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체국 이야기 - 편지와 우체국의 역사에서 세계 우편의 현주소까지
이종탁 지음 / 황소자리 / 2008년 3월
평점 :
품절


 

우체국을 다니는 나로선 무척 흥미로운 책이었다. 정보통신이나 우표일반에 얽매이지 않고 우체국의 기원, 우표의 역사, 각국의 우체국, 최근 우체국의 동향 등 우정인이라면 꼭 한번 읽어봐야 할 책이다. 물론 우정인이 아니라 할지라도 이 책을 읽고 나면 우체국에서 제공받는 보편적 서비스의 폭과 깊이가 얼마만큼인지 실감할 수 있을 것이다.

 

생각난 김에 우체국 민영화 얘기를 해보자.

 

최근 민영화 바람이 거세다. 왜 민영화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선 언급이 없고, 그저 민영화를 하면 막연히 좋아지는 것처럼 말들을 한다. 그러나 우체국은 결코 민영화 되어선 안된다. 많은 사람들이 일본을 언급하며 민영화해야 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일본의 우체국과 우리나라의 우체국은 엄연히 다르다. 이 책에서 말하는 차이점을 보자.

 

첫째, 일본의 우체국은 정규직원 26만에 보유자금 360조엔의 거대 공룡이었다. 일본의 4대 은행과 4대 생명보험자산을 합한 액수보다 커서 시장을 기형적으로 독점하고 있었다. 반면 우리 우체국은 예금7위, 보험5위의 수준이며 주 대상도 서민층과 농어촌 주민들이다. 우체국이 은행과 보험을 위협하기 보단 시중 은행과 보험사가 외면하는 서민층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전국 우체국 개수는 2800여개이다. 전국적으로  어떤 은행보다도 많다. 하지만 서울지역 우체국 개수는 은행에 밀려 4위다. 그만큼 지방에 고루 분포되어 있다는 얘기다. 돈이 안되면 지점조차 개설하지 않는 은행과는 엄연히 다르다.

 

둘째, 일본의 우체국은 대대손손 세습하는 경우가 많다. 시험도 보지 않고 아버지가 국장이면 아들도 국장을 하는 식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무원 신분을 유지한다. 엄청난 규모의 국가 사업체를 그냥 물려받는 것이다. 이러다 보니 '우정족'이란 말까지 있었으며, 그들이 정치권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어떤가. 우체국 하면 정겨운 집배원 아저씨가 떠오르지 무지막지한 금권과 권력을 휘두르는 누군가는 떠올리려야 떠올리기 힘들다. 빈잔을 앞에 놓고 앉아 있는 사람보고 '우체국장'이라고 하는 말도 있다. 관공서 공무원들의 빈잔은 금방금방 옆에서 따라주지만 우체국장은 잘 보일 필요가 없으니 잔을 채워주지 않는다는 자조섞인 말이다. 그만큼 우리나라 우체국은 권력, 금권과는 거리가 멀다.

 

셋째, 우리나라에선 우체국 민영화를 국민이 나서서 외친 적이 한번도 없다. 왜인고 하니 우체국 직원들은 국민의 세금으로 봉급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민간 기업과 똑같이 수익을 내서 거기서 월급을 받는다. 게다가 9년 연속 흑자이니, 공무원이면서 흑자를 내는데다가 국민의 세금을 한푼도 낭비하지 않으면서 오히려 남는 금액을 세금에 보태주는 유일한 공무원이다. 그래서 우체국은 비효율적이며, 민영화를 하여 체질을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은 어디서도 나온 적이 없었다. 그러다가 최근 공무원수를 감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자 엉뚱하게 공무원수가 많아 보이는 우체국을 겨냥하여 무조건 민영화 하자는 얘기가 나온 것이다. 주먹구구식으로 우체국을 민영화하면 공무원수가 확 준다는 단순논리이다. 수익을 내며 세금을 한푼도 낭비하지 않고 오히려 보태주는 공무원을 전부 민간인으로 바꿔버리면 그것이 공무원 감축의 의미를 가질 수 있는 것일까.

 

영국에선 마을 주민들이 우체국을 없애지 말아달라고 시위를 벌인다. 영국은 민영화가 되었기 때문에 수익이 나지 않는 산간 우체국은 죄다 없애려 하기 때문이다. 은행과 택배회사들이 외면하는 지방 소읍, 산간마을의 다정한 이웃이 공무원감축은 무조건 좋다는 이상한 논리에 사라지는 일이 없기를... 

 

http://blog.naver.com/rainsky94/8005224327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