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똥이의 1945 우리 그림책 35
권오준 지음, 이경국 그림 / 국민서관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별이와 우리의 역사를 동화책으로 읽고있어요. 6월에는 6.25에 관한 이야기를 보고 '너무 슬프다'고 이야기한 우리 아이. 어느덧 시간이 지나 광복절인 8월 15일이 내일이에요. 아이와 광복에 대한 이야기를 함께 읽고 이야기를 나누고 싶었어요. 광복을 경험한 할아버지의 생생한 경험담을 담은 이야기를 만났어요. 지금 소개해 드릴께요.


 


 

개똥이의 1945

권오준글/ 이경국그림/ 국민서관

표지를 살펴볼게요. 한아이가 나무로 된 평행봉을 하고있어요. 이아이의 이름이 개똥이 인가봐요. 개똥이에게 1945는 어떤 의미일지 궁금했어요.

아이에게 표지를 보여주었어요. 제목을 별이가 지은다면 어떻게 하고싶냐고 물어보았어요.

"빡빡이의 물구나무"

머리를 짧게 자른것이 우리 막내동생이 생각이 난다고 해요. 막둥이 머리를 아빠가 잛게 잘랐을때 한동안 별명이 빡빡이였어요.


책을 쓴 사람은 권오순 작가에요. 더욱 의미있는 것이 이책의 주인공인 개똥이가 권오순 작가의 아버지세요. 아버지의 이야기를 책으로 내다니 정말 멋져요. 이런 이유로 이책의 이야기가 더 생생하게 아이에게도 저에게도 다가왔어요.


 

 


권오순 선생님은 구순의 아버지를 모시고 여행을 가요. 구순이 뭔지 아냐고 물으니 별이가 자신있게이야기해요.

"구순은 90이야 수학 공부할때 배웠어"

90아버님은 여행을 좋아하셔서 늘 함께 여행을 다니신다고해요. 효자시네요.


 



서울 말죽거리의 한 초등학교 앞을 지날 때였어요.

"얘야, 학교에 잠깐 들어가보자." 이학교는 할아버지가 졸업한 학교에요. 할아버지는 평행봉을 쓰다듬으시다가 눈이 붉어지세요.

여기서 할아버지는 추억여행을 떠나셔요. 할아버지는 열세살 개똥이가 되었어요.

1945년 어느날 이었지요.

할아버지가 살던때는 일제 강점기 였어요. 개똥이는 우리말을 안써서 친구들과 일본인 교장에게 혼이나요. 담임선생님은 아이들을 뒷산으로 데려가셨어요. 선생님은 아이들과 함께 커다란 나무를 잘라 나무를 길다랗게 다듬어었어요. 운동장에 평행봉을 만들어서 물구나무서기 묘기를 보여주셨어요.

 


너희들도 이 평행봉을 배워서 자신의 힘을 길러라


 

 

 


 

어느날 , 개똥이가 교무실로 들어가니 담인선생님은 책상 밑에서 무언가를 보고계셨고, 그것은 한글 이야기 책이었고 몰래보라며 개똥이에게 주셨어요. 일본 교장이 개똥이의 뺨을 때린날 담임선생님은 위로해주셨어요. 아이는 그림책을 보다가 초록칠판에 써있는 일본말을 발견했어요.

"엄마 여기 일본말이 써있어"

 


                              

마침내 1945년 8월 15일 해방이 되었어요.





아이가 책을 읽고나서 어떤 생각을 했는지 이야기를 나눴어요. 이책을 읽기전에 광복절에 대한 쉬운 이야기책을 한장 읽었어요. 곰곰히 생각하더니 이야기를 했어요.

 

 

옛날에 일본을 빼앗긴 기억이 이책에 담겨있구나. 슬픔이 고스란히 남아있구나 .

우리나라가 이렇게 많은 피해를 입은지 몰랐어요.

 

 

 


 

 1945년을 겪으신 개똥이 할아버지의 이야기를 통해서 우리는 겪어보지 못한 일제강점기때의 아픔과 해방의 기쁨을 함께 느낄 수 있었어요. 아버지의 이야기를 아들이 책으로 만든책이어서 더욱 뜻깊은 개똥이의 1945 아이와 함께 읽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