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담의 그림자
스테파니 핀토프 지음, 이영아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11년 5월
평점 :
절판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1904년, 경찰인 사이먼 질은 제네럴슬로컴 호 사고로 약혼녀 해나를 잃는다. 극심한 고통은 쉽사리 가시지 않았다. 한해 뒤 사이먼은 마음의 상처를 치료하기 위해 한적한 시골 마을인 뉴욕 주 돕슨으로 전근을 신청한다. 그러나 몇 달 지나지 않아 친척 집에 묵으러 온 세라 윙게이트라는 20대 초반 여성이 처참히 살해 당하는 사건이 벌어진다. 

그녀는 바너드 칼리지를 졸업한 뒤 컬럼비아 대학 수학과 대학원에 진학해 논문을 2편 완성했고, 최근에는 리만 가설에 매진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사건 현장 주변을 조사하던 사이먼은 범인이 그녀에게서 전리품으로 빼앗았다가 도주 과정에서 놓친 것으로 보이는 목걸이 로켓을 습득한다. 로켓을 여니 거기에는 중년 남성과 함께 찍은 사진이 있었다. 사진은 5년쯤 전부터 잘 쓰이지 않는 우드베리형 제판법으로 인화된 것이었다. 그러나 그게 다였다. 단서가 많지 않았다. 

그런데 얼마 뒤 전보가 한 통 도착한다. 돕슨에서 일어난 살인사건의 용의자를 알고 있다는 내용이었고, 서명은 엘리스테어 싱클레어로 되어 있었다. 엘리스테어 싱클레어는 컬럼비아 대학 범죄학자였다. 그는 마이클 프롬리라는 범죄자를 갱생시키는 일종의 실험을 진행중이었는데, 프롬리가 평소 품었던 망상과 사건 현장이 매우 흡사하다는 것, 그리고 그가 최근 실종이라는 점에 비춰볼 때 프롬리의 범행이 아닐까 하는 의심은 매우 합리적이었다.


작가 스테파니 핀토프는 자신이 졸업한 컬럼비아 대학과 뉴욕대학을 공간적 배경으로 1905년도의 암울한 시대적 분위기를 성공적으로 재현해냈다. 1904년에 일어난 제네럴슬로컴호 사건, 시장 선거와 관련한 부정, 사진 인화 기술의 변화, 리만 가설에 대한 학계의 관심, 범죄자의 행동과 심리를 학문적으로 해석하려는 움직임 등에 대한 충실한 고증은 소설을 더욱 사실적으로 만들어준다. 데뷔작임에도 불구하고 이런 점이 높이 평가 받아 2010년 에드거 상 신인 상과 워싱턴 어빙 상, 애거서 상, 앤서니 최우수 신인 상을 수상했고 매커비티 상 최우수 히스토리컬 픽션에 노미네이트 되었다. 


소설은 엘리스테어가 연구하던 프롬리를 유력한 용의자로 삼아 전반부를 이끌어 간다. 하지만 그가 시체로 발견되면서 사건은 일시 미궁에 빠진다. 하지만 엘리스테어의 연구비가 어디론가 새나가고 있었다는 것과, 도박에 빠져 그 돈을 횡령한 것으로 의심되는 연구원이 나타나면서 혹시 사망한 세라는 횡령을 알아챈 것 때문에 살해 당하지 않았을까 하는 가정이 떠오르면서 사건이 해결된다.


https://blog.naver.com/rainsky94/22238347593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