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존감은 높게, 자신감은 크게, 배려심은 깊게
이자벨 필리오자 지음, 김은혜 옮김 / 푸른육아 / 2020년 11월
평점 :
절판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책읽는 별셋이와 엄마, 별셋엄마인사드려요.

요즘 코로나로 인해 아이들과 함께 있는 시간이 길어진 만큼 엄마의 인내심의 한계를 시험하는 일이 많이 있어요. 그럴때 필요한것은? 바로 육아서 지요. 육아서 한권 소개해요.

푸른육아에서 나온 자존감은 높게, 자신감은 크게, 배려심은 깊게 다소 제목이 길다고 생각이 들었어요.

노오란 책의 상단에는 이렇게 써있어요.

태어나서 취학 전까지 그림으로 읽는 우리 아이 행동의 비밀

그림을 살펴보면 아이가 때를 부릴 수 있는 상황에서 어떻게 잘대처하는지 , 화난 아이를 어떻게 달래주는지 그림으로 보여줘요. 우리 아이 행동의 비밀이 무엇인지 궁금한 마음에 바로 책장을 넘겼어요.

프롤로그에서 눈에 들어오는 글귀를 소개해요.

이 책은 아이의 감정보다는 부모의 심기를 건드리는 아이의 행동에 집중하고자 하였다

책을 읽으면서 이책이 보통의 육아서와 다른점이 이부분에 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부모는 언제나 기준을 어른인 부모자신에게 둔다

이부분을 읽으면서 정말 그렇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언제나 나자신이 기준이 되서 아이의 마음으로는 생각하지 못해요.

가끔 아이를 키우면서 나의 어린시절이 생각날 때가 있는대 그럴때 아이의 마음에서 생각해보는거 같아요.

이책에서는 포커스를 아이의 행동을 부모가 이해할 수 있게 끔 돕고자 한다.

이책은 아이의 연령을 기준으로 해서 이야기해요.

^^작가의 말v 육아에 정답이란 없다 4

^^프롤로그^^ 아이는 왜 떼를 쓰고 투정을 부릴까? 12

^^1장_ 아이는 화초보다도 훨씬 더 섬세하다^^

아이의 모든 투정에는 반드시 이유가 있다 22

아이가 사랑받는다고 느끼게 해주려면 26

아이가 떼를 쓰고 징징거린다면 34

아이가 잠시도 가만있지 못할 때 39

하지 말라는 행동에는 다 이유가 있다 41

부모가 먼저 아이의 화를 돋울 때도 있다 44

아이의 두뇌는 끊임없이 재편성된다 49

^^2장_ 12개월 ~ 18개월, “안 돼!”를 듣고 사는 모험의 시기^^

“안 돼!”보다는 “그만!”이 훨씬 좋다 52

부모가 먼저 행동으로 보여준다 56

아이에게 규칙은 너무 낯설다 58

하지 말라면 아이는 왜 더 하는 걸까? 64

아이에게 참는 법을 가르치는 법 67

관심을 보인다고 다 갖고 싶은 게 아니다 70

아이는 왜 엄마를 쳐다보며 우는 걸까 73

아이가 분리불안 증세를 보인다면 76

자다 깨서 우는 것은 불안감 때문이다 78

^^3장_ 18개월 ~ 24개월, 부정어 “싫어!”를 말하는 반항의 시기^^

18개월, 이제 나도 독립적인 인격체랍니다 82

아이의 고집은 나름대로 이유가 있다 84

아이는 마음껏 울면서 긴장감을 해소한다 89

질문이라고 모두 질문이 아니다 91

말썽이 아니라 신체 협응력을 키우는 중이다 93

생각 없이 다른 아이를 괴롭히기도 한다 97

^^4장_ 24개월 ~ 30개월, 관심 욕구 ‘질서’와 ‘고집’의 시기^^

아이는 정돈과 질서를 좋아한다 102

상황을 이해하게끔 과정을 설명해 준다 104

아이와 규칙을 정해서 실랑이를 줄이자 108

놀이터에서 집으로 가지 않으려 할 때 111

작은 것에도 아이의 감정을 존중해 주자 114

낯선 환경에선 먼저 친근감을 느끼게 해주자 118

억지로 재우는 것은 좋지 않다 120

불러도 아이가 들은 척하지 않을 때 122

식사 스트레스에서 벗어나려면 125

나쁜 말을 버릇처럼 쓰게 하지 않으려면 128

^^5장_ 30개월 ~ 36개월, 자립 욕구 “내가 할 거야!” 시기^^

아이의 자립심을 키워 주려면 134

아이는 욕구와 의도를 구별하지 못한다 137

아이에게 완벽한 선택은 무리다 143

^^6장_ 만 세 살, 다른 사람과 관계 맺기의 시기^^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기 시작한다 148

