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겨울을 지나온 방식 (리커버) - 제19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문미순 지음 / 나무옆의자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701호 명주는 단체급식소에서 일하다 입은 다리 화상으로 육체 노동이 불가능했다. 이혼했고, 하나 있는 딸은 돈을 요구할 때만 명주를 찾았다. 생활이 어려워 어머니 집으로 들어갔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그 어머니가 치매에 걸렸다.

간병생활은 지옥이었다. 어머니는 명주에게 욕을 하고, 변이 묻은 기저귀를 세탁기에 넣어 돌렸으며, 변기물로 양치질을 했다. 명주는 상황을 통제할 수 없어 어머니에게 손을 대기도 했다. 어머니는 어린아이처럼 '잘못했다'고 빌었다.

지옥같은 생활이 언제까지 계속될지 몰라 절망할 즈음 어머니가 돌아가셨다. 어머니 앞으로 나오는 연금이 없으면 살아갈 수 없었기에, 명주는 어머니의 죽음을 숨겼다. 작은방 한구석에 관을 놓고, 그 안에 어머니를 안치한 뒤 모든 것을 유예된 상태로 놓아두고 하루하루를 버텼다.

그런 어머니를 진천할아버지라는 분이 찾았다. 두분은 노년에 우정을 키워가고 있었던가 보았다. 같이 제주도에 놀러가려고 이백만원이 넘는 돈을 함께 모았다고도 했다. 명주는 어머니를 자꾸 찾아오는 진천 할아버지가 불안했다.

702호 준성은 뇌졸중으로 쓰러진 아버지를 모시고 살았다. 낮에는 아버지를 운동시킨 뒤 밥을 해 먹이고, 밤에는 대리운전을 했다. 아버지가 거동을 하고, 자신도 물리치료사 자격증을 따면 그럭저럭 생활이 될 거라 여기며 좋게 생각하려 했다.

하지만 아버지는 준성의 눈을 피해 술을 사다 마셨다. 어느 날인가는 가스레인지를 잘 못 다뤄 큰 화상을 입기도 했다. 불행은 그것으로 끝이 아니었다. 비오는 어느 날, 준성이 벤틀리를 대리운전하다 주차장 기둥에 차를 긁는 사고를 낸 것이다.

대리운전 업체는 준성이 내는 보험료 일부를 착복했고, 그때문에 전액 보험처리가 되지 않아 물어야 할 돈이 기천만원에 달했다.

명주와 준성은 가끔 아파트 복도에서 마주쳤다. 처음엔 데면데면 했지만 서로의 처지를 조금씩 알게 되면서 연민의 정을 나눴다.

어느 날, 준성이 아버지를 씻기기 위해 애를 쓰다 사고를 당한 팔목에 힘이 빠져 아버지를 놓치고 만다. 준성의 아버지는 그대로 욕실바닥에 처박혔다. 숨을 쉬지 않는 아버지를 두고 준성은 패닉에 빠져 복도로 나갔다가 명주와 맞닥드린다. 명주는 흥분한 준성을 진정시킨 뒤 욕실에 들어가 준성의 아버지가 죽었다는 것을 확인한다. 망설임 끝에 명주는 자신과 어머니의 이야기를 털어 놓는다.

------

일본에서 여러차례 사회적 이슈가 된 문제를 다룬 소설이라 오리지널리티 측면에서 높은 점수를 주기는 어렵지만, 명주와 준성의 불행에서 눈을 떼지 않고 담담하게 이야기를 끌고 나가는 힘이 굉장하다.

도스토예프스키의 <가난한 사람들>을 연상시키는 사실적 서사가 과연 어떻게 끝날지 궁금해 하는 독자에게, 작가는 함박눈이 내리는 날 명주와 준성이 트럭에 시체를 싣고 증평으로 내려가는 장면을 보여준다.

트럭 짐칸에 잘 못 탄 치매 할머니를 '엄마 삼기'로 하고 뜨끈한 우동을 먹으러 가자고 말한 뒤 새근 새근 잠든 둘을 바라보는 준성의 모습이, 아버지와 어머니의 시체를 암매장하기 위해 트럭에 싣고 달리는 상황과 강렬한 대비를 이룬다.

제도와 법률이 정한 도덕과 원칙에 반해 새로운 가족을 이룸으로서 대안을 찾는 가난한 사람들. 누가 이들에게 돌을 던질 수 있을 것인가.


https://blog.naver.com/rainsky94/22373134980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