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범
이언 뱅크스 지음, 이예원 옮김 / 열린책들 / 2011년 7월
평점 :
절판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주인공 캐머런 콜리는 컴퓨터, 게임, 마약, 술, 담배, 불륜과 자위에 중독된 기자다. 그가 써내는 기사는 자본주의의 폐해나 권력의 부패를 고발하는 내용이 주를 이뤘는데, 어느 정도 정의감을 기저에 깔고 있었다.
그런 그가 최근 ARES라는 프로젝트에 참여한 사람들의 죽음을 파헤치고 있다. 총 다섯명의 사람들이 길게는 6년 짧게는 4년 전에 이 세상을 하직했는데, 그들 모두 원자력 산업이나 안보 기관과 줄이 닿아 있었던 사람이었고, 이라크 관련 프로젝트에 참여한 흔적이 있었다.
제보자는 그들이 모두 '자살당한 것'이라 암시했다. 내용의 중요도와 도청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캐머런에게 특정 공중전화를 지정하여 그곳에서 전화를 받는 방식으로 제보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캐머런은 그의 제보가 매우 신뢰할 만하다고 생각했다.
한편, 캐머런이 제보전화를 받는 즈음 영국 내에서 연쇄 살인이 발생한다. 부도덕한 신문사 편집장은 꼬챙이에 꿰어 살해당했고, 강간범 처벌에 관대했던 판사는 강간당한 뒤 죽음을 당한다. 아동 포르노 상인은 혈관에 정액을 주입당했고, 이란-이라크전 참사에 무감했던 자는 분수처럼 핏물을 뿜으며 사망했다. 또, 안전보다 이윤만 중시해 인명 피해를 발생시킨 뒤 보상금 지급을 거절했던 자는 폭사 당했다.
경찰은 사건을 추적하던 끝에 유력한 용의자로 캐머런을 지목한다. 공교롭게도 살인이 일어나던 시점에 캐머런은 제보자가 요구하는 장소에 가서 전화를 받거나, 그가 조사를 권유하는 장소에 갔던 탓에 알리바이가 없었다. 처음엔 상황을 장난처럼 받아들이던 캐머런도 차츰 자신이 심각한 곤경에 처해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고, 사촌형인 앤디를 통해 알리바이를 입증하려 하지만 생각대로 되지 않는다. 그리고 앤디와의 추억을 떠올리던 캐머런은 잊고 있었던 기억을 소환하게 된다.
앤디와 캐머런은 사촌지간으로 어렸을 적 한 동네에서 자랐다. 한번은 앤디가 얼음물에 빠지는 사건이 있었다. 캐머런은 공황에 빠져 집으로 도망치지만 다행히 앤디는 다른 사람에게 구조되어 살아나게 된다. 캐머런은 자신이 도망쳤다는 사실을 몹시 부끄러워 했다.
얼마 뒤 뒷산에서 놀던 앤디와 캐머런은 경찰을 사칭하는 변태성욕자를 만나게 된다. 변태성욕자는 앤디를 강간했고 캐머런은 도망쳤다. 하지만 과거 도망쳤던 기억이 떠올라 다시 범행장소로 간 캐머런은 변태성욕자의 머리를 나무로 내려치고, 몸이 자유로워진 앤디는 그 자의 머리를 거듭 가격하여 끝내 사망에 이르게 한다. 둘은 변태성욕자의 시체를 폐공장 굴뚝 안에 유기한다.
이 사건을 떠올린 것을 계기로 캐머런은 앤디가 이번 연쇄살인사건의 범인이라는 점을 깨닫는다. 포클랜드 전쟁에 참전했다 돌아온 앤디가 자경단 노릇을 했던 것이다.
경찰에서 풀려난 캐머런은 앤디에게 납치된다. 모든 사정 설명을 해준 앤디가 캐머런에게 자신을 신고할 기회를 주지만 캐머런은 그렇게 하지 않는다.
------
신자유주의의 폐해에 대해 신랄한 시각을 갖고 있는 누군가가 J.D.셀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과 마틴 에이미스의 <돈 혹은 한 남자의 자살 노트>를 버무려 한 권의 소설을 만든다면 <공범>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작가 이언 뱅크스는 이언 M.뱅크스 라는 또 다른 필명으로 SF 소설 시리즈를 발표하기도 하는 작가다. 1984년 <말벌공장>으로 엄청난 논쟁을 불러일으키며 데뷔했는데, <공범>은 전통적인 소설 작법에서 벗어나 독자를 범행의 목격자로 만드는 독특한 구성을 취하고 있다.
소설은 시작하자 마자 살인범이 누군가를 차분히 죽여나가는 것을 독자가 지켜보도록 강제한다. 독자는 아직 살인범 편을 들어야 할지, 피해자 편에 서야할지 결정하지 못했다. 하지만 살인이 반복될수록 피해자들이 아동포르노 제작자, 파렴치하고 부도덕한 자본가, 자본에 기생하는 언론인 등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살인범을 막연하게나마 응원하게 된다.
이제 문제는 살인범의 편에 서느냐, 피해자를 응원하느냐가 아니다. 어딘지 꿈과 같은 살인범의 행동과 별개로 진짜 주인공이자 현실적 인물인 캐머런이 살인범이냐 아니냐 하는 문제로 시선을 돌리게 된다.
이 때 작가는 캐머런와 앤디의 어린 시절을 보여주면서 그들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겪지 않았더라면 좋았을 일들을 보여준다.
변태성욕자에게 강간당했지만 시스템과 법을 통해 정당한 방법으로 복수할 수 없었던 어린 캐머런과 앤디가 성장한 뒤 어떤 길을 걷게 되는지를 보여 주면서 작가는 다소간 해피앤딩으로 소설을 마무리 짓는다.
작품은 2000년 조니 리 밀러 주연, 가빈 밀러 감독으로 영화화 되었다.
https://blog.naver.com/rainsky94/223456048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