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편지하지 않다 - 제14회 문학동네작가상 수상작
장은진 지음 / 문학동네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집배원으로 일하다가 직장을 그만 두고 편지여행을 떠난 '나'의 기록이다. 당뇨로 시력을 잃은, 할아버지의 안내견 와조가 함께 하는 이 여행은 이제 3년에 접어 들고 있다. 

'나'는 원래 말을 심하게 더듬었다. 발명을 위해 물리교사를 그만두고 장난감 가게를 차린 아버지와 수학교사인 어머니, 전국 1등을 놓치지 않던 형과, 여러가지 재주가 많으면서도 외모에 컴플렉스를 갖고 있는 여동생이 '나'의 가족이다. 어느 날부터 '나'는 집을 견딜 수 없었기에 집배원 일을 그만 두고 여행을 떠난 것이다. 이 여행은 몇 가지 특징이 있다. 만나는 사람들에게 주소를 물어보고, 주소를 가르쳐준 사람에게는 번호를 붙이는 것이다. 번호로 기억된 그들에게 '나'는 편지를 쓴다. 집으로 답장이 오는 날, 이 여행은 끝이 날 것이지만 나에게 '아무도 편지하지 않는'다.

 

어느 날 전철에서 책을 파는 751과 동행하게 된다. 751은 소설가였고, 자기 책을 팔았다. 얼핏 칠칠치 못해 보이는 751과 '나'는 사소한 일들을 가지고 틱틱 댄다. 하지만 751이 기본적으로 마음이 따뜻한 사람이었기에 여행은 한동안 지속된다. 남녀간에 일어날 법한 애정의 감정을 미묘하게 넘기지 않으며 함께 하는 동안, '나'는 헤어진 옛 애인을 만나기도 하고 고시원 화재를 겪기도 한다. 그리고 가족들에게 편지를 쓰며 사랑하는 마음을 솔직하게 전하기도 한다.

 

와조가 여행을 지속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나'는 집으로 돌아온다. 집에는 아무도 없었다. 그제서야 할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장지로 가던 차가 전복되어 '나'를 제외한 가족 모두가 죽었다는 사실이 떠오른다. 751로부터 편지가 오고, 옆집 아주머니가 골판지 상자 하나 가득 편지를 담아 온다. 집배원에게 부탁해 '내'가 없는 동안 편지를 자기 집으로 배달되도록 했다는 말과 함께.

 

------

 

우체국에 다닌지 10년이 되었지만 나 역시 누군가에게 손편지를 쓴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통상우편은 52억통을 정점으로 매 년 몇 억통씩 줄어들고 있다. 통수만 보면 여전히 많아 보이지만 그 중에 일반적인 의미의 편지는 1%도 채 되지 않을 것이다. 선거나, 카드회사의 대량 정보 유출 사과문이나, 공과금 고지서 등이 대부분이다.

 

편지를 쓴다는 행위는 욕망을 발현이다. 누군가에게 소식을 전하는 단순한 의미를 넘어서, 그 사람과의 관계 변화를 도모하는 행위다. 관계 변화를 도모하는 방식이 고전적인 손편지에서 이메일이나 SNS, 카카오톡 등 실시간 매체로 바뀌면서 우리의 욕망에 대한 성찰의 시간도 줄어든 것은 아닐까 생각해본다.

 

소설엔 깜짝 반전이 있지만, 반전에 소설적 구성을 기대고 있지 않아 품격을 떨어뜨릴 정도는 아니다.

집배원 채용에 관한 부분은 발로 뛰어 알아본 흔적이 역력하다. 대무사역이니 상시위탁이니 하는 말은 일반인들이 모르는 말이다. 통상우편의 배달 기한에 대해서는 약간 착오가 있는 것 같다. 편지를 보내며 '이틀 안에 답장이 도착할 수 있게 해달라'는 문구가 있는데 일반우편은 D+3일이 배달 기한이다. 그러니 이틀 안에 답장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은 현실적으로 없다. '내'가 전직 집배원으로 설정되어 있어 어색한 대목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