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 사회와 그 적들 김소진 문학전집 2
김소진 지음 / 문학동네 / 200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기자는 무척 싫어하는데(순전히 편견이다), 기자 출신 작가들을 좋아한다. 김훈의 예리하면서도 단호한 글을 좋아하고, 안정효의 종군기자가 실시간으로 중계하는 듯한 드라마틱한 글도 좋아하며, 시를 제대로 이해한다고 보기는 어려운 깜냥임에도 기형도의 시집은 한 권 가지고 있다.

그런데 유독 김소진의 글은 모두 그의 사후에 읽었다. 그것도 최근 출간된 순서부터 거꾸로 읽어 나갔다.

철학 이야기 주머니에서 였던가, 칼 포퍼의 '열린 사회와 그 적들' 의 비판 글을 읽고 너무 명쾌한 그 비판에 공감한 터에 김소진의 동명 소설이 막연한 반감을 일으켰음은 당연한 일이었다.

 

15년이 지난 지금, 나는 김소진이 발표한 소설들을 거꾸로 거슬러 올라가다 '열린 사회와 그 적들' 과 조우한다.

김소진 소설을 처음 접할 때 느꼈던 어색함은 여전했다. 그것은 사어에 가깝게 된, 분명 사전에서 찾아냈음에 분명한 단어들이 만들어내는 어색함이다. 질그릇처럼 투박한 이문구의 걸쭉한 만연체에서 나왔다면 자연스러웠을 그 단어들이 김소진의 소설에서는 긴장감으로 다가온다. 그 긴장감이 어떻게 변하였을지 이제는 지켜볼 수 없다. 그는 이미 죽어버렸다.

열린 사회와 그 적들은 기형도의 시 '잎 속의 검은 잎' 에서 열사의 추모행열을 바라보며 까맣게 타들어간, 말하지 못하는 혀로 괴로와 하고 부끄러워하는 상황과 대조된다. 김소진은 작가이기 이전에 기자였으므로, 시위대와 소위 '밥풀떼기' 들을 바라보고, 조사한다. 실제로도 그는 몇날 며칠을 백병원에 머무르며 프락치로 오인까지 받아가며 조사를 하였다 한다. 그 결과물로서 그는 시위대가 중심이 아닌 '밥풀떼기'가 중심이 되는 글을 써냈다. 그리고 2008년의 나는 90년대에 이 글을 읽었다면, 나는 어떤 반응을 나타냈을까를 며칠을 두고 고민해 본다.

 

아직은 '고민' 해 본다. 나는 아직 '죽지' 않았으므로, 좀 더 시간을 두고 고민해 볼 수가 있는 것이다.

작가의 죽음이, 안타깝다.

 

http://blog.naver.com/rainsky94/800477019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