부모가 기대감을 버리면 반항도 멈춘다 149

알면서도 규칙이 지켜지지 않는 이유 152

^^7장_ 만 세 살 반 ~ 만 네 살, 상상력이 무궁무진 넘쳐나는 시기^^

무서운 꿈을 덜 꾸게 하려면 156

아이가 자신의 잘못을 깨닫지 못하는 이유 159

^^8장_ 만 네 살, 규칙과 자아 발견의 시기^^

게임을 통해 두뇌를 발달시킨다 162

아이의 상상력이 너무도 풍부한 이유 165

타인의 시선을 느끼기 시작할 때 167

버릇 없이 말하는 건 생각을 알리는 것이다 170

^^9장_ 만 네 살 반 ~ 취학 전, 자의식과 부적응이 생기는 시기^^

엄마 찬스를 허용해 주자 174

나도 부끄러움이 생겼다고요! 177

아이가 꾸물럭거리며 옷을 입는 이유 179

아이의 호기심이 넘쳐날 때 181

^^10장_ 금지와 허용의 경계, 일관성 있는 육아 원칙 세우기^^

경계선에 대해 생각해 보기 186

아이에게도 화를 낼 권리가 있다 188

금지의 말보다는 허용의 말이 낫다 190

지시 후에는 한마디로 상기시켜 준다 192

질문으로 아이의 행동을 바꿀 수 있다 195

명령보다는 구체적 정보가 아이를 움직인다 197

칭찬은 ‘충분한 설명’으로 자세히 한다 199

아이의 말썽을 현명하게 다루려면 202

^^11장_ 형제 자매, 싸움을 멈추고 좋은 관계 만들어 주는 법^^

아이들이 싸우는 이유는 수없이 많다 224

형제간에 부모의 사랑을 질투할 때 229

싸움을 통해 스트레스를 푼다 231

내 것과 네 것 구분하기 233

형제 자매 그리고 남매 사이 갈등 줄이기 235

형이나 누나 무작정 따라하기 240

친구와 놀지 않으려고 할 때 242

^^12장_ 아이 나이에 맞는 지혜로운 육아 대처법^^

거짓말이라고 모두 거짓말이 아니다 248

어지럽힌 것을 잘 치우게 하려면 251

아이의 문제 행동과 부딪쳤을 때 257

요즘 아이는 옛날 아이와 많이 다를까 266

에필로그 268

이책을 읽으면서 아이의 행동에 중점이 되서 이야기를 읽으니 지금까지 생각하지 못한 보지못한 것들에 대해서 알 수 있었어요. 아이가 떼를 부릴때의 원인이 부모일 수 있다는것, 안돼 보다는 그만 이라는 말이 더 좋다는것 이 그중에 하나에요. 책을 읽으면서 줄을 치면서 읽은 부분을 몇부분 소개해드려요.

44쪽, 부모가 먼저 아이의 화를 돋울 때도 있다.

부모가 아이화를 돋울때가 뭘까? 하는 생각을 가지고 책을 읽었어요. 아이에게 하지 말아도 될말을 해서 아이가 그 욕구가 강렬해져서 결국은 떼를 부린다는 내용이예요. 네살 막둥이를 키우면서 특히나 자극에 민감한 아이에게 먼저 무언가를 준다고 하지 않아요. 전에 어린이집에서 전화가 왔는대 특별활동이 끝나고 담임선생님이 "여러분, 우리 마이쭈 먹어요" 라고 이야기를 하셨대요. 그런대 밥이 빨리 준비되서 밥을 먼저 먹고 마이쭈를 먹자고 하니 아이는 "마이쭈, 줘요"하면서 바닥에 뒹글면서 떼를 부리고 울었다는 이야기였어요.이런 일이 있고나서는 자극이 민감한 아이에게 무언가를 준다고 할때는 바로 손에서 꺼내면서 이야기를 해요. 아이가 떼를 부릴때 원인이 부모가 준걸수도 있다는것 생각해봐야할 문제라고 생각이 들어요.

