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수 이야기 - 2007년 제52회 현대문학상 수상소설집
이승우 외 지음 / 현대문학 / 2006년 12월
평점 :
품절


수상작인 이승우의 '전기수 이야기' 와 동작가의 '도살장의 책'은 그다지 와닿지 않는다. 문학, 작가가 처한 작금의 현실에 대한 그의 태도에 반대하는 것은 아니나, '전기수 이야기'에서 제목 이외에는 그다지 새로울 것이 없었고, '도살장의 책'에서 도서관 사서를 범하는 장면에 이르러서는 역겹기까지 하다. 문학적 상징은 작가와 독자의 공감 속에서 그 의미를 획득한다고 믿는데, 작가의 역량은 이 장면이 '상징'에 이르게 만들지 못하고 '사건'의 수준에서 머무는 것 같다.

 

김경욱의 '천년 여왕'은 흥미진진하다. 김경욱은 대중문화의 이슈를 적절히 작품의 소재로 믹스하여 흥미를 유발하고 재미를 주는 것에 능하다. 그러나 이제 그만할 때도 되지 않았을까 싶다. Nirvana의 커트 코베인, 영화 바그다드 카페, 장국영 등 익히 알려진 대중문화의 이미지를 차용하기 시작한게 근 10년이 넘은 것 같은데 말이다.

 

김애란의 '성탄특선'이 나는 가장 마음에 든다. 크리스마스날 그저 그런 남매가 그저 그렇게 '시간 보내는' 이야기인데도 불구하고 너무나 재미있게 읽힌다. 작가가 경험했을게 틀림없는 이야기들도 얼핏 보이면서, 나는 내 대학 시절의 모습을 떠올리게 되고 한없이 유쾌해질 수 있었다.

 

김중혁의 '유리방패'도 유쾌한 소설이었지만, 너무 가벼운 느낌이 든다.

 

박민규의 '누런 강 배 한 척'은 짜증이 치미는 소설이었다. 치매가 걸린 아내와, 이제는 퇴직한 남편이 자살을 위한 여행을 시작하는 도입부에서의 진지함은 어디론가 사라지고 내키는 대로 파격적인 결말을 끼워넣었는데 박완서의 평처럼 '너무 했다' 싶었다. 도입부의 진지함마저 작가의 '장난질'을 위한 장치에 불과했다는 느낌마저 지울 수 없다.

 

또 떠오르는 작품은 기수상작가인 박완서의 '대범한 밥상'이다. 박완서의 소설은 술술 읽힌다. 마치 몇십년간 같은 일을 해온 장인의 작업을 보고 있노라면 모든 동작이 너무 자연스러워서 보고 있는 동안은 시간의 결락을 느낄 수 없는 것과 같은 그런 느낌이다. 그런 훌륭한 능력에도 불구하고 내가 박완서를 좋아하지 않는 이유는, 작가의 글이 한가한 오후 시간대 라디오에서 소개하는 '독자 사연' 코너 정도의 좀스러운 느낌 때문이다. 들을때는 재미있지만, 애써 듣기 위해 주파수를 맞춘적은 한번도 없는 라디오 코너 말이다. 

 

http://blog.naver.com/rainsky94/8005006276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