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 눈 1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24
마거릿 애트우드 지음, 차은정 옮김 / 민음사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학, 페미니즘, 인권, 환경, 등 캐나다 거장인 애트우드는 방대하고 풍부한 이야기들을 독자들에게 들려주고 있다. 다작하는 작가로 알려져 있지만 나는 마거릿 애트우드 작품을 접해본 적이 거의 없다. 민음사 패밀리데이 행사에 구매한 < 홍수의 해>작품을 읽고, 모호한 경계 선상에 놓여 있는 언어들을 보고 겁을 먹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마거릿 애트우드니까, 그녀의 대표작인 <고양이 눈> 작품을 읽기 시작했다.

작품은 인생인 중반기를 지나고 있는 화가인 일레인이 개인전을 위해 고향인 토론토로 향하며 어린 시절을 회상한다. 한 곳에 곤충학자인 아버지 덕분에 한곳에서 정착한 적이 없던 일레인 가족들은 토론토라는 도시로 이사하게 된다. 공사를 맡았던 업자가 파산함으로써 전쟁이 휩쓸고 간 것처럼 집 내부와 외부는 엉망진창이다. 학교는 집과 상당히 멀어 통학버스를 이용하였고, 같은 학년인 캐럴과 같이 통학하며 자연스럽게 친구가 된다. 캐럴은 학교가 끝난 후 일레인을 자신의 집에 초대한다. 캐럴의 집은 일레인 집 형편 보다 나았다. 캐럴 역시 일레인 집을 방문했고, 남들로부터 자신이 우월하게, 경외하게 보이기 위해 도시 밖에서 지내온 일레인 가족들의 처지를 가미하여 전교생에게 말한다. 캐럴에게는 또 다른 친구 그레이스가 있었다. 이들은 토요일마다. 모여 놀이를 즐겼는데, 놀이의 주도권은 언제나 그레이스였다. 시간이 지나 소녀들의 삶에서 잠시 벗어나 돌아온 일레인은 코딜리어를 만나게 된다. 코딜리어는 가정부까지 고용하고 있는 부잣집에서 살고 있다. 이들 친구는 코딜리어 주도하에 일레인을 이유 없이 괴롭히기 시작한다. 스스로 발의 살갗을 벗겨내며 견뎌내고 있던 일레인은 피가 얼어붙은 강가에 홀로 남게 이후 친구들을 외면하고, 어울리지 않게 되면서 [고양이 눈 1] 작품은 마무리된다.

[고양이 눈 1] 작품은 난해하지 않고 큰 줄기가 있어 길을 헤매지 않았고 가독성은 보통이다. (마거릿 애트우드 다른 작품도 읽을 자신감이 생겼다. 뿜뿜!!) 작품을 읽으면서 어린 시절 '나'와 만나게 된다. "우리는 보다 인내심 있게 집중할 수 있죠. 접시에 담긴 음식을 남기지 않고, 끈을 모아 두죠 우리는 주어진 형편대로 꾸려 가며 살아요."(P162) 어린 시절 집안의 형편이 넉넉하지 않다는 것은 어느 정도 알고 있었지만 당시 아파트에 살고 있던 친구 집을 방문한 이후부터 집이 부끄럽기 시작했다. 친구들도 초대하지 못했고, 어린 마음에 친구들에게 다른 집을 우리 집이라고, 소개하기도 했다. 이러한 것들이 나의 성장과정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끼쳤는지 모르지만 요즘따라 집을 꾸미는데 물욕이 많아졌다.

소속감은 연령대를 가리지 않는다. 부모들에 의해서 혹은 비슷한 거주지 또는 같은 학원을 다니는 등 여러 가지의 이유로 무리를 지어 논다. 그 무리 안에는 강자가 있고 약자가 존재하며 무리 밖에 퇴출되지 않도록 미묘한 신경전이 있기 마련인데 남성보다는 여성들 무리에서 더욱더 치열하다. 마거릿 애트우드는 페미니즘 작가답게 서로를 보듬고 챙기는 연대하는 여자들을 소설에서 보여주었지만 이번 작품은 결이 다르다. 일레인이 그러하듯 무리 밖으로 밀려나갈 때 많은 이들은 저항보다는 자신으로부터 문제의 실마리를 찾으려 한다는 게 안타깝다. 앞으로 여자친구들과 일레인의 관계는 어떻게 흘러갈지 고양이 눈을 닮은 구슬이 상징하는 바가 무엇일지 생각하며 [고양이 눈 2]를 읽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