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 드래건 1
토머스 해리스 지음 / 창해 / 1999년 9월
평점 :
절판


보름달이 뜨면 살인을 저지르는 연쇄살인마가 나타났다. 그는 한 달에 한 번, 범행 대상으로 점찍은 집에 들어가 거울을 깨뜨린 뒤 일가족을 살해한다. 그 과정에서 강간이 자행되는데, 끔찍한 점은 시체가 된 나머지 가족들을 구경꾼처럼 현장에 늘어놓는다는 점이다. 경찰은 그가 피해자를 깨물기 때문에 '이빨요정'이라는 별명을 붙인 뒤 수사를 시작했다. 하지만 그가 AB형이라는 점을 빼고는 거의 단서가 발견되지 않아 애를 먹었다. 


이에 FBI의 잭 크로포드는 저 유명한 연쇄살인마 한니발 렉터를 체포한 윌 그레이엄에게 도움을 청한다. 그레이엄이 한니발 렉터를 체포한 것은 어느 정도 우연이었다. 피해자 중 한 명이 한니발에게 치료를 받았던 이력이 있어 질문을 하러 갔다가 <부상자>라는 도해책이 꽂혀 있는 것을 발견했던 것이다. 한니발은 정신분석학자였기 때문에 그 책은 부자연스러웠다. 표정이 변한 것을 눈치챈 한니발이 그레이엄을 공격하여 큰 중상을 입는다. 그레이엄은 상처가 회복된 뒤에도 트라우마에 시달리다 결국 FBI를 은퇴한다. 그리고 지금, 잭 크로포드는 그레이엄이 아니면 '이빨요정'을 잡을 수 없다고 생각한다.

크로포드의 요청을 마지 못해 수락한 그레이엄은 희생된 리즈 가족과 저코비 가족의 집을 방문해 연쇄살인범의 시각으로 현장을 돌아본다. 그리고 살인마가 맨손으로 눈꺼풀을 만졌을 것이라는 것과, 나무 위에 올라가서 한 동안 망을 봤으며 中 자를 세긴 것 등을 알아낸다. 하지만 뭔가 부족했다. 그레이엄은 렉터를 찾아가서 도움을 구하지만, 렉터는 상징적인 이야기만 반복할 뿐 직접적인 단서를 주지 않는다.


한편, 어렸을 적 할머니에게 거세 위협을 당하는 등 반복적으로 학대당했던 프랜시스 달러하이드는 할머니가 사망한 뒤에도 같은 집에서 혼자 살았다. 언청이라 발음에 다소 문제가 있었던 그는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겪었는데, 청년이 된 후 윌리엄 블레이크의 <거대한 붉은용과 태양을 옷으로 입은 여인>이라는 작품을 본본 뒤 변태 모티프에 집착한다. 등에 거대한 붉은 용을 문신으로 세기고 신체를 단련한 그가 살인을 통해 대인관계에서 느꼈던 모욕감을 떨쳐낸 뒤에는 자신이 신이 된 느낌을 갖게 된다. 

그는 필름 현상 회사 직원이었고, 비디오카메라의 보급 덕분에 가족필름의 현상 의뢰는 끊이지 않았다. 그는 한 달에 한 번 신이 될 기회를 골라잡기만 하면 되었던 것이다. 


------


작품 중간에 누가 범인인지, 그리고 동기가 무엇인지 밝혀진다. 따라서 작품을 좀 더 재미있게 즐기는 방법은 그레이엄(정상인)과 한니발(정신병자)의 차이점에 관해 생각해보는 것이다. 


작품에 시쳇말로 기레기 하나가 나오는데, 이 자는 '이빨요정'에 의해 살해된다. 흥미로운 점은 윌 그레이엄이 이를 이용한다는 점이다. 

'이빨요정'은 일가족을 몰살시키기 전 반드시 반려동물을 먼저 처리했다. 그레이엄은 '이빨요정'이 자신을 타깃으로 선택했다는 것을 알았을 때, 기자가 자신의 애완동물 처럼 보이도록 사진을 찍어 노출시킨다. 

한니발 역시 이 점을 지적한다. 한니발은 그레이엄이 자신을 체포한 것이 결코 우연이 아니었다고 주장한다. 그는 그레이엄이 자신과 비슷한 부류였기 때문에 사건의 핵심에 다가설 수 있다고 했다. 

감옥 문을 두고 안에 있는 자(한니발)와 바깥에 있는 자(그레이엄)로 구분되어 있긴 하나, 이 구분은 정말 의미가 있는 것일까? 

'바깥'에 있는 자는 '바깥'에서 일어난 사건을 자꾸만 '안'에 있는 자에게 묻는다. '안'에 있는 자는 자꾸만 '바깥'에 있는 자가 자신과 같다고 한다. 바깥과 안이 사실은 하나와 다름 없다는 인식. 

포스트모던적 성향이 다분히 강한 이 소설은 미스터리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이지적인 통찰이 곳곳에 넘쳐나는 수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