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명의 충돌
새뮤얼 헌팅턴 지음, 이희재 옮김 / 김영사 / 199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재미가 없다. 출판된 당시와 내가 읽은 지금과의 시차 때문인가? 출판 당시 전 세계의 학자들이 주목했다는 서평들이 허풍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특히 책 뒤에 서평을 쓴 후쿠야마의 경우 개인적으로 별로 좋아하지 않는 사람이라 읽기 전부터 김이 빠졌다. 책을 읽다 후쿠야마의 책이 인용된 것들을 발견하면서 헌팅턴 역시 후쿠야마의 밑도 끝도 없는 싸구려 논리를 되풀이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들었다.
무엇보다 책의 내용은 냉전이 끝나고 세계의 대립과 갈등은 이념이 아닌 문명 간의 갈등이라 주장한다. 그 문명은 크게 서구, 이슬람, 중화, 라틴아메리카, 아프리카, 일본 등을 들었다. 그리고 각 문명들은 그간 세계의 영향력에서 서구의 입김은 약해지고 비서구 문명의 입지는 높아진다고 진단한다. 그러면서 서구와 비서구 간 갈등이 있을 거라는 예측이 주요 내용이다.
그러나 그는 과연 문명이 무엇인지에 대해 정확한 설명을 하지 않는다. 문화와 문명 간의 차이를 부정하는 듯 보이는 것 같고 심지어 때로는 둘 다 동의어로 보는 듯 싶기도 한다. 따라서 일본의 경우 중화와는 별도의 독립된 문명이라는데 사실 그것이 근거가 의심스럽다. 후쿠야마가 트러스트란 책에서 밑도 끝도 없이 세계에는 고신뢰 국가와 저신뢰 국가가 존재하고 앞으론 고신뢰 국가만 살아남고 세계를 주도할 것이란 전망을 했었는데 고신뢰 국가를 미국, 일본, 독일 저신뢰 국가를 프랑스, 한국, 중국으로 예를 들었다. 물론 그 논리에는 어떠한 근거나 증거도 없이.. 마찬가지로 <문명의 충돌> 역시 문명에 일본을 든 것은 이해가 가지 않는다. 반면 한국은 중화 문화권에 주변국으로 전락시킨다. 중화 문화권이라는 것에 한자와 유교, 대승불교 등의 공통점은 있으나 언어가 다르고 체제가 다르며 역사가 다른데 일본 역시 마찬가지임에도 일본은 독자적 문명국으로 한국은 중화 문명국의 소국으로 설명한 대목은 의아하다.
무엇보다도 그는 문명 간 충돌을 지나치게 강조한다. 문명 간 충돌하는 것은 인정하지만 같은 문명 내 충돌은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타 문명 간 충돌만 예를 들고 그것을 보편적 이론으로 설명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뿐만 아니라 타 문명 간의 관계에는 충돌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경쟁도 있으며 배척도 있고 또는 교류라는 중요한 관계도 있다. 타 문명 간 충돌을 설명하지만 동남아의 예를 들면 다양한 문명권. 헌팅텅이 제시한 이슬람, 서구(필리핀 등), 중화(베트남), 불교, 힌두교 등의 여러 문명권이 있으나 자국 내 정치적 불안에 의한 반군 간 갈등은 있지만 문명 간의 갈등이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것은 관찰되지 않는다. 반면 같은 서구 문명권이라고 하지만 라틴아메리카 내 각국의 전쟁과 갈등, 미국과 멕시코, 혹은 쿠바 등등과의 갈등은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이는 헌팅턴이 문명 간 충돌한다는 것이 잘못되었거나 문명에 대한 정의가 잘못됨을 말하는 것이 아닐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명의 충돌>은 중요한 저서임에는 틀림없다. 왜냐하면 각국의 충돌에 대한 설명으로 이념이 보편적 상식으로 자리 잡다가 냉전이 끝난 후 증가되는 각국 간의 분쟁과 긴장고조가 설명되어지지 않았던 것을 문명의 충돌이라는 논리로 제법 명쾌하게 설명하는 축에 속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책의 내용이 아니라 그 시도 및 의도가 돋보이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