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줄 긋는 남자 - 양장본
카롤린 봉그랑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젊은 여성의 사랑에 관한 태도를 독서와 연결시킨 독특한 작품이다. 주인공 콩스탕스는 로맹 가리(에밀 아자르)에 푹 빠져 있다. 1914년에 태어난 로맹 가리는 1980년 의문의 권총 자살로 생을 마감한 작가로 그의 유서를 통해 에밀 아자르는 로맹 가리의 필명임이 밝혀진다. 이로서 한사람이 한번만 수상할 수 있는 콩쿠르 상을 역사상 유일하게 두번 탄 작가이다. <자기앞의 生>에서 모모가 로자아줌마를 화장시켜 주는 장면이 인상적이긴 했지만 그렇게까지 탁월하다고 느낀 적은 없었는데, 김형경의 <좋은 이별>을 비롯하여 여자 작가들은 꽤나 자주 언급을 한다. 어쨌든 콩스탕스 역시 로맹 가리라는 작가의 책이 서른 한권에 불과해 자신이 일년에 한권씩 읽더라도 쉰살이면 더 이상 읽을 책이 없다는 사실에 좌절할 정도이다.

어느날 다른 작가에 관심을 돌려보기로 마음 먹은 콩스탕스는 도서관에 가서 뒤라스의 <북중국의 연인>, 가스통 루르의 <노란 방의 비밀>, 폴리냑의 <오렌지빛> 세 권을 빌려 오지만 <북중국의 연인>은 따분했고, <노란 방의 비밀>은 끔찍할 것 같다는 이유로(사실 그다지 끔찍한 내용은 없었고 셜록 홈즈를 염두에 두고 작가가 부당한 비난을 했던 것이 기억난다), <오렌지빛>은 흥미를 잃었다는 이유로 그만둔다.

그런데 <오렌지빛>의 한 페이지 여백에 당신을 위해 더 좋은 것이 있습니다  라는 구절을 발견하고, 책 말미에 도스또예프스끼의 <노름꾼>, 좋은 책입니다 그걸 당신에게 권합니다 라는 문장을 발견하면서 미지의 인물이 그어 놓은 밑줄에 따라 독서를 거듭하게 된다. 콩스탕스는 <노름꾼>, 로제 니미에의 <이방(異邦)의 여인> 등을 읽어가며 밑줄 긋는 남자와 자기도 모르게 사랑에 빠지지만, 그는 좀처럼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다.

시간이 흐를수록 현실적인 관계를 갈구하던 콩스땅스는 전혀 엉뚱한 남자와 잠시 애정행각을 벌이고 이내 그 관계를 끝내면서 죄책감에 사로잡힌다. 밑줄 긋는 남자에게 전달해 달라며 도서관 사서에게 맡긴 편지를 통해, 남자의 정체가 클로드라는 도서관 아르바이트생이라는 것을 알게 되고 그와의 현실적인 관계가 시작되지만 콩스탕스는 이내 무언가 잘못 되었다는 것을 깨닫고 관계를 끝내려고 한다.

클로드는 편지로 사실 자신이 밑줄 긋는 남자가 아니며 콩스탕스가 밑줄에 따라 독서를 해나가는 것을 알게 되어 중간에 끼어든 것 뿐이며, 밑줄 긋는 남자를 찾는데 힘을 보태줄 용의가 있음을 밝힌다. 콩스땅스는 그와 밑줄 긋는 남자를 찾는 과정에서 클로드가 밑줄 긋는 남자보다 우월한 점을 지니고 있으며 그것이 바로 '그는 자기 살을 내 살에 대었고 무엇보다도 내가 내 살을 그의 살에 대었다. 사랑에는 살을 섞는 일이 필요하다' 라는 사실을 알게 되어 밑줄 긋는 남자를 더 이상 찾지 않아도 좋다고 생각한다. 결국 둘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남자의 정체는 밝혀 내지 못하고, 콩스탕스는 언젠가 그 남자가 발견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으로 <프티 로베르> 사전의 단어 <아탕뒤Attendu(e)>(기다리는, 기다리던...)에 밑줄을 그어 놓는다.

 

책을 읽으면서 대리언 리더의 <여자에겐 보내지 않은 편지가 있다>가 떠올랐다. 정신분석에 관한 책인데, 여자는 연애를 하면서 끊임없이 편지를 쓰고, 그 편지가 실재 존재하는 상대편이 아니기 때문에 그 편지는 부칠 수가 없다는 것이다. 특히 자크 카조트의 <사랑에 빠진 악마>를 분석하는 부분은 무척 인상적이었다. 

밑줄 긋는 남자에서도 콩스탕스는 끊임없이 새로운 상대방을 갈구한다. 로맹 가리(이상) - 다른 작가(현실) - 밑줄 긋는 남자(이상) - 클로드(현실) - 다시 밑줄 긋는 남자(이상) 으로 현실의 관계에서는 이상적인 상대편에 대한 갈망으로 다른 곳을 쳐다보고, 이상적인 관계(현실에서는 혼자)에 처하게 되면 다시 현실적인 관계의 소중함을 깨닫는다.

결국 여자가 편지를 보내지 않고 계속 쓰고 있다는 것은 관계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욕망과 관계를 맺고 싶은 욕망의 투쟁이다. <여자에겐 보내지 않은 편지가 있다>의 앞부분에 의미심장한 말이 나온다. "다른 인간을 이해함으로써 분리를 이겨내려고 하면 할수록 분리는 강화된다" 누군가와 관계를 맺게 되는 것은 필연적으로 타인을 억압하게 된다. 말을 한다는 것(질문)은 욕망의 반영인데, 자신의 욕망과 상대편의 욕망이 일치할 수 없기 때문에 관계 지속을 위해서는 자신도 모르게 타인을 억압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억압과 분리로부터 벗어나는 길은 관계의 해소이지만, 그 경우라도 새로운 관계를 통해 분리를 회복할 수 있다는 환상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결국, 부칠 대상이 없는 편지를 계속 쓸 수밖에 없다.

 

http://blog.naver.com/rainsky94/8012478587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