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기 불안정과 그 밖의 슬픈 기상 현상들 ㅣ 민음사 모던 클래식 40
리브카 갈첸 지음, 민승남 옮김 / 민음사 / 2011년 1월
평점 :
품절
쉰한살의 정신과 의사 레오 리벤슈타인은 12월 어느 날 자기 아내와 똑같이 생긴 여자가 집으로 들어오는 것을 본다. 그 여자는 아내 레마와 겉모습은 똑같았지만 미묘하게 달랐고, 개를 데리고 들어오기까지 했다. 레마를 사칭한 여자 때문에 당황스럽던 차에 병원에서 호출이 온다. 병원으로 달려간 레오는 남자 간호사와 대화를 나눈 후 레마가 그 간호사와 불륜 관계는 아니었는지 의심이 든다. 그리고 자신이 돌보던 환자 하비의 실종과 레마의 부재에 어떤 인과관계는 없는지 생각한다.
하비는 분열형 성경장애 환자로 자신이 기상 현상을 통제하는 특별한 능력이 있다고 여겼다. 그는 왕립 기상확회에서 <뉴욕 포스트>지 6면 기사를 통해 비밀 지령을 내리면 전국 각지로 달려가 임무를 수행한다고 말했다. 레마가 하비의 치료에 관해 한 가지 아이디어를 내는데, 레오 역시 왕립 기상학회의 비밀요원이며 고위급 요원인 기상학자 츠비 갈첸의 지령을 하비에게 전달한다는 것이다. 지령의 내용은 하비가 뉴욕 내에서만 임무를 수행해야 한다는 것이었고 이 연극은 꽤나 효과를 거두는 듯 했었다. 하지만 하비는 얼마 후 또다시 실종된다.
레오는 사라진 레마를 찾기 위해 아르헨티나로 가서 레마의 어머니 마그다를 만나고 그곳에서 잠시 머문다. 레오는 자신이 레마의 과거에 대해 거의 모르고 있었다는 점을 깨닫는다. 그리고 어쩌면 레마에게 전남편이 있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 레오는 츠비 갈첸이라는 인물이 레마의 실종에 관련이 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하여 그의 논문들을 읽어나간다. 그리고 논문 중간 중간 플라톤이나 가우스 등이 인용된 부분이 어떤 단서가 아닌지 의심한다.
사라진 하비에게서 연락이 온다. 그는 츠비 갈첸과 이메일을 주고받았다고 했다. 레오 역시 츠비 갈첸에게 이메일을 보내자 답장이 온다. 하지만 레마의 실종과 관련해서는 냉담한 반응이었다.
왕립 기상학회에서 함께 일하지 않겠느냐는 제안이 오고, 이에 응낙한 레오는 파타고니아로 떠난다. 레마를 사칭한 여자 역시 레오를 찾아 파타고니아로 온다. 그녀는 자신이 레마가 맞다는 무수한 증거를 들이밀고 츠비 갈첸이 이미 사망한 사람이라는 점을 이야기하지만 레오는 요령부득일 뿐이었다. 레마는 결국 자신이 진짜 레마가 아니라고 선언한다. 레오는 레마는 사라졌지만 레마를 사칭한 여자와 함께 생활할 수밖에 없다고 결심한다. 그리고 가짜 레마와의 삶이 진짜인 듯한 기분을 느낄 것이라고 예감한다.
작품의 원제는 이다. 작품 속 츠비 갈첸은 리브가 갈첸의 아버지로 실제 기상학자였으며 작품 속에 인용된 논문들도 실제로 발표된 논문들이다.
리브가 갈첸은 다니엘 파울 슈레버 판사의 회고록 <한 신경병자의 회상록>에서 작품의 모티프를 얻었다고 한다. 슈레버 판사는 카그라스 증후군, 즉 자신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사람이나 동물, 물건이 똑같이 생긴 다른 것으로 감쪽같이 바뀌었다는 망상에 빠지는 병에 걸려 자신만이 유일한 인간 생존자이고 나머지는 모두 유령과 망령들이라 믿었다고 한다.
작품은 또한 루이지 피란델로의 <아무도 아닌 동시에 십만 명인 어떤 사람>에서 다분히 영향을 받았음을 짐작할 수 있다.
작품을 관통하는 작가의 의문은 츠비 갈첸의 논문에 인용된 플라톤과 관련된 문구에서 짐작할 수 있다. "우리가 감지하고 있는 것은 진짜 세계의 이미지일 뿐임을 최초로 천명한 사람은 분명히 플라톤이었을 것이다" 만약 우리가 인지하고 감응하는 이 세계가 진짜 세계가 아니라 단지 이미지, 혹은 투사일 뿐이라면 진짜 이미지, 곧 이데아는 어디에 있으며 어떻게 당도할 수 있는가.
레오는 아내 레마가 어느 날부터 진짜가 아니라고 느끼는데 그 순간부터 레마에 대한 미화가 시작된다. 실제 레마의 행동거지 하나 하나를 트집 잡으며 진짜 레마라면 저러지 않았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행동의 이면에는 레마가 젊고 아름다운데 반해 자신은 쉰살이 넘었다는 인식도 한몫 한다. 그는 어쩌면 레마가 자신을 떠날 것을 두려워했을지도 모르고 그런 두려움에 대한 방어기재로 자신의 눈 앞에 보이는 레마가 진짜가 아니라고 생각했을지도 모른다. 그는 현실의 레마를 트집 잡고, 이데아 속의 레마를 찾아 나선다. 그가 레마를 찾는 여행은 절반의 성공을 거둔다. 가짜 레마가 자신을 위해 헌신하는 모습을 보며 레오는 가짜 레마와의 삶이 나쁠 것만도 아니라고 타협하는 것이다.
강아지가 자기 꼬리를 물어보겠다는 생각을 떠올리는 순간 악몽이 시작되듯이 이데아와 현실을 혼동할 때 비극은 시작된다. 현실을 이데아와 동일시하는 순간 극단의 선택이 시작된다. 타인에 대한 억압의 시작이 바로 그러한 이데아에 대한 인식이 아닐까 생각한다. 이데아가 곧 절대진리, 절대선일 수밖에 없으므로 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타인의 감정과 행동은 존중해줄 바가 못되는 것이다. 레마의 이데아를 떠올린 레오는 절대로 그녀를 되찾을 수 없을 것이며 현실 세계는 그가 죽는 순간까지 기껏해야 '견뎌낼만 한' 곳일 수밖에 없다.
http://blog.naver.com/rainsky94/801889540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