108쪽, 아이와 규칙을 정해서 실랑이를 줄이자

아이에게 바깥 세계는 자기 내면의 세게의 질서와 어긋나지 않아야한다.

이게 무슨 말인가 했어요. 아이도 자신만의 생각이나 주장이있지요. 책에서는 이렇게 예를 들어요. 바지를 입고 양말을 신어야 하는 아이의 습관은 부모가 보기에는 엉뚱하기 그지없으면, 괜한 투정으로 보일 수도있다.

저도 세아이를 키우면서 아이각각 나름의 규칙이 있다는것을 알수 있었어요. 그것이 흔들릴때 아이는 무척이나 떼를 부리면서 화를 내죠. 어른들도 생각하면 자신만의 신념을 누군가가 침범할때 화를 내잖아요. 아이의 신념을 지켜주는 엄마가 되야겠다는 생각 이해해줘야 겠다는 생각을 해봤어요.

149쪽, 부모가 기대감을 버리면 반항도 멈춘다.

부모가 아이의 어떤행동에 대해 기대감을 버리면 아이는 압박감을 느끼지 않는다. 그러면서 반항도 멈추게 된다.

책에서 나온 그림은 엄마가 화를 내면서 옷을 어서 갈아입으라고 해요. 그러자 아이도 화를 내면서 오 입기 싫다고 이야기를 하죠. 흔히 보는 우리 일상인거 같아요. 그때 엄마가 좋아. 그럼 잠옷 입고 어린이집 갔다오라고 하니 아이는 옷갈아입겠다고해요. 이건 어떤 이야기일까요?

그림속 아이는 내용(옷갈아 입어라)보다는 과정 (엄마가 옷갈아 읿으라고 하면서 강요) 때문에 생긴 불화일 수 도 있다는 것이에요. 아이가 반항하게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세심하게 살펴봐야한다고해요.

저도 신랑이 집에와서 " 집이 이게 뭐야 청소좀해" 라고 하면 내용 (방이더럽다는 것)은 인정하지만 과정 (남편이 다짜고짜 와서 청소하라고함 )에 화가 나는 적이 있어서 아이의 마음도 이해해 줘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193쪽, 금지의 말보다는 허용의 말이 낫다.

아이의 행동에 경계선을 그어 효과를 높이려면, 금지보다는 허용과 정확한 정보를 주는게 낫다.

하지마 그러지마 하고 이야기할때가 많아요. 책에서는 수영장 주변에서 뛰어다니면 안된다. 하고 이야기를 하니 아이는 수영장주변을 뛰어다녀요.

여기 잔디밭에서는 뛰어다녀도 돼. 라고 이야기 하니 아이들은 잔디밭에서 신나게놀아요.

이둘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아이의 몸은 관심가는 쪽으로 움직인다고 해요. 그것은 부모가 아이의 머릿속에 심어놓은 이미지는 아이를 한 방향으로 가게 하는 역할을 한다.

허용은 아이의 관심을 바람직한 행동으로 가게 하는 반면, 금지는 아이의 관심을 문제행동 쪽으로 가게 만든다.

이부분을 읽으면서 소름이 돋았어요. 한참 뛰어다니고 위험한 행동을 일삼는 네살 아들에게 지금까지 잘못된 방향으로 관심을 돌렸다는것을 알게되어서 였어요. 아이를 통제할때에는 정확한 정보를 알려주고 허용되는 범위를 설정해 줘야한다는 것 기억해야겠어요.

이밖에 형제자매가 싸울때 대처법, 아이의 연령에 따른 대처법이 특히나 눈에 들어왔어요.

마지막으로 아이는 빨리큰다는 이야기를 담은 책의 마지막 그림들을 보니 마음이 짠해졌어요.

마지막 구절을 이야기하면서 책이야기를 마치려고해요.

아이가 무럭무럭 자라는 동안,

힘들지만 마음의 여유를 가지고]

아이와 함께 하는 삶의 모든 순간순간을 누리자.

세월은 쏜살같이 지나간다.

세상에 서두를 건 오직 하나뿐이다.

있는 그대로 우리 아이를 사랑하기

세상에서 이것보다 중요한 것은 또 없다.

어린아이들을 키우는 나와같은 부모들에게 권해주고 싶은 책이에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