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리더 - 책 읽어주는 남자
베른하르트 슐링크 지음, 김재혁 옮김 / 이레 / 2004년 11월
평점 :
절판


간염에 걸린 열다섯살의 미하엘은 어느날 학교에서 돌아오는 길에 구토를 한다. 이를 본 서른여섯살의 한나 슈미츠는 소년을 씻겨주고, 성숙한 여인의 에로틱한 모습을 보게 된 미하엘은 한나의 방에서 도망친다.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 오라는 어머니의 말에 다시 한나의 집을 찾은 미하엘은 한나를 도와주다가 석탄가루를 흠뻑 뒤집어 쓰게 되고, 샤워를 마친 후 둘은 관계를 맺게 된다.

어른 세계의 비밀을 알게 된 미하엘은 고등학생이 되고 병을 이겨낸 후 또래의 남자애들과 같은 치기어린 모습을 보이지 않고, 이런 점이 여학생들에게 호감으로 작용한다. 한나는 미하엘에게 책을 읽어줄 것을 요청하고, 책을 읽어준 후 관계를 맺는 것이 그들의 평범한 일상이 된다. 고등학생이 된 후 예전과 달리 또래와의 생활에 시간을 할애하는 미하엘은 어쩐지 자신이 한나를 배신하는 것 같은 기분을 느끼고, 어느날 수영장에서 놀고있는 그를 한나가 찾아온 것을 마지막으로 그녀는 자취를 감추고 만다. 미하엘은 한나가 자신을 떠난 이유가 자신이 한나를 부정하고 급우들과의 생활에 눈을 돌린 배신행위 때문이 아닐까 짐작은 하지만 정확한 이유는 그녀가 떠나버렸기 때문에 알 수가 없었으며, 상실감을 안고 살아간다.

대학에서 법률을 공부하게 된 미하엘은 나치 전범 재판 세미나 그룹에 참석하는데 법정에서 피고 중 한 명이  한나인 것을 알게 된다. 한나는 과거 나치 수용소의 감시원이었는데 유대인들을 감금한 교회에 폭격으로 불이 붙었으나, 잠긴 문을 열어주지 않고 수백명이 타죽게 방치한 혐의로 기소된 것이다. 한나는 전체적인 재판 진행 상황을 파악하지 못한 듯 종종 불리한 진술을 하고 이에 함께 기소된 다른 여자 간수들이 그녀에게 모든 책임을 돌린다. 증인인 마을 주민들도 자신들이 문을 열어줄 수도 있었으나 하지 못했던 부담감을 덜기 위해 한나가 모든 행위의 책임자였던 것으로 상황을 몰아간다. 결국 결정적인 증거가 될 수도 있었던 보고서를 누가 썼는가 하는 문제가 제기되고 필적감정을 통해 한나는 혐의를 벗을 수 있었지만 어찌된 일인지 그녀는 모든 사건을 자신이 주도하였다고 시인함으로서 종신형을 받게된다.

미하엘은 문득 하나의 사실을 알게 되고 경악하게 되는데 그것은 바로 한나가 글을 읽지도 쓰지도 못한다는 사실이었다. 바로 그런 이유로 그가 남긴 쪽지에도 불구하고 말없이 자리를 비웠다며 화를 내었고, 전차 차장으로 승급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도시를 떠났던 것이었다. 그녀가 책을 읽어달라고 한 이유도, 재판 과정중의 의아한 행동들도, 필적감정을 거부한 것도 모두 같은 이유 때문이었던 것이다.

미하엘은 이 모든 사실을 재판관에게 말해야 하는지 아니면 한나의 의사를 존중할 것인지 갈등하게 되고 철학자인 아버지에게 조언을 구하지만 결국 그는 아무런 행동도 취하지 못한다. 평범한 생활을 해보려고 노력하지만 결혼생활은 파탄나고, 그는 한나에게 책을 읽어 녹음한 테이프를 보내기 시작한다. 수감생활 중 글을 배운 한나가 미하엘에게 편지를 보내지만 그는 답장을 하지는 않는다. 시간이 흘러 한나가 감형받아 석방이 결정되고 마침내 출감하는 날 미하엘은 한나를 찾아가지만 한나는 그날 새벽에 자살하여 생을 마감한다. 미하엘은 그녀의 방에서 자신의 어린시절 사진을 발견하고 단 한순간도 한나는 자신을 잊지 않았으나, 자신은 그런 그녀를 의심하고 부인해왔다는 자각에 괴로워한다.

