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캐리 ㅣ 스티븐 킹 걸작선 1
스티븐 킹 지음, 한기찬 옮김 / 황금가지 / 2003년 11월
평점 :
소설 <캐리>를 산 곳은 동인천 배다리에 있는 헌책방 아벨서점이다. 책 얘기를 하기 전에 아벨서점 얘기를 하려고 한다. 아벨서점을 처음 간 것이 대학교 2학년 때 선배를 따라간 때니까, 이러구러 15년 동안 단골 아닌 단골인 셈이다. 대학 시절엔 주로 사회과학 서적이 많다는 이유로 들락거렸고, 요새는 비교적 깨끗한 책들이 많아서 이용하는 편이다. 그러나 나는 아벨서점을 자주 이용하면서도 아벨서점에 대한 애정 같은 것은 없다.
인터넷 서점의 신간 할인코너보다 되려 비싸게 파는 책도 있고, 출처가 의심스러운 책(불투명테이프로 도서관 분류테이프를 가린)들도 보이며, 무엇보다도 헌책을 팔러 온 사람들에게 무척 야박한 값으로 후려치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렇게 해야 장사가 되고 유지가 되겠지만, 그렇다면 그냥 장사를 하는 것으로 족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아벨서점의 입구에 붙은 인천문화의 지킴이 운운의 문구는 그다지 공감되지 않는다.
아벨서점은 책을 팔아 이윤을 남기는 곳이다. 다만 그 책이 헌책일 뿐이다. 문학을 사랑해서 돈이 되지도 않는데 인천지역 문화를 지키기 위해 존재하고 있는 곳이 아니다. 반대 명제로 나 역시 인천의 문화를 사랑해서 아벨서점을 가는 것이 아니다. 단지 깨끗한 헌책을 사러갈 뿐이다. 현상 이면의 본질은 때론 단순한 법이다. 단순한 본질을 이리저리 꼬아서 해석하면 때론 엉뚱한 결론에 이를 수도 있다. 스티븐킹의 <캐리>와 관련한 비평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생각한다.
누군가가 스티븐킹의 전집을 통째로 아벨서점에다가 팔아놨기에 전집을 사기는 부담스럽고, 뭘 살까 한참을 고민하다가 김성곤 교수의 해설이 수록된 <캐리>를 집어들었다. 포스트모던 비평의 대명사인 김성곤 교수의 영화비평 모음집을 대학교 때 읽고 '아 이렇게 해석하면 아귀가 들어맞을 수도 있겠구나' 하며 신기해했던 기억이 났기 때문이다.
김성곤 교수의 해설을 보자. 캐리의 어머니는 원리주의 신자로서 교조주의적 종교를 캐리에게 강요한다. 이는 미국의 비인간적이고 왜곡된 청교도적 전통을 상징한다. 반면 캐리를 놀려대는 학교급우들은 천박하고 타락한 물질주의를 상징한다. 스티븐킹은 정상적으로 성장할 수도 있었을 사람을 사회가 어떻게 비정상적이고 파괴적으로 만드는가 극명하게 보여 주는 강력한 사회비판 소설을 썼다고 김성곤 교수는 말한다.
김성곤 교수의 영화비평과 캐리의 비평을 읽으면서 오랫동안 고민해왔던 문제를 정리하는 계기가 되었다. 김성곤 교수의 주장에 일면 동감하면서도, 전적으로 마음이 기울어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하는 점이다. 해묵은 명제라 생각될지 모르지만 토대와 상부구조 얘기를 다시 해보자. 문화적 영역이 토대를 반영하지 않고 독립적일 수가 있는가. 아니다. 그렇다면 어떤 소설, 어떤 영화, 어떤 문화이든지 간에 토대를 반영할 수 밖에 없으며 온전한 의미의 상징이란 존재할 수가 없다. 상징은 현재의 토대를 반영하며 현재의 의식수준을 넘을 수가 없다. 그렇다면 상징은 단순하건, 복잡하건 해석 과정을 거쳐 토대의 어떤 부분을 반영하는지 말할 수가 있다. 올해 초 읽은 노엘 칼레프의 B급 스릴러소설 <파리의 밤은 깊어> 조차 이런식으로 비평하면 "자본주의의 왜곡된 사회 질서 속에서 범죄가 테러리즘의 양상을 띠게 되며 그 영향이 미성년에게조차 미칠 수 있음을 예리하게 파해친 사회고발 소설" 이라고 한다해서 틀릴 것은 무엇이란 말인가.
대중문화와 고급문화라는 식의 이분법적 구분도 문제이겠으나, 과도하게 상징에 집착하여 해석하려 하는 것도 문제가 아닐까? <캐리>를 읽고 '정상적으로 자랄 수 있는 아이를 비정상으로 만드는 사회에 대해 통렬하게 비판의식을 느낀 독자'가 과연 얼마나 될까. 혹은 그것을 느낄 수 있어야만 <캐리>를 온전히 읽었다고 말할 수 있을까. 좀 더 생각해 볼 문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