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죽음 열린책들 세계문학 49
짐 크레이스 지음, 김석희 옮김 / 열린책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생각하는 소설의 미덕은 소박하게 얘기하자면 '이야기에서 얻어지는 즐거움, 교훈과 감동' 이다.

이야기라는 것은 줄거리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며, 즐거움이라는 것은 그 이야기가 재미있다는 것이다. 교훈과 감동이라는 것은 그 이야기가 술자리 농담과 달리 읽을만한 가치를 지닌다는 것이다.

그래서 나는 존 스타인벡이나 에밀 졸라에게는 큰 존경심을 갖는 반면, 버지니아 울프의 <올란도> 같은 작품은 이해도 되지 않고 약간의 경멸감 마저 품는 경우가 있다. 나는 천상 리얼리스트이다. 

 

이 책의 줄거리를 시간순으로 배열하면 이렇다.

 

동물학자인 셀리스와 조지프는 연수원에서 만난 사이다. 셀리스와 조지프 외에 남자 세 명과 여자 한 명이 동료로 참여했는데 둘이 해변에서 사랑을 나누는 동안 연수원에 불이나서 여자 동료가 죽는다. 셀리느는 이 사건이 삶에 짐으로 다가가는 반면, 조지프는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 생각한다. 30년 후 조지프는 문득 바리톤만에서의 옛 일이 떠올라 성욕을 느끼게 되고 셀리스를 설득하여 바리톤만으로 가게 된다. 그리고 옷을 벗고 사랑을 나누다가 우연히 지나던 강도가 휘두른 화강암 돌덩이에 맞아 죽는다. 그리고 딸인 실비가 이들을 찾아다니다가 이미 죽었다는 사실을 알게된다.

 

번역을 한 김석희씨의 '옮긴이의 말'을 보면 처음 대충 읽었을 때는 시큰둥 했으나 두번째 읽었을 때에는 처음의 느낌이 건방지고 어리석었다고 말한다. 그러나 나는 두 번 읽더라도 시큰둥 할 것 같다. 무엇보다 내가 흥미있는 이야기가 아니며, 죽음에 대한 접근 태도가 마음에 들지 않으며, 부모의 죽음에 반응하는 딸 실비의 태도가 정상적이지 못하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읽는 내내 내가 '상식' 이라고 느끼는 정서와 반하는 내용들에 불편한 독서였다.

 

http://blog.naver.com/rainsky94/8005037846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