취에 가까운 기름 냄새가 짙게 배어 있었다. 물론 그들은 아주 싼 값에 방과 음식을 주겠다고 말했지만, 우리는 차라리 배에서 저녁을 먹고 자는 쪽을 택했다.

바로 그날 밤, 산드라가 꼭 샴페인을 마시겠다고 고집을 피웠다. 다섯 잔을 마시고 나서 취하기 직전의 경이로운 영감의 상태에 사로잡힌 그녀는 등대에 올라가자고 제안했다. 마르띤은 거절했다. 그러나 나는 깊이를 헤아리기 힘든 심연으로 이어지는 광채가 그녀의 눈에서 반사되는 걸 보는 순간 그 제안을 받아들였다."

                                                                                -- 아르망 실라스, <욕망의 빛>, 1988.

"실라스 자신의 말에 따르면, 그의 두 번째 에로틱 소설인 <욕망의 빛>은 자전적 체험을 다루고 있다.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이것이야말로 이 소설이 불러 일으킬 수 있는 유일한 관심거리-불건전한 호기심-이다. 독자들은 언급할 만한 그 어떤 다른 가치도 이 책에서 발견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A. 카사스, <욕망의 빛>에 대한 비평, 199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