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향 외 문학의 세계
안드레이 플라토노프 지음, 최병근 옮김 / 책세상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귀향 >

제대 명령을 받은 공훈부대 대위 알렉세이 알렉세예비치 이바노프가 4년 만에 귀향하게 된다. 기차는 제 때 오지 않았고, 그 역시 귀향을 서두르지 않는 듯 했다. 아내와 두 자식을 보고 싶은 마음이 컸음에도 그는 마샤라는 여자에게 집적대며 뭉그적거린다.

마침내 집으로 돌아가 보니 무언가 달라져 있다. 아내는 셰몬 예브세예비치라는 사내에게 잠시나마 위안을 얻었던 듯 하고, 아직 어린 큰아들은 너무 어른처럼 굴었다. 아직 어린 다섯 살 나스차 만이 어린애다운 귀염성을 간직하고 있었다.

어느 날 그는 아내에게 셰몬이라는 사내와의 관계를 다그치며 윽박지르다 집을 나가 기차를 탄다. 마샤에게 갈 작정이었을까. 하지만 무언가 이상한 낌새를 느낀 어린 아들과 딸이 그가 탄 기차를 좇아 뛰어오고, 자꾸만 넘어지는 모습을 본 그는 기차에서 뛰어 내린다. (1946년)

< 프로 >

프로샤의 남편 페지카는 집을 떠나 멀리 일을 하러 떠났다. 프로샤는 남편이 없는 빈 자리가 너무나 쓸쓸해서 공부도 잘 할 수 없었고, 일도 손에 잡히지 않았다. 그녀는 우편배달부 일을 얻어서 마음을 달래려 했지만, 엉뚱하게도 남편에게 자신이 위독하다는 거짓 전보를 보낸다. 남편은 곧 돌아왔고 며칠간 프로샤와 지낸다.

어느 날 일어나보니 남편은 다시 극동으로 일을 하러 떠나고 없었다. 프로샤는 이웃에 사는 하모니카 부는 꼬마 손님을 집으로 청한다. (1936년)

< 포투단 강 >

적군 병사 니키타 피르소프는 제대 후 이웃에 살던 류바와 결혼한다. 류바의 어머니는 시립학교 교사였고, 그녀의 집은 품격있는 가구들로 채워져 있었다. 예전에 니키타의 아버지는 그녀에게 청혼하고자 했으나 주눅이 들어 그러지 못했다.

지금은 그녀의 집이 몰락해 끼니를 걱정하는 처지가 되었고, 품성이 착한 니키타가 류바를 돌봐주자 류바는 니키타에게 시집오게 된 것이다.

하지만 니키타는 류바를 육체적으로 사랑하지 않았고, 끊임없이 불길한 생각을 해댔다. 급기야 포투단 강에 몸을 던져 자살하려는 망상에 시달리다가 집을 나가 노숙자 생활을 하게 된다.

꽤 오랫동안 노숙자 생활을 하던 니키타가 우연히 아버지를 만나고, 집으로 다시 돌아온다. 니키타는 아내 류바에게 이제 "행복해지는 데 익숙해졌어"라며 안심시킨다. (1937년)

< 안갯빛 청춘 >

열네 살 올가의 부모는 장티푸스로 사망했다. 의지할 곳 없는 올가는 이모를 찾아갔지만 그녀는 냉담했다.

어찌하다 적군 병사들의 도움으로 철도 요원 교육 과정에 입학하고, 기숙사에서 살 수 있게 된 올가는 열심히 공부해서 기관사가 된다.

화차가 떨어져 나간 열차를 통제하려다 사고가 난 올가가 깨어나서 보고 싶었던 것은 유모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알게 된 귀여운 아기 유슈카였다. (1938년)

< 기관사 말체프 >

알렉산드르 바실리예비치 말체프는 뛰어난 기관사였으나 번개를 맞아 일시적으로 실명하게 된다. 하지만 곧 시력을 회복해 무사히 운행에 성공했으나 법원은 과격하게 운전한 죄를 물었다. "나"는 그가 번개에 맞아서 시력을 일시 잃었던 탓이라고 증언했으나 법원은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얼마 후 말체프는 실제 실험을 통해 무죄를 입증하지만 이번에는 시력을 영구히 잃어버리고 만다.

"나"는 말체프가 기차를 탈 때야 말로 예전의 활기를 되찾는다는 사실을 알고 가끔 그를 기차에 태워 운전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러던 어느 날, 말체프는 기차와 온전히 하나가 되어 다시금 시력을 회복한 것과 같은 환희를 느낀다. (1941년)

------

플라토노프 소설에는 불만족스러운 현실과 막연한 미래 사이에서 고민하는 인간들의 모습이 자주 등장한다. 그들은 적극적으로 현실을 개조하기 위해 노력하기 보다는 도망치거나(귀향), 병리적 상태로 자신을 몰아간다.(포투단 강, 프로)

하지만 작가는 그들을 다시 현실로 복귀시키는 데 그 이후 이들이 어떻게 살아가게 될 지는 모르지만 <안갯빛 청춘>의 유슈카나 <프로> 의 하모니카 부는 꼬마 손님, 즉 다음 세대에는 달라질 거라고 낙관하는 듯 보인다.

1917년 혁명과 연이은 내전, 스탈린의 독재와 숙청을 겪은 세대의 러시아 작가들이 흔히 그렇듯 플라토노프 역시 비평계와 정치권력으로 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고, 정치범 수용소에 수감되었다가 돌아온 아들을 간호하다 폐병에 감염되어 1951년 사망한다.


https://blog.naver.com/rainsky94/2231901366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