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 공부력은 초5에 결정된다 - 부모를 미치게 하는 사춘기 극복과 꾸준한 성적 향상을 위해 부모가 알아야 할 요즘 초등학교 5학년의 모든 것 바른 교육 시리즈 14
박명선 지음 / 서사원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새 새 학기 적응 기간도 끝나고, 학기 다운 학기가 시작되고 있다. 여전히 학교 생활이 어색한 아이들도 있지만, 작년과 달리 매일 등교를 하게되는 초등 저학년 아이들은 하루가 다르게 얼굴에 웃음꽃이 피었다. 이제 막 부모님 품에서 벗어나 가정이 아닌 학교에서 또 다른 오늘을 보내는 아이들을 마주할때면 나도 괜스레 신이 났다. 아직은 마스크를 벗을 수 없지만, 그 어느 날에는 꼭 아이의 해사한 웃음을 볼 수 있으리라 기대해본다.



박명선 선생님의 자녀 교육서 <평생 공부력은 초5에 결정된다>에는 사춘기 아이들을 어떠한 방향으로 이해하고 지도해야하는지, 다양한 교과목별 학습법과 함께 정리되어 있다. 초등 고학년이 되면 아이들은 2차 성징에 가까워 진다. 신체적인 변화 뿐만아니라, 마음도 부쩍 자라고 있다는 느낌에 글쓰기 과제 후 독후기록장에 한 줄 감상평을 적을 때에도 괜스레 마음이 쓰이곤 한다. 선생님을 너를 존중하고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그 뻔한 말을 좀 더 힘주어 말하고 싶은 욕심에서 비롯되기도 한다. 그만큼 말 한 마디도 조심스럽고, 행동 하나도 조심스러운 시기가 바로 초5인 것 같다.

남자 아이들은 어느 날 갑자기 달라지기 시작한 목소리에 잊을 닫는 경우가 있다. 의기소침해져서 끄덕임으로 대답을 대신하는 아이들도 있다. 그런 모습의 아이들을 처음 마주하곤 나는 참 난감하기 그지 없었다. 어떻게 대해야할지, 수업은 또 어떻게 이끌어가야할지, 끄덕끄덕만 하고 있는 아이를 혼내야할지 아니면 모르는 척 지나가야할지 그 짧다면 짧은 한 시간을 긴장감으로 채웠던 기억이 난다. 아이들과 좀 더 시간을 보내고, 친해진 뒤 그 아이에게 들었던 말은 "창피해서 그랬어요. 쌤이 싫어서가 아니라 여자 애들이 놀려서..."였다. 그러곤 이제는 아무렇지 않다는 것처럼 멋쩍게 웃음 짓던 아이의 모습이 책을 읽는 중간 중간 생각났다. 나는 과연, 아이들에게 어떤 모습으로 남아있을까.

학교 선생님은 아니지만, 그간 수없이 많은 아이들을 만나오면서 느끼게 되는 부분은 존중과 이해와 배려는 어른에게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라는 것이었다. 어른과 아이 사이에서도 늘 존중과 이해와 배려는 필요하다. 책을 두 권 읽었으니 이제 게임을 해도 돼, 혹은 영어 단어를 50개 외웠으니 이제 유튜브를 봐도 돼! 이런식의 교육은 늘 조건부다. 그래서 좀 더 마음을 열고 '게임을 하고 싶은데도 꾹 참고 책을 두 권이나 읽어 준' 나의 아이를 향해 따듯한 마음을 내어주면 참 좋겠다.

결국, 공부는 누가 시켜서 하는 것이 아니다. 아이가 스스로 해나가야하는 부분이다. 책에서처럼 어른인 우리는 옆에서 조금씩 도와주는 조력자가 되면 된다. 아이에게 선택의 기회를 주고, 더 나아가 가족이 함께 독서를 하는 그런 오늘을 기대해본다.

** 리뷰어스클럽의 소개로 책을 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평생 공부력은 초5에 결정된다 - 부모를 미치게 하는 사춘기 극복과 꾸준한 성적 향상을 위해 부모가 알아야 할 요즘 초등학교 5학년의 모든 것 바른 교육 시리즈 14
박명선 지음 / 서사원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박명선 선생님의 자녀 교육서 <평생 공부력은 초5에 결정된다>에는 사춘기 아이들을 어떠한 방향으로 이해하고 지도해야하는지, 다양한 교과목별 학습법과 함께 정리되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지 말라는데 가고 싶은 길이 있다 - 나태주 스페셜 에디션
나태주 지음 / &(앤드)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봄꽃이 예쁘게 거리를 채우는 계절이다. 바야흐로 눈부신 봄, 이 봄과 어울리는 시집을 만났다. 자연과 그 안에서 사는 우리와 참으로 잘 어울리는 선생님, 나태주 시인의 스페셜 에디션 <가지 말라는데 가고 싶은 글이 있다>에도 봄이 왔다.



책을 펼치면 볼 수 있는 선생님의 손글씨, 저 네 줄만으로도 벅차오르는 마음. 그 마음을 다독다독이며 한 장 한 장 시와 눈맞춤을 했다. 오래간만에 다시금 마주한 시가 나를 참 유해지게 만들었다.

시에는 큰 틀이 없다. 그렇기에 누구나 쓸 수 있지만, 누구나 쓸 수 없는 글이기도 하다. 대학 시절, 일상이 시가 되게 하라는 선배들의 가르침을 새기고 또 새기며 지내왔지만, 쉽게 쓰여지는 시란 없다는 것이 내 결론이었다. 하기에 참 어렵고 또 어렵기 그지없는 길이 글쟁이의 길이구나 생각했다.


선생님의 시는 행간조차 모두 시였다. 그림 한 폭을 마주한 것처럼 행마다 마주하는 짧은 울림이 긴 여운으로 남아 따듯한 봄을 만들어주는 기분이었다. 그래서 곳곳마다 펼쳐지는 봄의 기운에, 자연의 따스함에, 사람에 대한 사랑에 마음까지 따사로운 빛이 자리했던 것 같다.

코로나로 인해 답답함이 자꾸만 차오르는 요즘, 나태주 선생님이 들려주는 서정시에 위로를 받아보면 어떨까. 지친 마음에 새살이 돋고, 답답한 마음에 위안이 되는 그런 시간을 가질 수 있을거라 믿는다.

한 편의 시가, 시의 구절이 가슴팍에 살포시 내려앉아 흩날리는 꽃비를 마주하며 잠시나마 쉼을 청할 수 있기를 빌어본다.

** 리뷰어스클럽의 소개로 책을 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지 말라는데 가고 싶은 길이 있다 - 나태주 스페셜 에디션
나태주 지음 / &(앤드)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선생님의 시는 행간조차 모두 시였다. 그림 한 폭을 마주한 것처럼 행마다 마주하는 짧은 울림이 긴 여운으로 남아 따듯한 봄을 만들어주는 기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35
아리스토텔레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리스토텔레스는 시학에서 사물이든 생명체든 일정한 크기를 지니고 한눈에 볼 수 있어야 하듯, 플롯도 일정한 길이를 지니고 쉽게 기억할 수 있어야한다고 정의했다. 플롯의 기본적 구성을 알고, 오늘만이 아닌 미래를 말할 수 있고 그 안에 나만의 기법을 더한다면 조금은 백지의 공포에서 벗어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