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천재가 되는 11가지 공부 비결 - 수포자가 공대 교수가 되고 평범한 중위권 학생이 옥스퍼드대 우수 졸업자가 된 비결
바바라 오클리.올라브 슈위 지음, 정윤미 옮김 / 골든어페어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무더운 여름방학 잘보내고 계시나요? 아이를 초등학교 입학시키면서 시작한 홈스쿨링 덕분에 예전과 달리 많이 보는 것이 공부법과 관련된 책이에요. 이번에 제목부터가 눈에 확띄는 책이 있어서 읽어봤어요.








학습천재가 되는 11가지 공부비결

골든어페어

표지를 살펴볼게요.

수학 포기자가 공대 교수가 되고

평범한 중위권 학생이 옥스퍼드대 우수 졸업자가 된 비결

이부분만 읽어도 무척 솔깃해요. 어떤 공부비결이 있는걸까요?



앞에서 말한 수포자였던 대교수가 바로 바바라 오클리이고, 평범한 중위권 학생이 옥스포드대 수석 졸업자가 된 사람이 올라브슈위 두 사람이 공동으로 집필한 책이에요. 작가의 이력을 보니 다른 책보다 공부못하는 사람의 마음을 알거 같다는 생각이 팍팍 들었어요.

이책은 과학적인 공부법 선물세트 같은 책이에요. 그동안 우리가 들었던 공부법들이 나와요. 포모도로 기법, 인출연습 기출문제 분석, 독서할때 훑어보기 주석달기등 등이요. 그뿐 아니라 그 공부법이 어떤 것에 근거했는지까지 이야기를 해주니 흥미롭고 어떤 것은 아이와 해봐야겠다고 줄을 박박 그으면서 읽었어요.

책에서 말한 여러가지 공부법 중에서 흥미로웠던 것들을 이야기 나눌까해요.



숙제를 하거나 시험을 칠 때는 하드 스타트를 적용하세요

58쪽

하드 스타트라는 용어는 이책에서 처음들었어요. 분산 모드를 활용하여 난이도가 높은 시험 문제를 풀거나 어려운 과제를 해결하는 방식이라고 해요. 간단히 이야기하면 어려운거 먼저 푸는거에요. 우리 초2이는 수학 문제집을 풀때 쉬운 문제집 순으로 해서 먼저 후딱 풀고 마지막으로 어려운것을 풀더라구요. 여기서는 쉬운 문제가 아니라 어려운 문제를 먼저풀어야한다고해요. 왜 그럴까요? 쉬운 문제를 먼저풀면 뇌가 지쳐서 최대역량을 발휘할 수 없다고해요. 앞에서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거나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야 할때는 분산모드를 활용해야한다고해요. 예전에 배웠던 유레카의 기원이 생각나더라구요. 아르키메데스가 밀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집중모드로 고민하고 연구하다가 분산모드로 목욕을 하던중에 발견한 것으로 유레카라는 말은 알아냈다는 뜻이라고해요. 그렇다고 어려운것을 계속 잡고 시험시간을 다 보내면 안되는거 아시죠?



지금 배우는 내용을 자기가 이미 알고 있거나 친숙하게 여기는 대상과 연결하는 것입니다.

116쪽

9세 7세 아이와 홈스쿨링을 하면서 평소에 했던 생각이 여기 책에 써있어서 무척 반가웠던 부분이어서 소개를 해요. 지금 배우는 내용을 자기가 이미 알고 있거나 친숙하게 여기는 대상과 연결하는 것이라고 어렵거나 처음 배우는 개념을 이해하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에요. 아이를 가르칠때 아이가 잘 알고있는것과 유사한 내용이면 그것을 설명하고 그것과 비슷하다고 하니 아이가 더 쉽게 이해를 해요.




책을 읽으면서 책의 저자들이 정리 요약하는것을 무척 좋아하고 잘하는 것같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책의 중간중간에 하나의 이야기가 끝날때 이장에서 기억할 점 이라고 해서 요약 정리해주고 마지막에 두장 반의 페이지에 이책의 핵심을 요약정리해줘요. 책의 제목처럼 11가지 공부방법을 아주 깔끔하게 이야기해줘요.

이론뿐 아니라 실제로 어떻게 하는지까지 이야기를 해주니 공부법이 궁금한 저와같은 사람들에게는 읽어봐야할 필독서가 될거같아요.

암기법, 필기법, 독서하는법, 시험잘 치는법, 메타인지를 이용해 학습효과를 높이는법 , 깊이있게 학습하는법, 풀리지 않는 문제를 푸는법 등 학습법에 대해서 궁금해하는 여러가지가 담겨있어서 그때 그때 궁금할때 찾아보기도 좋을거같아요.



공부법이 궁금한 모든 학생들 학부모님들께 일독을 권해요. 저도 다시한번 읽어야겠다고 생각이들었어요.

골든어페어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지만,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