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남자도 자유가 필요해 - 낭랑 오십 해직 기자 미친 척 남미로 떠나다
우장균 지음 / 북플래닛(BookPlanet) / 2015년 10월
평점 :
일을 쉬다보니 여행에 대한 목마름이 더 간절해졌다. 그렇다고 여행을 안가는 것도 아닌데, 집에 있는 시간이 많을수록 어딘가로 떠나고 싶다는 생각이 많아진다. 가을, 떠나기 참 좋은 계절. 그리고 책 읽기 참으로 좋은 이 계절, 『남자도 자유가 필요해』를 만났다.

자유를 말하다 회사에서 잘리고 밀려오는 시간의 파도를 꾸역꾸역 넘다가, 그 막바지에 그들은 배낭여행을 하게 된다. 지금은 복직 기자가 된 그와, 여전히 해직 기자인 그가 함께였던 30일간의 시간은 드라마 제목처럼 함부로 애틋했다.
해고당한 남편을 보면서 아내는 속으로 얼마나 많이 저릿한 시간을 보냈을까. 그리고 그는, 아내에게 배낭여행을 다녀와도 되겠냐는 말을 내뱉기까지 얼마나 힘들었을까. 그 사이의 일을 알 수는 없지만 만약 내가 그렇다면… 생각만으로도 참 힘든 시간일 것 같다. 말을 하지 않아도 알아지는 사이, 혹 그 사이가 부부는 아닐까 생각해보면서.
우리와 다른 외국인의 삶을 그들의 시선을 통해 엿보기도 하고 나 혼자 얼굴도 모르는 그이들을 떠올리며 보내는 가을의 오늘은 깊어지는 햇살처럼 따사로웠다.

그들의 여행은 단순한 여행으로 그치지 않았다. 여행지에서의 단순한 에피소드만 나열해놓는 그저그런 여행서와는 전혀 다른 글이었다. 때로는 꿈을 말하고 때로는 가족을 떠올리고 때로는 그 나라의 역사를 말하는 지금껏 내가 봐온 여행서와는 차원이 다른 내용이었다. 그래서 더 손에서 놓기 싫었다.
도난당한 카메라와 아이폰에는 어떤 이야기가 담겨있을지, 무척 궁금하다. 그들의 시선이, 사진이 주는 여유와 쉼을 빼앗긴 것 같아서 내내 아쉬웠다. 물론 책 곳곳에 자리한 사진들은 나를 아무것도 하지 않고 바라보기만 하게끔 만들었다. 사진 속에 들어가 하룻밤 거닐다 오고픈 충동도 일렁거렸다. 하루에도 여러번 책 속의 사진을 들여다보면서 그 안의 나를 꿈꾸어보았다. 마치 이루지 못한 꿈을 사진 속에서는 이루는 것같은, 그런 착각의 시간을 보내며 말이다.
고작해야 서른이 넘었을 뿐인 내가 어찌 중년의 그들을 온전히 이해한다고 할 수 있을까. 이해하기보다는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싶다는 것이 내 솔직한 마음일 것이다.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지만, 그리고 아무리 나이를 먹어도 두 자리 수에 불과하겠지만, 그래도 나이는 공으로 먹는 것이 아니다. 나이에 맞는 생각, 그에 걸맞는 삶을 우리네 부모님은 살아왔으니까. 겉으로 보여지는 부나 명예가 아니라, 자세히 봐야 더 예쁘고 반짝이는 인생에 담긴 진정한 희노애락의 순간들을 지금 이 순간에도 수놓고 있을테니 말이다.

꿈을 꾸는 일은 심장을 뛰게 한다. 살아있는 기쁨을 준다. 내게는 글을 쓰는 일이 심장을 뛰게 하고, 글을 읽는 일이 살아있는 나를 만끽하게 한다. 쓰고 읽고 생각할 수 있고, 누군가와 오늘을 말할 수 있다는 것은 얼마나 축복받은 일인지, 늘 감사함을 지니고 살아야겠다.
파아란 하늘을 자유롭게 거니는 새들처럼, 복직되지 못한 기자님들께서 부디 복직되는 꿈을 함께 꾸고 싶다. 그들이 옳다 생각되기 때문에 그들을 응원하고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