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교자 (양장)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41
김은국 지음, 도정일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6.25 전쟁이 발발하기 직전 평양에서 기독교 목사에 대한 대대적인 숙청이 자행된다. 열네 명의 목사가 공산군 비밀경찰에게 끌려갔고, 그 중 두 명만이 살아 남았다. 그나마 한 명의 목사는 정신에 이상이 생겼다.

1950년 11월, 평양을 수복한 후 육본 정보처 장대령은 이 집단 처형 사건을 수사하게 된다. 장대령은 열 두명의 목사가 살해당한 사건을 정치적으로 이용하고자 했고, 변수를 최소화 하고 싶었다. 장대령에게 변수는 신목사였다. 그가 무엇을 알고 있는지, 진실이 무엇인지에 따라 정치 선전에 문제가 생길 수 있었기 때문이다. 장대령이 원하는 최상의 그림은 열두 명의 목사가 공산군에게 의연히 맞선 순교자가 되는 그림이었다.

장대령은 이대위를 시켜 살아남은 신목사와 미쳐버린 한목사가 공산군에게 부역하고 목숨을 구걸한 것은 아닌지, 열두 명의 최후가 어떠했는지 조사하게 한다.

하지만 신목사는 처형 당시의 일을 전혀 알지 못한다고 증언한다. 그리고 자신들이 살아남은 것은 신의 개입이 있었기 때문이라는 애매한 증언을 할 뿐 그 외의 질문에는 일절 대답하지 않았다. 장대령은 이대위에게 그들이 부역한 정황이 있는지 매우 다그쳤지만, 이대위는 어쩐지 신목사가 자신들이 알지 못하는 진실을 감추고 있다고 느낀다.

그러던 중, 이대위의 친구이자 중앙 교회 목사의 아들인 김대위가 평양으로 온다. 김대위는 어렸을 적 아버지의 광신적인 태도 때문에 불화하다 의절까지 했었다. 이제 그가 궁금해하는 것은 자신의 아버지가 과연 죽음 앞에서도 과거의 태도를 고수하다 사망했는가였다. 만일 그러한 광신적인 태도를 견지하다 사망했다면 아버지가 죽었을지라도 화해는 불가능할 것이었다.

진실을 둘러싸고 신목사의 침묵은 이어지고, 장대령은 어느 순간 신목사의 부역 행위에는 관심이 없다는 태도를 보인다. 사실 장대령은 죽은 열두 명의 목사가 순교자로 추앙 받기만 하면 정치적인 선전 활동에는 지장이 없었다. 그가 우려한 것은 신목사가 열두 명의 목사가 순교자가 되지 못하는 증언을 할까 우려했을 뿐이었다.

그리고, 한자락 진실이 밝혀진다. 열두 명의 목사는 의연하게 사망하지도 않았고, 서로 밀고했으며, 박대위의 아버지는 끝내 공산군에게 협조를 거부하긴 했지만 자신의 신에 대해서도 절망하여 기도를 올리지 않은 채 사망했다. 정작 최후까지 저항했던 것은 신목사였다.

신목사는 침묵으로 그들을 보호했으나 어느 순간 입을 연다. 모두들 그가 무슨 말을 할지 긴장한다. 뜻밖에도 그는 죽은 열두 명의 목사가 의연하게 죽음을 맞이했고, 자신이 비겁했었노라고 말한다. 진실과는 전혀 동떨어진 발언이었다.

 

열두 명의 목사가 처형 당했다. 그들은 공포에 질렸고, 서로를 배신했으며, 자신의 신을 저버렸다. 그 와중에 한 명의 목사가 미쳤고, 의연하게 버티어 살아남은 목사는 진실의 수호자가 된다.

 

진실은 하나이지만, 장대령과 이대위, 신목사, 고군목, 박대위는 각기 다른 진실을 요구한다. 아니, 그들이 요구하는 것은 진실이 아니다. 자신들의 욕망이 투영된 '증거'로 진실을 재구성하고자 한다. 신목사는 끝내 진실을 은폐한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말을 한다.

 

나는 인간이 희망을 잃을 때 어떻게 동물이 되는지, 약속을 잃었을 때 어떻게 야만이 되는지를 거기서 보았소......희망 없이는, 그리고 정의에 대한 약속 없이는 인간은 고난을 이겨내지 못합니다. 그 희망과 약속을 이 세상에서 찾을 수 없다면(하긴 이게 사실이지만) 다른 데서라도 찾아야 합니다.

 

신목사는 진실보다 중요한 것은 희망이라고 말한다. 그 희망이 없어 인간이 야만이 된다면, 진실이 무슨 의미가 있는가고 묻는 것이다.

 

1932년 함흥의 기독교 집안에서 태어난 김은국은 1947년 공산주의 정권을 피해 남한으로 내려와 목포에서 고등학교를 마친 후 1950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에 입학한다. 그러나 곧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해병대에 입대하여 참전한 후, 미군 사령관 아서 G.트루도 소장의 주선으로 미국으로 건너간다.

1964년 발표된 <순교자 The Martyred>는 김은국의 처녀작으로 언론과 문단의 호평을 받았고 20주 연속 베스트셀러를 기록하기도 한다. 국내에서는 1965년 유현목 감독이 영화화하였다.

한국과 미국을 오가며 다수의 한국소설을 영어로 번역하여 미국에 소개하였고, 다큐멘터리 작업에도 참가한다. 한국계 작가로는 처음으로 1967년 노벨문학상 후보에 올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