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공포 문학 단편선 밀리언셀러 클럽 - 한국편 8
이종호 외 9인 지음 / 황금가지 / 200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방통행(김종일) : 운전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 나였기에 백배 공감을 하면서 읽었다. 불쑥불쑥 끼어드는 차량, 일차로 맨 앞에 신호대기중인 차량에 우회전 의지를 나타내며 뒤에서 빵빵대는 차량, 운전을 하다보면 불쑥불쑥 들고 일어나는 불쾌감과 분노. 운전을 하면 모두들 용감해진다고 하지만 꼭 그런것만은 아니다. 물론 용감하지 않았던 일부가 용감해지기도 한다. 하지만 일부 운전자는 주눅이 든다. 특히나 나처럼 공무원 나부랭이들은 더욱 그럴 것이다. 쓸데없는 분쟁에 휘말려 들었다가 곤란해지는 것이 싫은것이다. 일방통행은 그런 상황에서 자신의 분노를 꾹꾹 눌러담으며 살아가는 한 소시민의 이야기인데 흥미진진하게 읽힌다. 작가가 공포소설이라는 특정 장르에 한정되지 않고 소설을 써본다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은둔(권정은) : 별다른 개성도 없고 공포도 별로 느껴지지 않는다. 그저 흔한 스토리. "알고보니 내가 한 일이었잖아" 정도.

 

상자(신진오) : 어느날 상자를 하나 갖게 되는데 상자는 버리려 해도 버릴 수 없다. 그 상자는 사람들 되살려내는 힘이 있다. 왜 그런 상황에 처하게 되는가? 알 수 없다. 알 수 없으니까 부조리하다. 부조리는 공포문학에서 자주 써먹는 수법이다. 부조리 자체는 공포가 아니다. 그냥 답답함이다. 부조리가 공포가 되기 위해서는 좀 더 세심한 장치가 필요하다.

 

감옥(엄성용) : 아이디어에서 그친 작품.

 

들개(우명희) : 이승우의 <도살장의 책>을 떠올리게 하는 작품이었다. 공포 포인트가 어디인지 모르겠다.

 

흉포한 입(최민호) : 어릴 때 스티븐 킹의 <금연주식회사>를 읽고 공포문학에 눈을 떴다. 작가도 그런 것일까? 다른 점이 있다면 스티븐 킹이 먼저 썼다는 점. 나중에 쓰는 사람은 더 잘 써야 한다.

 

하등인간(장은호) : 어린시절 <전설의 고향>을 보고 무서움을 느끼면서 한국적인 공포에 다들 익숙해져있다. 말이야 거창하지만 간단히 얘기하면 귀신이 된 '이유', 또는 '한' 이 있고 그것이 해소되면 해피앤딩이 된다. 그런면에서 외국의 공포물에 흥미를 못 느끼는 경우가 많은데 어쨌든 주인공이 죽어야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이유', '한', '해소' 그런 것이 없이 그냥 단지 죽어야 한다면 공포는 반감된다. 부조리하다는 생각이 들지만 현실의 문제로 확장되지 않기 때문이다. 어느날 갑자기 그분들이 나타나 다들 죽어줘야 겠다 하는 상황이 공포스러운가? 공포는 현실적으로 그럴싸하던가, 내 안의 어둠을 반영해야 한다. 둘 중 어느것도 아닐 경우 공상소설이다.

 

아내의 남자(이종호) : 다중인격 얘기는 이제 그만 좀 했으면. 기시 유스케의 <이소라>나 제임스 맨골드의 <아이덴티티> 처럼 떼거지로 인격이 나온다거나 하지 않으면 이제는 너무 진부하다.

 

모텔탈출기(박동식) : 자신의 어둠을 완벽히 위장하고 있는데 이를 누군가가 알아챈다면. 공포를 느끼겠지. 트릭에 의존한 짧은 소설이지만 그런대로 재밌었다.

 

깊고푸른 공허함(김민영) :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을 다시 읽는 편을 택하겠다. 제목대로 공허했다.

 

전반적으로 만족스럽지 못한 독서였다. 좀더 인간의 어둠과 무의식을 치열하게 파고든 소설, 매일 부딪히는 상황에서 공포스러움을 발견하는 소설, 그런 작품을 기대했으나 <일방통행> 에서 약간의 가능성을 느꼈을 뿐 다른 소설에서는 별다른 감흥을 느끼지 못했다.  

 

http://blog.naver.com/rainsky94/8011675508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