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같은 신화 - 그림에 깃든 신화의 꿈
황경신 지음 / 아트북스 / 200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황경신의 전작, <그림 같은 세상>을 너무도 재미있게 읽었던 지라 이번 책 <그림 같은 신화> 역시 많은 기대를 할 수 밖에 없었다. 다행히도 저자는 그런 내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다. 그녀가 들려주는 '그림, 그리고 신화' 이야기는 이전에 들어오던 '누가 어쩌구 저쩌구해서 결국 이렇게 저렇게 됐데'류의 스토리 전개식 신화와는 전혀 달랐으니 말이다. 


어렸을 때부터 우리는 많은 <신화>를 듣곤 했다. 어릴 적에 난 "신들이 뭐 이렇게 째째해?"라며 코웃음을 치곤 했는데, 그건 바로 서로 질투하고 치고 받고 싸우고 복수하는 신들의 모습이 너무도 '신답지 않은 행동'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제 와 생각해보니 <신화>는 그 어떤 믿음이나 신앙이 아닌, 우리네 인간 세상의 단면들을 그대로 담아내어 그 안에서 깨달음을 주는 이야기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림 같은 신화> 안에는 열 여섯가지의 이야기가 각각 <사랑>, <욕망>, <슬픔>, <외로움>이란 키워드로 묶여 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프시케나 아프로디테, 판도라의 이야기는 물론, 이름조차 생소한 아리아드네, 세멜레, 메데이아 등등 다양한 신(또는 인간)들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익히 잘 알고 있던 인물들이라고 해서 흥미를 잃을 필요는 없다. 여기에는 각 신화를 표현한 그림들과 그것들을 바라보는 황경신만의 감성이 잘 녹아있어, 이미 알고 있던 이야기를 통해 새로운 깨달음을 주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특히 <메두사>편이 그랬다. 그저 '저주와 공포의 대명사'로만 알고있던 메두사의 기구한 운명에 대해, 작은 실수로 인해 그녀가 받은 처절한 고통에 대해 새롭게 조명하며, 마침내 독자는 메두사를 '무서운 존재'가 아닌 '가녀리고 불쌍한, 슬픔의 존재'로 받아들이게 된다. 
 

문득 예전에 가수 김창완씨가 황경신씨를 두고 했던 말이 기억난다. "황경신보다 글을 잘 쓰는 사람은 있겠지만, 황경신같이 글을 쓸 수 있는 사람은 없다." 뭐 이런 뉘앙스의 코멘트였는데, 그말에 100% 동의했다. 그도 그럴 것이, 그녀의 글은 마치 지문과도 같이 '난 황경신이 쓴 글'이라고 자신을 드러내고 있었으니 말이다. 이런 그녀의 글이 너무 감상적이라고 하는 이들도 있고, 매번 비슷하다라며 비판하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다행히도 나는 그녀만의 색깔이 담긴 그 글들을 너무나도 좋아했다. 이번 책 역시 그녀 아닌 다른 사람이 쓸 수 없는 그런 글들이어서 난 너무도 좋았다. 벌써부터 그녀의 다음 책이 너무도 기다려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