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은신처에서 보낸 날들
장길수 지음 / 열아홉 / 2021년 11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별셋엄마에요. 이번에 특별한 책을 만나서 소개해드릴려고요. 북한의 실상이 고스란히 담겨있는 십대 청소년이 느낀 탈북후 중국에서 은신처에서 보낸 날들에 대한 이야기에요. 처음에 이책을 보고 안네의 일기가 떠올랐어요.
은신처에서 보낸 날들
장길수지음/ 열아홉
표지를 살펴볼게요. 이 일기장의 주인공인 장길수의 소년시절인 듯한 그림이에요. 북한에서는 중국에서는 어떤 일이있었을지 가본적없고 들은적도 잘 없는 우리에게 어떤 이야기를 해줄지 궁금했어요.
저자 장길수에 대해서 이야기해줘요. 장길수는 교사인 아버지와 여군 출신 어머니 사이 삼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어요.
중학교2학년때 어머니와 함께 탈북을 했어요. 그 후 두 차례를 걸쳐 북한에 들어갔다가 탈출을 했어요. 이부분에서 장길수라는 청년이 참 용감하구나 생각이 들었어요. 저라면 가까스로 탈출해서 빠져나온 그곳에 다시 갈 용기가 안날거같았거든요. 그후 중국에서 다행히 서영숙씨와 문국한 씨를 만나서 은신처에서 살게되요. 이이야기는 은신처에서 생활할때 장길수씨의 일기에요. 정말 안네의 일기와 비슷한거같아요. 예전에 안네의일기를 보면서 안네는 정말 마음이 착하구나 어떻게 그 답답한 곳에서 아름다운 생각을 하면서 지냈을까 궁금했어요. 이책도 그럴지 궁금했어요.
목차를 넘기면 추천사가 4개 나와요. 그중에서 일기에서 나온 큰아버지 문국환씨와 큰어머니 서영숙씨의 추천사가 마음을 울려요. 평범한 사업가였던 문국환씨가 어떻게 북한에서 탈북한 이들을 돕는 만인의 아버지가 되었는지에 대한 이야기와 길수에게 신발하나를 제대로 사주지 못해서 마음이 아팠다는 긴 사연을 어떻게 말 할 수 있겠냐는 서영숙씨의 이야기를 읽으며 피하나 섞이지 않은 이들을 위해 희생한 그들의 모습이 그려졌어요.
한참 클 나이에 제대로 먹지 못하고 눈으로 보면 가지고 싶고 하고싶은것도 많은 길수의 모습에서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어요. 탈북자에게 너무나 차가운 현실 중국에서 버리는 음식물 쓰레기와 멀쩡한 물건들을 보면서 북한에서 굶어죽는 길수의 이야기를 보면서 저역시 그들보다 많이 풍족하게 살아가는 모습에 부끄러웠어요. 북한의 실태를 고발하는 그림을 그리라고 큰어머니가 크레파스와 종이를 많이 가져다 주시면 숨이 콱막히고 더이상 그리기 싫다는 솔직한 이야기에서 웃음이 나기도 했어요. 한국에서 아이들이 공부하기 싫어하는 거랑 비슷해서요. 뭐든지 자기가 좋아서 해야지 강요를 하면 그뜻이 숭고하고 좋아도 좋지 않구나 하는 생각도 해봤어요. 책을 읽으면서 북한의 실상에 대한 이야기에 마음이 아프기도 하고 놀라기도 했어요. 인육이 장마당에서 거래가 되고 일가족이 자살한다는 이야기 북한은 자국민을 굶어죽인다는 끔직한 이야기들이요. 지금껏 들어보지 못했어요. 길수와 그가족들은 한국사람을 보면 돈을 달라고 구걸을 해요. 멀리서 보면 왜 구걸을 할까? 하는 생각이 들었는데 자세히 책을 들여다보니 중국에서 탈북자에게 제대로된 일자리를 주지 않을 뿐 아니라 일을 시키고 임금도 주지 않고 쫓아낸다고 하는 것을 보니 그들에게는 기회가 없어서 그런 삶을 살아가는 구나 생각이 들었어요. 은신처에서의 오랜 기다림과 굶주림 끝없는 일기쓰기 끝에 남한에 가게된 길수씨.
은신처에서 쓴 일기로 책을 내고 그린 그림으로 전시회를 하면서 북한의 실상을 여러 나라와 사람들에게 알리는 모습이 멋져요. 책의 마지막즈음에 어머니가 북한으로 끌려가고 정치범수용소에 갇히게 되었다는 소식을 전해듣게되요.
어머니를 생각하는 길수의 절절한 마음이 일기에서 많이 묻어나서 마음이 아팠어요. 저는 길수 어머니의 시가 마음을 울렸어요. 마지막으로 길수 어머니의 자작시를 소개하며 책이야기를 마쳐요.
우리 마음 전해다오
산을 넘고 들을 지나 두만강을 건넜건만
이국땅엔 우리 살 곳 그 어디도 없다네
그 누가 알아주랴 안타까운 이내 심정
바다 건너 남쪽 땅에 우리 마음 전해다오
새봄이 오면 돌아간다고 식구들과 약속했건만
철조망이 가로막혀 갈 수 없는 이 사연을
그 누가 들어주랴 타향의 슬픈 노래를
구름 너머 나는 새야 우리 마음 전해다오
길수 어머니의 자작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