 

15세 소년과 36세 여성의 성적인 관계라는 자극적인 설정 자체는 무척 위험스러워 보이지만 외설로 흐르지는 않는다. 이는 한나의 삶 전반이 문맹(약점)을 감추고 자신이 이해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감정에 충실하는 등 일면 어린아이 같은 모습을 보이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또, 재판 과정 중 한나를 주범으로 몰아가는 다른 피고들과 마을 주민들의 모습이, 전쟁은 모든 이가 피해자라는 잘못된 결론으로 갈 수도 있는 아슬아슬한 설정이지만, 작가는 이를 훌륭하게 피해 간다.

한나는 재판장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한다. "그럼 재판장님이라면 어떻게 했겠습니까?" 원망이나 질책이 아닌 정말로 알 수 없어서 묻는 물음에 재판장은 지극히 피상적인 대답만을 할 뿐이다. 작가는 '독자인 당신은 어떻게 했겠습니까'라고 묻고 싶었던 건지도 모르겠다.

작가의 의도가 깔려있는 것인지 여부는 알 수 없지만 미하엘이 잠깐 만났던 여자 중 한명은 미하엘에게, 당신의 이야기에는 어머니 얘기가 없다는 말을 한다. 실제로 소설 자체에도 어머니는 한나에게 고맙다는 말을 해야 한다는 장면 외에는 거의 나오지 않는다. 또한 아버지에게 한나의 문맹 사실과 관련하여 조언을 구하고 아버지는 그대로 두거나 직접 얘기하는 방법을 권유하지만, 미하엘이 선택한 방법은 두 가지 방법 모두 아니었고 그 후로는 아버지에게 도움을 구하지 않는다.

 

인상깊었던 구절

 

o 어릴적 미하엘의 생각

"왜일까? 왜 예전엔 아름답던 것이 나중에 돌이켜보면, 단지 그것이 추한 진실을 감추고 있었다는 사실 때문에 느닷없이 깨지고 마는 것일까? 상대방이 그동안 내내 애인을 감추고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지는 순간 왜 행복한 결혼 생활의 추억은 망가지고 마는 것일까? 그런 상황 속에서는 행복할 수 없기 때문일까? 하지만 그동안은 행복했는데! 마지막이 고통스러우면 때로는 행복에 대한 기억도 오래가지 못한다. 행복이란 영원히 지속될 수 있을 때에만 진정한 행복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일까? 아니면 고통을 잉태한 것들은 반드시 고통스럽게 끝날 수 밖에 없기 때문일까? 의식적인 고통이든, 무의식적인 고통이든 간에? 그러면 무엇이 의식적인 고통이고 무엇이 무의식적인 고통인가?"

 

o 한나의 문제로 아버지에게 조언을 구했을 때 아버지와의 대화

"...내가 그들에게 좋다고 생각하는 것을 그들 스스로가 좋다고 여기는 것보다 우위에 두려고 하면 절대 안 돼."

"나중에 가서 그들 스스로 그로 인해 행복해질 경우에도 말인가요?"

"우리는 지금 행복이 아니라 품위와 자유에 대해서 말하고 있어...네가 서술한 상황이 그 사람에게 어쩌다가 생긴 것이거나 아니면 유전적인 것에 그 원인이 있는 것이라면 넌 당연히 행동을 해야 한다. 네가 상대방을 위해 무엇이 좋은 건지 알고 있고 그 사람이 그에 대해 눈을 뜨도록 해주어야 한다. 물론 최종 결정은 본인에게 맡겨두어야 한다. 하지만 그 사람과 이야기를 해야 해. 그사람과 직접 말야. 그 사람 등 뒤에서 다른 사람과 이야기해서는 안 된단다."

 

http://blog.naver.com/rainsky94/8012591009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